제주 4·3 사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대한만세 (토론 | 기여)
태그: m 모바일 웹
대한만세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29번째 줄:
{{본문|제주 3·1절 발포사건}}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제주 4.3 사건 당시의 [[제주도]] 상황은 해방으로 부풀었던 기대감이 점차 무너지고, [[미군정]]의 무능함에 대한 불만이 서서히 확산되는 분위기였다. 약 6만 명에 이르는 귀환인구의 [[실직]]난, 생필품 부족, 전염병([[콜레라]])의 만연, 대흉년과 미곡정책의 실패 등 여러 악재가 겹쳤다. 특히 과거 [[일제강점기]] 당시 경찰출신들이 미군정경찰로의미군정 경찰로의 변신, 밀수품 단속을 빙자한 미군정 관리들의 모리행위 등이 민심을 자극하고 있었다. 사건의 배경에는 남한 단독 정부수립을 반대하는 [[남조선로동당]]계열의 [[좌익]] 세력들의 활동과 군정경찰, [[서북청년단]]을 비롯한 우익 [[반공]]단체의 처결에 대한 제주도민들의 반감 등이 복합되어 쌍방간의 적개심으로 일어났다.
 
제주도는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후 도민들의 적극적인 지지 속에 [[건국준비위원회]]와 [[인민위원회]]가 활발히 활동했다. 특히 제주도 [[인민위원회]]는 다른 지역과 달리 [[미군정]]청과 협조적이었다.<ref name="서중석">《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서중석 (역사학자)|서중석]] 저. p80~p82</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