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호 (일본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9번째 줄:
 
한편 데와 국(出羽国)의 센고쿠 다이묘인 안도 씨(安東氏)에는 당초, 에조 간레이(蝦夷管領)로써 에조치(蝦夷地, 북주北州)에도 세력을 가지고 오슈 도사미나토 히노모토 쇼군(奥州十三湊日之本将軍) 또는 도카이 장군(東海将軍)으로 칭하며 홋카이도(北海道) 남부(와타리시마渡島)에 토착한 안도 씨의 서류 가문이나 가키자키 씨(蠣崎氏, 훗날의 마쓰마에 씨松前氏)를 쇼고쿠 슈고직(上国守護職), 시타고쿠 슈고직(下国守護職), 마쓰마에 슈고직(松前守護職) 등으로 봉하는 등 막부 이외에도 슈고직이 독자적으로 설치 혹은 임명되는 사례도 예외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 에도 시대의 슈고 ===
무로마치 막부의 멸망 이후에는 오다-도요토미 정권이나 [[에도 막부]](江戸幕府) 등의 통일 권력이 센고쿠 다이묘 가문이나 지역 세력을 복속시키고 주종관계를 쌓아올렸다. 에도 막부를 열었던 [[도쿠가와 씨]](徳川氏)는 무로마치 쇼군 가문과 같은 [[세이이타이쇼군]](征夷大将軍)을 세습하였는데, 근세의 통일 권력은 주종관계를 가진 다이묘 가문을 슈고로 임관하지는 않고 그들이 소유한 영지를 주는 바쿠한(幕藩) 체제에 의한 지배를 다졌다.
 
막부 말기에는 [[아이즈 번]](会津藩)의 번주였던 [[마쓰다이라 가타모리]](松平容保)가 조정을 통해 에도 막부로부터 교토 슈고직(京都守護職)에 임명되었다. 과거에도 「교토 슈고」의 직명은 존재했지만 이 경우에는 「교토슈고직」이라 칭하는 것이 정식으로 슈고직(守護職)이라는 단어를 읽는 방법도 무로마치 시대의 “슈고시키(しゅごしき)”가 아니라 “슈고쇼쿠(しゅごしょく)”로 읽는다.
 
== 주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