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교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 정교회 선교사들이 조선에 들어오다. ====
[[19세기]] 말엽 [[조선]]에 들어와 있던 [[러시아 제국]] 군인 약 90명과 민간인 약 30명은 러시아 공사관에 모여 [[성직자]] 없이 주일과 축일에 기도와 찬양으로 [[성사]]를 대신하면서 생활했으나, 사제가 없어 태어나는 자녀들에게 [[세례]]할 수가 없었고 [[성체성혈성사]]로써 [[그리스도]]의 성체와 성혈을 받을 수가 없었으며 죽은 사람을 [[장례]]할 수가 없어 주조선 러시아 공사관 직원 폴랴놉스키는 [[1897년]] [[1월 3일]] 본국에 [[조선]]에서 사목할 성직자를 파송해 달라고 요청했다.
 
[[1897년]] 7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던 [[러시아 정교회]] 신성종무회의가 한반도 선교를 결정해서 소규모 선교회가 조직돼 [[1897년]] 안에 한반도에 입국할 예정이었으나 당시 한반도를 사이에 두고 열강이 치열하게 각축하던 상황이었기에 입국은 지연되었다.
31번째 줄:
 
=== 재러 조선인 신자들. ===
한편 조선 말기인 19세기에 적잖은 조선인이 [[삼정의 문란]]에 따른 궁핍과 기아를 피해 국경을 넘어 러시아의 [[연해주]] 일대에 정착해 체류하기 시작했다. 실제 1880년 러시아 사람이 연해주에서 사는 조선사람들이 쓰는 말을 이해하기 위해 한글과 러시아말로 쓴 이중어[[사전]]을 출간했으며, [[독립운동가]]인 [[최재형]] 선생도 [[1867년]] 러시아 연해주로 이민한 조선사람의 아들이다 . 러시아는 연해주에서 살던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한 동화 정책의 일환으로 러시아 정교회에서 세례성사를[[세례|세례성사]]를 받게 했다.
 
=== 일제 강점기 ===
[[1904년]]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한반도를 점령한 [[일본 제국]]은 한국 주재 러시아인들에게 강제 출국을 명령했고, 그중에는 선교회도 포함되어 있었다.
 
러일 전쟁 종전 후 러시아 정교회의 선교 사업은 [[1906년]] 한반도에 입국한 대수도사제 파벨 이바놉스키(Павел Ивановский)에 의해 재시작됐다. [[1906년]]에서 [[1912년]]까지 한반도에 체류하던 파벨 이바놉스키(Павел Ивановский) 신부는 [[러일 전쟁]] 당시 전몰한 러시아 장병을 추모한다는 명분으로 성당 건립을 추진하려 했지만 일본의 방해로 무산된 데다가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가 공산화하면서 정교회가 박해에 처하게 돼, 러시아 정교회는 조선에 있는 정교회를 더 이상 지원할 수 없게 되었다. [[1922년]] [[2월 26일]] 러시아 정교회 조선 선교회는 [[일본 정교회]]의 러시아인 수장 세르기 티호미로프 대주교의 관할에 속하게 되었다. 이렇게 어려운 상황에서도 정교회 교리를 교습받은 제1기생 중에서 강탁(요한) 신부가 배출되어 최초의 한국인 정교회 성직자가 되었다. 강탁(요한) 신부는 1912년 일본 정교회의 도쿄 대주교대주교였던 세르기에세르기 의하여대주교가 사제로 서품받았다서품했다.
 
=== 해방과 한국 전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