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81번째 줄:
[[1531년]](중종 26) 22세 성균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같이 합격한 동방(同榜)은 화담 [[서경덕]], 대곡 [[성운 (1497년)|성운]], 휴암 [[백인걸]], 임당 [[정유길]], 금호 임형수 등이 있다.<ref>참찬 [[송순]]이 일찍이 현감 오겸과 더불어 말하기를 [[신묘년]]의 사마 방목에 미치자 대곡 [[성운 (1497년)|성운]], 화담 [[서경덕]], [[하서]] 김인후, 휴암 [[백인걸]], 임당 [[정유길]]을 내리 세니, 오겸이 크게 놀래며 「한 명단 안에 어진 자가 어찌 그리 많은가.」라고 하였다.</ref> 이듬해 할아버지 훈도공(訓導公)이 돌아가셨다.
 
[[1533년]](중종 28) [[성균관]]에서 퇴계 [[이황]]과 만나 교우 관계를 맺고 함께 학문을 닦았다. [[기묘사화]]를 겪은 지가 얼마 되지 않아 선비들이 학문을 소홀히 하며, 도학에 대해 말하기를 꺼려하는 풍조였는데, [[퇴계]]와 한번 보고 서로 깊이 뜻이 맞아 끊임없이 토론하고 연구하며 서로 도와 학문과 덕을 닦은 소득이 있었다. 후일 [[퇴계]]는 「더불어 교유한 자는 오직 '[[하서]]' 한 사람뿐이었다.」고 술회했을 정도로 그와의 돈독한 우의를 표시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서 [[퇴계]]가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자 그는 정표로 ‘증별시(贈別詩)’를 지어 주었다.<ref>≪퇴계언행록≫에 이르기를 퇴계가 돌아 갈 때 ‘증별시’를 써 주었는데, "선생은 영남의 수재로다. 문장은 이백·두보요. 글씨는 왕희지·조맹부로세"라 하였다. 후일 퇴계가 "기묘의 변을 겪은 뒤라서 사람들이 다 학문하는 것을 꺼리고 싫어하며 날마다 희학으로 일 삼는데, 선생은 씻은 듯이 스스로 새롭게 나가 동정과 언행을 하나같이 법도에 따르니 보는 자가 서로 손가락질하며 비웃었는데, 더불어 교유한 자는 오직 '김하서' 한 사람일 뿐이었다."라고 하였다.</ref> 이와 같이 성균관에 있으면서 [[이황]]을 비롯한 휴암 [[백인걸]]·임당 [[정유길]]·금호 임형수·미암 [[유희춘]]을 비롯한 많은 현능들을 만났다.
 
[[1536년]](중종 31) [[성균관]]에서 스승 [[최산두]]의 부음을 듣고 상복을 입고 머리에 가마(加麻)를 하고 스승의 죽음을 애도하였으며, 기일에는 치제(致齋)를 올렸다.<ref>우리나라에서 스승을 위해 가마(加麻)한 것은 그가 처음으로 세상에 밝혀졌다.</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