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556번째 줄:
 
==== 불평등 지수 감소 ====
20182018년 8월 29일 국회예산정책처에서 발행한 '조세정책의 소득재분배 효과분석'이라는 제목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소득 분배가 악화되지 않은 것으로 5일 밝혀졌다. 국세청의 소득 100분위 자료를 활용해 소득계층별 소득분배 추이를 분석한 국회예산정책처는 "소득 상위구간의 소득점유비중인 통합소득의 소득집중도(상위 20%)는 2008년 56%에서 2016년 54.7%로 감소했다"며 "소득집중도의 값이 클수록 소득분배가 악화됨을 의미하므로, 위 결과는 분석대상기간 우리나의 소득분배는 악화되지 않았다고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국회예산정책처는 "상위 20%의 소득점유비중이 하락한 이유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상위 20%의 연평균 소득 증가율이 하위 20%의 연평균 소득 증가율에 비해 낮았기 때문"이라며 상위 20%의 연평균 소득 증가율은 6.5%였고 하위 20%의 연평균 소득 증가율이 9.5%였다"고 부연했다. 국회예산정책처의 이번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인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소득 양극화는 오히려 개선됐다. 국세청의 소득 100분위 자료를 활용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었다. 현재 국가에서는 통계청의 가계소득동향 조사 외에 소득분배에 관한 자료를 공식적으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 국세청 관계자는 "조세정책의 소득재분배 효과를 분석하겠다는 국회예산정책처를 위해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소득 데이터를 제공했고 이는 주기적으로 공개되는 자료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통계청 가계소득동향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소득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 역시 2008년부터 2016년까지 큰 폭으로 오르지 않았다. 국회예산정책처도 "분석기간동안 소득분배가 개선되는 추세로 나타나는 것은 지니계수 결과와 일치한다"고 보고서에 게재해두고 있다.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지니계수는 2008년 0.314에서 꾸준히 줄어 2015년 0.295까지 떨어졌고 2016년에는 0.304로 소폭 올랐다. 올해 1분기 가계소득동향 조사 결과 하위 20% 가계소득이 감소하면서 소득분배가 악화된 것으로 드러났고 작년 동기대비 8%나 급감하며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2분기 역시 소득하위 20% 가구의 소득이 전년 동기보다 7.6% 감소했다. 2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감소폭이었다. 문재인 정부가 소득주도 성장이라는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성장으로 하위 소득자의 실업을 야기하면서 양극화를 심화시키자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책임이라는 주장을 내놓았지만 국회예산정책처가 과거 비(非)좌파보수 우파 정부에서 소득분배가 악화되지 않았다는 보고서를 내놓으면서 민주당을 당혹스럽게 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지난달 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득주도 성장을 내세우면서 최저임금을 급속도로 인상해 일어난 '고용 참사'의 책임이 이명박·박근혜 정부에 있다고 주장했다<ref>https://news. 이 대표는 "지난 10년간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 성장잠재력이 매우 낮아져서 그 결과가 지금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joins. 민주당 김진표 의원 역시 지난달 24일 "양극화가 유례없이 심화된 것은 이명박·박근혜 정권의 경제정책이 역주행한 것에 근본 원인이 있다"고 말한 바 있고 그 근거를 묻는 질문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소득불평등이 최근 10년간 악화됐다는 보고서를 본 기억이 있어 그렇게 말했다"고 설명했다com/article/22942774</ref><ref>https://www. 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9592</ref>
<ref>https://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9592</ref>
 
2019년 4월 11일 통계청이 새롭게 공개한 소득분배지표에서 2011~2017년 한국의 분배 상황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보수정권에서 소득분배가 지속적으로 악화됐기 때문에 소득주도성장이 필요하다는 문재인 정부의 주장과 상반되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2019년 4월 11일 통계청이 처음 공개한 가계금융복지조사 소득분배 부문 추가 지표에 따르면 한국의 팔마비율(Palma ratio·처분가능소득 기준)은 2011년 1.74배에서 2017년 1.44배까지 하락했다. 팔마비율은 호세 가브리엘 팔마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개발한 소득 불평등 지표로 소득 상위 10% 인구의 소득 점유율을 하위 40% 인구의 소득 점유율로 나눈 값이다. 숫자가 낮아졌다는 것은 소득 불평등이 개선됐다는 의미다. 또 다른 분배지표인 소득 10분위 경곗값 비율(P90/P10)도 2011년 6.42에서 2017년 5.79까지 떨어졌다. `소득 10분위 경곗값 비율`은 처분가능소득 기준 가계소득 상위 10% 경곗값을 하위 10% 경곗값으로 나눈 수치다. 이날 공개한 다른 2개의 소득분배지표(P90/P50, P50/P10) 모두에서도 역시 2011~2017년 소득분배가 개선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은 이명박 정권 중반기인 2011년부터 약 6년 반 동안 보수 정권이 이어진 후 마지막 반년가량 동안에는 진보 정권인 문재인정부 집권기에 해당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월 신년회견에서 "우리는 부의 양극화와 경제적 불평등이 세계에서 가장 극심한 나라"라고 언급하는 등 진보 진영에서는 지난 두 차례의 보수 정권 집권기간에 분배 상황이 악화됐다고 주장해 왔다. 이두원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국에서는 보수와 진보 정권을 가리지 않고 복지 확대 정책을 펼쳐 왔다. 보수 정권에서 불평등이 심화될 것이라는 진보 세력의 주장은 이 같은 정책 요인을 전혀 감안하지 못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f></ref>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41161511<ref>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9/04/224437/</ref>
 
==== 녹색 뉴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