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1번째 줄:
* 그리하여 현재 [[성균관]] 및 각 지방의 [[향교]] [[대성전]]에는 [[공자]]를 정위(正位)로 하여, 4성(四聖)을 배향하고, [[공문십철|공문10철]] 및 송조 6현과 우리나라 [[동방 18현]]의 신위를 종향(從享)하고 매년 춘추 향사하고 있다.
 
== 종사 자격대상 ==
문묘는 [[공자]]를 모신 사당이므로 문묘 종사의 기준은 당연히 [[공자]]의 도를 지키고 발전시키는 데 얼마만큼 공헌했느냐가 될 것이다. 따라서 조선시대에 있었던 대부분의 문묘 종사는 도학(道學, 성리학)의 실천과 발전에 큰 공을 세운 선비만이 당당히 [[공자]]의 옆자리에 종사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ref>〈조선 성리학, 지식권력의 탄생〉, 저자 김용헌, 2010, 프로네시스. "인조 즉위 직후 서인 세력에 의해 추진되었던 이이와 성혼의 문묘 종사가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둘의 위패가 문묘에서 출향되었다가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 때 복향 됐다는 사실만 보더라도 조선시대의 문묘 종사는 도학 내부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그것은 언제나 학문이나 진리의 문제를 넘어 정치의 문제였고 권력의 문제였다. 문묘 종사만큼 학문과 권력의 관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도 없을 것이다."</ref>
 
=== 선정 대상인물 ===
역사가 선택한 문묘 종사 '[[동방 18현|동방 18현인]]'은 권력만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문이 좋다거나, 벼슬이 높다고 해서 선정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그들 중에는 역사적으로 너무나 잘 알려진 인물도 있지만, 벼슬과 출세를 마다하고 학문에만 전념하여 역사책에서 조차 흘려버리는 당대 석학들도 있다.
 
중요한 것은 누가 더 잘났느냐, 누가 더 유명하냐가 아니다. 모두 나름대로 독창적인 자신의 학문 세계를 구축하고, 학자와 선비로서 양심과 도덕을 실천했느냐이다. 따라서 학식과 덕망이 뛰어나고, 학자로서 후세에 존경을 받고, 학문적 업적이 역사에 길이 남을 만큼 크고 높아야 선정되었던 것이다.<ref>대한민국정책정보지(2017.02.24.) - [문화, 지금] 우리의 정신문화, '동국 18현', 이대현|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http://gonggam.korea.kr/newsView.do?newsId=01IqQpY08DGJM000]</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