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예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58번째 줄:
{{본문|노예 제도 폐지 운동}}
 
===== 고대 =====
고금을 통틀어 노예 제도는 여러 형태로 존속하였으며, 노예를 해방하려는 운동도 있었다. [[토라]]의 [[출애굽기]]에 따르면, [[모세]]는 [[이스라엘인]] 노예들을 데리고 [[고대 이집트|이집트]]를 떠났다고 하는데, 아마도 이것이 최초의 노예 해방 운동에 관한 기록일 것이다. 후대 유대 법([[할라하]])에서는 [[이스라엘]] 땅에서 노예 판매를 금하였으며, 본인이 원한다면 노예가 이스라엘로 이주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 퀘이커 =====
아프리카인의 노예화에 반대한 초기 사례로는 1688년 펜실베이니아의 독일인과 네덜란드인 [[퀘이커]]를 들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노예제 폐지 운동에 중요한 이정표가 된 사건은 1772년 [[잉글랜드]]에서 일어났는데, 영국의 법관 [[윌리엄 머레이 (제1대 맨스필드 백작)|맨스필드 백작]]은 [[서머셋 백작]]에서 잉글랜드내 노예제가 불법이라는 의견을 내놓아 널리 인정을 받았다. 이 판결에서는 다른 사법권(가령 아메리카 식민지 등)에서 계약한 노예제가 잉글랜드에서 집행되지 않는다는 원칙도 규정하였다.<ref>S.M.Wise, ''Though the Heavens May Fall'', Pimlico (2005)</ref> 1777년, [[버몬트]]는 오늘날의 미국 땅 가운데 최초로 노예제를 폐지한 나라가 되었다. (당시 버몬트는 이제 막 독립한 신생 국가였다) 1794년, [[프랑스]]에서는 자코뱅파에 의해 노예제가 폐지되었다.<ref>[http://encyclopedia.jrank.org/articles/pages/5913/Abolition-Movement.html Abolition Movement] {{웨이백|url=http://encyclopedia.jrank.org/articles/pages/5913/Abolition-Movement.html |date=20100112204130 }}. ''Online Encyclopedia''</ref> 영국의 [[노예제 반대 협회]]의 노력으로 영국에서 노예 무역이 폐지된 지 200돌을 맞아 2007년에 축하 행사가 열리기도 하였다. [[토머스 클라크슨]]의 반노예제 글이 노예제 폐지에 밑거름이 되긴 하였으나, [[윌리엄 윌버포스]]가 노예제 폐지에 상당한 공을 세운 것으로 인정받았다. 또 윌버포스는 자신의 절친한 [[소 윌리엄 피트]] 총리의 주장으로 스스로 이 법안을 발의하였으며, 개혁파 복음주의자 [[존 뉴튼]]의 지지도 얻었다. 1807법 3월 25일에 영국 의회에서 [[1807년 노예 무역법|노예 무역법]]이 통과되어 [[대영 제국]]내에서 노예 무역이 불법화되었으며, 윌버포스는 대영 제국내 노예제 폐지를 위해 노력하여 훗날 [[1833년 노예 제도 폐지법]]의 통과를 지켜볼 수 있었다. 1807년의 노예 무역 폐지법이 통과되자 노예제 폐지론 노력은 프랑스와 영국 식민지 등 다른 나라의 관련 소송을 장려하는 쪽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 영국 ====
영국의 [[노예제 반대 협회]]의 노력으로 영국에서 노예 무역이 폐지된 지 200돌을 맞아 2007년에 축하 행사가 열리기도 하였다. [[토머스 클라크슨]]의 반노예제 글이 노예제 폐지에 밑거름이 되긴 하였으나, 성공회 신자인 [[윌리엄 윌버포스]]가 노예제 폐지에 상당한 공을 세운 것으로 인정받았다. 또 윌버포스는 자신의 절친한 [[소 윌리엄 피트]] 총리의 주장으로 스스로 이 법안을 발의하였으며, 성공회 사제인 [[존 뉴턴]]의 지지도 얻었다. 1807년 3월 25일에 영국 의회에서 [[1807년 노예 무역법|노예 무역법]]이 통과되어 [[대영 제국]]내에서 노예 무역이 불법화되었으며, 윌버포스는 대영 제국내 노예제 폐지를 위해 노력하여 훗날 [[1833년 노예 제도 폐지법]]의 통과를 지켜볼 수 있었다. 1807년의 노예 무역 폐지법이 통과되자 노예제 폐지론 노력은 프랑스와 영국 식민지 등 다른 나라의 관련 소송을 장려하는 쪽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 아프리카 =====
1808년에서 1860년 사이에 영국 [[서아프리카 함대]]는 노예선 1,600여 척을 나포하여 노예선에 잡혀 있던 아프리카인 150,000명을 풀어주었다.<ref>[http://www.bbc.co.uk/devon/content/articles/2007/03/20/abolition_navy_feature.shtml Sailing against slavery. By Jo Loosemore]. ''BBC - Devon - Abolition''</ref> 노예 거래를 불법화하기로 영국과 조약을 체결하는 데 거부한 아프리카 통치자들에게도 조치가 취해져서, 가령 "[[라구스]]의 찬탈자 왕"은 1851년에 폐위되었다. 50명이 넘는 아프리카 통치자들이 노예제에 반대하는 조약을 체결하였다.<ref>[http://www.pdavis.nl/Background.htm#WAS The West African Squadron and slave trade]</ref>
 
===== 미국 =====
[[미국]]에서는 노예제 폐지론자들의 압력으로 노예 해방을 향하여 작은 성과들이 연이어 일어났다. 1808년 1월 1일 이후, 미국으로 노예를 수입하는 행위가 금지되었으나,<ref>[http://www.nytimes.com/2007/12/30/opinion/30foner.html Foner, Eric. "Forgotten step towards freedom,"] ''New York Times.'' December 30, 2007.</ref> 국내 노예 거래나 외국의 국제 노예 무역 종사는 해당되지 않았다. 법적으로 노예제는 계속 이어졌으며, 미국내 노예가 법적으로 해방되기 까지는 60년이 더 걸려야 하였다. 여러 미국의 노예제 폐지론자들은 [[지하 철도지하철도 (비밀 결사비밀결사)|지하 철도지하철도]]라는 비밀 결사 조직의 지원으로 노예제 반대에 활약하였다. 곧 폭력 사태가 벌어져 [[존 브라운 (노예제 폐지론자)|존 브라운]]이 이끄는 반노예제 세력과 더불어 노예제 찬성파 및 반대파 주민들간에 일어난 [[피의 캔자스]] 사건은 노예제를 둘러싼 전국적인 충돌의 상징이 되었다. 1861년에 일어난 [[남북 전쟁]]이 북부의 승리로 끝남에 따라 미국에서 드디어 노예 제도가 종식되었다.
 
1863년 링컨은 [[노예 해방 선언]]으로 [[남부 연합]]내 노예들을 해방하였으며, 1865년 [[미국 수정 헌법 제13조]]에서 전국의 노예 제도를 금지하였다.
줄 170 ⟶ 177:
1860년대에 [[데이비드 리빙스턴]]이 아프리카내 아랍의 노예 무역에서 벌어지는 잔학상에 관하여 보고서를 내놓으면서 영국의 여론이 움직여 당시 주춤하던 노예제 폐지 운동의 불씨를 되살렸다. 1870년대에 영국 해군은 특히 [[잔지바르]]에서 "이 구역질나는 동방의 무역"을 금지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 세계인권선언 ====
1948년 12월 20일 [[국제 연합 총회]]에서는 [[세계 인권 선언]]을 채택하여 노예제에서 해방되는 것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인권]]이라고 선포하였다. 세계 인권 선언 제4조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