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0 개의 출처 구조, 1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5)
299번째 줄:
대한민국의 일부 사학계에서는 이 운동이 중국의 [[5·4 운동]]에 영향을 주었으며, [[인도]]의 반영운동, 그 밖에 베트남, 필리핀, 이집트의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3·1운동이 중국의 [[5·4 운동]]에 참여한 일부 지식인에게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전자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았고, 만세운동이라는 평화적 항쟁을 특징으로 하는 데 반해, 후자는 러시아 혁명이라는 볼셰비키주의의 영향을 받았고, 민중의 폭력적 시위와 연결되는 점, 아울러, 중화인민공화국의 학계에서 3·1운동의 한계가 무산계급 투쟁의 불완전성에 의한다는 담론을 파급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뉴욕타임즈]]는 1919년 3월 13일자에서 “조선인들이 독립을 선언했다. 알려진 것 이상으로 3·1운동이 널리 퍼져나갔으며 수천여명의 시위자가 체포됐다”고 기록했다. [[AP통신]]은 “독립선언문에 ‘정의와 인류애의 이름으로 2000만 동포의 목소리를 대표하고 있다’고 명시돼 있다”고 보도했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5875281&cp=nv 역사스페셜, 조선 독립투사 변호했던 日 변호사 조명… 방송사들 다양한 3·1절 특집]{{깨진 링크|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5875281&cp=nv }} [[국민일보]] 2012년 2월 29일</ref> 이운동의 시작부터 3.1운동에 관한 모든 한국의 상황을 해외에 전달하는데는 캐나다의 선교사 [[프랭크 스코필드]] 박사의 영향이 매우 많았다.<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612347 “독립만세” 3·1 운동의 조력자…푸른 눈의 이방인들, KBS 뉴스, 2018.03.01]</ref>
 
=== 비판적 반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