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12.223.98.140(토론)의 편집을 Ykhwong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46번째 줄:
== 파시즘과 연관성 ==
{{참고|파시즘|제3의 위치}}
[[20세기]]에, 사회주의의 한 분파인 [[국가사회주의]]와 [[이탈리아]]의 혁명적 조합주의자 [[조르주 소렐]]의 민족조합주의 이론, 유럽 낭만주의의 영향을 받은 반계몽주의적 사회주의를 유럽의 [[내셔널리즘|국민주의]](Nationalism) 문학자들과 후에 [[베니토 무솔리니]]가 계승하여 [[파시즘]]이 탄생한다. 이러한 역사 때문에 사회주의에 반대하는 자본주의자 또는 자유주의 우익 세력은 사회주의와 파시즘을 동일시하나,동일시한다. 파시즘의 사회주의적 경향은 오늘날 사회주의 운동의 모태가 되는 이론인 [[생시몽]], [[샤를 푸리에]] 계의 계몽주의적 사회주의(또는 초기사회주의) 또는 [[마르크스주의]]의 사회주의 경향과 매우 다르고다르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파시즘 자체가 사회주의라는 결속된 사회에서 자연스럽게 발전되어 나타난 사상이며 현재도 많은 사회주의 국가들에 민족주의 심지어파시즘 반대되는성향이 개념도존재하여 많기사회주의에는 때문에결속이라는 파시즘과파시즘 사회주의를사상이 동일시하는 것은 논리적없는 모순인연관성을 것이다보인다..<ref>한형식, 《맑스주의 역사 강의》(그린비)</ref>
 
정치적인 후기 파시즘 운동의 시발점은 [[1919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시작된다. 이탈리아 초기의 [[파시스트]]들은 과격한 퇴역군인과 [[국가주의]]적 [[생디칼리스트]], [[미래파]] 지식인, 젊은 반[[부르주아]] 불만 세력, 중산층으로 [[민족]]의 영광과 사회 변화를 함께 꿈꿨던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대부분의 경우, 이들이 사회주의자 및 급진<ref name="fact154">파시즘 : 열정과 광기의 정치 혁명 (로버트 O. 팩스턴 지음, 손명희, 최희영 역, 도서출판 교양인) 154페이지</ref> 적 [[기독교]] 정당인 이탈리아 인민당(Partito Populare Italiano, PPI)과 달랐던 점은 [[민족주의]]밖에 없었다. 실제로 초기 [[이탈리아]] 파시스트 중 많은 사람들이 [[무솔리니]]와 마찬가지로 [[좌파]] 출신들이었다. 파시스트 행동대는 파시즘 운동을 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구성비가 우파 쪽으로 기울게 만들었다. 지주의 아들들과 심지어는 일부 범죄 집단들도 이제 파시즘 운동에 참여했다. 그러나 파시즘은 여전히 초기의 특성을 유지했다. 즉, 새로운 파시즘은 기성세대와 기득권에 저항하는 세대의 반란이었다.<ref name="fact155">파시즘 : 열정과 광기의 정치 혁명 (로버트 O. 팩스턴 지음, 손명희, 최희영 역, 도서출판 교양인) 155페이지</ref>
56번째 줄:
[[1919년]] [[6월]]의 강령에서는 직업적 군대를 방어적 의미의 민병대로 대체하고 무기 및 군수품 공장을 국유화한다는 파시스트들의 주장은 그대로였지만, 국제연맹 이야기는 사라졌다. [[1921년]] 발표한 강령에서 달라진 파시스트당은 국제연맹을 편파적이라고 비난하고, '지중해 라틴 문명의 보루'이자 이탈리아적인 것(Italianita)의 보루로서 이탈리아의 역할을 강조했으며, 이탈리아의 식민지 개척과 대규모 상비군의 필요성을 주장했다.<ref name="fact155"/> [[무솔리니]]는 자랑스러운 [[이탈리아]], [[로마 제국]]의 옛 영광, 반국가 행위자 처벌 등을 주장했다. 이러한 무솔리니와 파시스트들의 주장은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대중들의 급격한 동의를 얻으면서 기성의 우파 정당을 대체하여 집권당의 위치에 오르게 된다.
 
[[영국]]에서 2차대전 직후 일부 좌파와 극우파들은 파시즘을 신봉하였으나, [[히틀러]] 등의 패망으로 좌절되고 말았다.
 
[[1940년]]은 처칠이 [[노동당 (영국)|노동당]]을 포함한 거국 내각을 표방함에 따라, 일부 반공주의자들이 신봉했던 파시즘이 독일과 이탈리아 국경을 넘어 영국에서도 하나의 이념으로 민주주의와 대적할 수 있었던 해였다. 훗날 마이클 푸트는 "1940년은 우파에게 징발당한 대단히 상징적인 해"라고 말했다.<ref>앤드류 로버츠, CEO 히틀러와 처칠 리더십의 비밀 (이은정 역, 휴먼앤북스) 46페이지</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