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량 해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86번째 줄:
[[울돌목]](명량해협)은 수심이 얕아서 배가 항해할 수 있는 범위는 좁고, 그 중에서도 [[밀물]] 때 넓은 [[남해]]의 바닷물이 좁은 울돌목으로 한꺼번에 밀려와서 서해로 빠져 나가면서 해안의 양쪽 바닷가와 급경사를 이뤄 물이 쏟아지듯 빠른 조류가 흘렸다. 울돌목 물살의 또 다른 특징은 수십 개의 크고 작은 [[암초]]가 솟아 있다는 점이다. 급조류로 흐르던 물살이 암초에 부딪혀 방향을 잡지 못하고 [[소용돌이]]치게 되는 것이다.<ref>울돌목(명량해협)에는 현재 [[진도대교]]가 건설되어 있으며 조류의 속도는 예전에 비해 다소 줄었다.</ref>
 
따라서 통제사 이순신과 제장들은 울돌목에서는 전투가 불가하다는것을 깨닫고는 판옥선을 이끌고 우수영(右水嶺) 앞바다인 임하도(林下島)로 진을 옮긴 것이다. 임하도는 [[도도다카토라]](藤堂高虎)의 "고산공실록(高山公実録)"에 기록된 대로 물살이 약한곳이요. 모리고정(毛利高政)의 "모리고동문서(毛利高棟文書)"에 기록된 대로 신성해협(명량해협)입구가 된다. (지금의 임하도 안쪽 해역은 간척이 되어서되어 육지로세광염전이 변했는데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당시엔 그곳까지 일본 수군이 몰려서 격파되었을 것이다.)</br>
 
일본 수군 지휘부는 순류에 맞춰 명량해협(울돌목)을 단숨에 넘어가 고니시 육군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특히 구루시마 수군은 원래 해적 출신으로 이 같이 물살이 빠른 지역을 근거로 했던 바, 빠른 물살에 익숙한 이들은 [[명량해협]]에서 이순신이 막는다 하더라도 무리없이 전개할 수 있으리라 자신했다.<br>
명량해전에서 전사한 칸 히라우이몬 미치나가(菅平右衛門達長)의 서자인 칸 마타시로 마사케가(菅野又四郎正陰)도 수전에 능한 일본군 장수이다. 그러나 일본군은 서해 물길을 잘 몰랐으니 당시 길목이었던 임하도(林下島)의 좁은 수로를 통과하기로 마음 먹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