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서 (1948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4개월 동안 출처제시 없어 삭제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인물정치인 정보
|그림 =
|크기 =
|이름 = 박기서<br>朴琦緖
|그림설명 =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만나이|1948|12|9}}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정읍시|정읍]]
|정당 = [[무소속]]
|거주지 =
|사망일 =
|사망지 =
|별명 =
|경력 =
|학력 =
|직업 = 택시 기사, <br/> 사회운동가 <br/> 前 버스 기사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천주교]](세례명: 요셉)
|부모 =
|친척 =
줄 23 ⟶ 18:
 
== 안두희 살해 ==
[[1996년]] [[10월 23일]] 경기 부천에서 [[소신여객|소신여객 시내버스 기사]]로 일하던 박기서는 휴가 기간 중 백범 김구 암살범인 안두희를 처단하기로 결심한 후 부천시장의 그릇가게에서 홍두깨 비슷한 40cm 크기의 몽둥이를 4천원 주고 사서 오전 11시 30분 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에 있는 [[안두희]]가 사는 아파트에 들어간다. ‘정의봉(正義棒)’이라고 쓴 홍두깨와 장난감 권총을 지니고 [[안두희]]의 부인을 묶은 뒤 옆방에 있던 [[안두희]]에게 장난감 권총을 겨누며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권총이 불을 뿜는다" 고 고함을 쳤다. 이어 준비해간 나일론 끈으로 안두희의 두손을 묶고 '정의봉으로 사정없이 구타했다. 숨이 차면 냉장고에서 찬 물을 꺼내마셔가며 계속 몽둥이로 두들겨 패서 결국 몽둥이로 때려 죽였다. 당시 중풍에 걸려있던 안두희는 무언가를 얘기하려는 듯 입을 움직였다고 한다. 박기서는 안두희가 숨진것을 확인하고 곧바로 신곡본동 성당에 가서 고해성사를 한뒤 경찰에 자수했다. 고해성사를 받은 이준희 신부는 이렇게 회고 했다회고했다. "박기서 씨는 김구선생을역사적으로, 김구 선생을 죽인 안두희는 당연히 처벌받아야 하는데 역사가그아직도 역사가 그 일을 하지 않으니 자신이 사명감을 갖고 죽였다고 고백했습니다. 그러면서 안두희의 장례와 그의 영혼에 대해 걱정하면서 성당에서 안두희의 장례를 치르는데 차라리 도움을 줄 수 없느냐고 물었습니다." 성당에서 고해성사를 마친 후 인천중부경찰서로 연행되어 긴급 구속되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02400209101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0-24&officeId=00020&pageNo=1&printNo=23347&publishType=00010 백범 암살범 안두희 씨 피살], 동아일보, 1996-10-24 작성.</ref> 그는 범행동기에 대해 자신은 학창시절부터 김구를 존경해 왔고 95년1995년 초 백범일지를 읽은 뒤 백범의 유지를 이어야겠다고 결심했으며, [[권중희 (1936년)|권중희]]가 쓴 '역사의 심판에는 시효가 없다' 책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진술했다. 또한 '의로운 일을 했기 때문에 후회는 없다.'라는 진술도 하였다. 박기서는 범행 직전 권중희에게 전화를 걸어 안두희를 죽이겠다고 했으나, 권중희는 그를 살려 두어 김구의 살해동기와 배후세력을 알아내야 한다면서 범행을 말렸다고 한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02400329103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0-24&officeId=00032&pageNo=3&printNo=15918&publishType=00010 안두희 피살 범인주변-동기 평소 백범 추앙...응징 결심], 경향신문, 1996-10-24 작성.</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02400329103005&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0-24&officeId=00032&pageNo=3&printNo=15918&publishType=00010 '의로운 일 했기에 후회는 없다'], 1996-10-24, 한겨레, 인천 박덕영 기자.</ref>
 
범행이 언론을 통해 알려진 후, 사회 각계 인사들이 '백범 김구 암살범 안두희 처단 박기서 의사 석방 대책위원회' 를 조직하여 9,200명이 서명한 탄원서를 인천지방법원에 제출하는 등 구명 운동을 펼쳤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02700209126009&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0-27&officeId=00020&pageNo=26&printNo=23350&publishType=00010 안두희 살해 박씨 각계서 구명운동], 동아일보, 1996-10-27</ref><ref>{{웹 인용|url=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525|제목=안두희, 김구를 쏜 까닭은?(1949년 6월 26일)|성=김|이름=용삼|날짜=2015-06-26|웹사이트=|출판사=|확인날짜=2016-06-25}}</ref> 시민들은 그의 자택에 격려금과 위로 편지들을 보내기도 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10700289124008&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96-11-07&officeId=00028&pageNo=24&printNo=2720&publishType=00010 안두희 살해 박기서씨 격려금 밀물], 한겨레, 1996-11-07 작성기사.</ref>
줄 30 ⟶ 25:
 
== 사회 반응 ==
이 사건에 대해 '차라리 뒤늦게나마 안두희가 죗값을 치렀다.'라는 반응과 "안두희의안두희 죽음에 연민은 아직도 없으며 진실규명이 남아 있다."라는 반응들이 나왔으며 박기서의 행동을 '제2의 독립운동가'로 칭송하는 평가도 나왔다. 반면 '안두희가 죽어 암살사건의암살 사건의 배후가 가려지게 되었으므로 그는차라리 박기서는 애국자가 아니라 안두희 살해를 자행하였기에 오히려 배후를 감춘 사람암살 배후 은폐 방조자'이라는 평가도 있었고, '안두희 그가 만고 역적이라지만 하지만 중풍을 앓는 노인을 때려죽인 것은 명백한 [[린치|사형]](私刑, 린치)이 아닌가 그것을 먼저 짚어 보아야 할 것'이라는 비난도 나왔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02500329122005&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0-25&officeId=00032&pageNo=22&printNo=15919&publishType=00010 안두희 살해 각계의 반응], 경향신문, 1996-10-25 작성.</ref> 권중희 저서 《역사의 심판에는 시효가 없다》가 박기서의 범행동기가 되었다는 것이 알려지자 주요 서점에 책을 구입할 수 있느냐는 시민들의 전화문의가 폭주하기도 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102500329123007&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10-25&officeId=00032&pageNo=23&printNo=15919&publishType=00010 권중희 저 '역사의 심판...' 불티], 경향신문, 1996-10-25, 정길근 기자.</ref>
 
== 같이 보기 ==
줄 42 ⟶ 37:
== 참고 자료 ==
* 『김구암살범 안두희 배후(버스 운전기사 박기서 안두희 살해 내막)』, 문일석 저, 한솔미디어(1996년), [숨어있는 한국 현대사- 일제강점기에서 한국전쟁까지, 아무도 말하지 않았던 그날의 이야기] 임기상 저, 인문서원(2014년)
 
{{토막글|대한민국|기독교}}
 
[[분류:1948년 태어남]]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한국의 암살자]]
[[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
[[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분류:국민주의 암살자]]
[[분류:정읍시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