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트 슈바이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83.97.227.197 (토론)의 2개의 편집을 망고소녀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TW)
29번째 줄:
=== 유년 시절 ===
==== 귄스바흐 ====
계몽사 어린이 그림위인전기 《슈바이처》(김풍연 지음, 김동명 그림, 계몽사)에 따르면, 슈바이처는 [[1875년]] [[알자스]]의 [[케제르베르|카이제르스베르]]에서 [[루터교]] 목사인 루이 슈바이처 목사의 큰아들로 태어났으며, [[몸]]이 약한 [[아들]]의 [[건강]]을 걱정한 [[부모]]의 뜻에 따라 공기가 맑은 [[농촌]] 귄스바흐에서 자랐다. 형제로는 누나 루이제, 여동생 2명, 남동생 1명이 있었다. 그가 태어난 [[알자스]]는 [[독일]]과 [[프랑스]]의 영토 다툼이 심하던 곳으로 그가 태어날 당시에는 독일 영토였으나, [[제1차 세계 대전]] 후 [[프랑스]]로 넘어가 현재에 이른다. 슈바이처도 [[알자스]]의 [[국적]]이 바뀌면서 [[1919년]] [[독일]]에서 [[프랑스]]로 [[국적]]을 바꾸었다.
 
===== 고등학교 =====
자서전 '나의 생애와 사상'에 따르면, 슈바이처는 [[1884년]]까지 마을 학교에서마을학교에서 [[공부]]하고, [[1885년]] 뮌스터 [[레알슐레|실업중학교]]([[라틴말]] 같은 고전말을 가르치지 않는 학교, 한국식으로 말하면 [[한문]]을 가르치지 않는 학교)에서 [[공부]]했다. [[라틴말]]을 개인지도받으며개인지도를 받으며 [[고등학교]] 진학을 준비했다. 뮐루즈고등학교에 진학했다.
 
===== 작은 할아버지댁에서 학교를 다니다 =====
여러 위인전들은 게오르크라는 또래친구가 "너처럼 고기수프을 먹고 자랐으면 씨름에서 이겼을 거야."라고 말했다는 [[이야기]]를 쓰고 있다.<ref>[[계몽사]] 그림위인전기《슈바이처》등</ref> 그런데 이는 과장되었거나 잘못된 정보로, 슈바이처 집안은 빠듯한 살림살이였다. [[자서전]] 나의 생애와 사상사상에 참조에서따르면, 슈바이처는 [[고등학생]] 때에 루트비히 슈바이처 작은할아버지<ref>자서전에 따르면, 슈바이처에게는 할아버지의 이복형제였고, 대부모이기도 했다. 여기서 대부모란 [[루터교회]]와 [[성공회]]에서 [[세례]]와 [[견진]]을 받을때에 [[그리스도교]] 신앙을 가르치는 [[후견인]]을 말한다.
</ref> 댁에서 공부했다. 부친이 개신교 교회에서 목회하여 받는 박봉으로 [[대가족]]을 돌보아야 하는 빠듯한 살림살이 때문에, 작은할아버지 댁에서 [[학교]]를 다님으로써 생활비를생활비 부담을 덜어야 했던 것이다. 그 분들에게는그분들에게는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슈바이처를 엄격하면서도 자상하게 가르쳤고, 슈바이처는 그 분들의그분들의 정성어린 교육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한다고 했다.
 
====== 베만 선생님 ======
뮐루즈고등학교 때에 성적이 나빴는데 [[한국]]의 [[한문]]이라 할 수 있는 [[라틴어]]가 부족해서였다. 나의 생애와 사상에 따르면, 4급반 때에 베만 선생님이 공부 방법을공부방법을 가르쳐 주어서 성적이 좋아졌다. 베만 선생님은 미리 준비해서 학생들을 가르쳐서 슈바이처는 무척 감동받았다. 하지만 [[제1차세계대전]] 때에 [[식량난]]이 심각해져서 [[굶주림]]과 [[정신장애]]<ref>[[신경]]이나 [[뇌]]의 이상으로 생기는 [[장애]]. [[대한민국]]의 [[장애인 복지법]]에서는 1년 이상 [[치료]]를 해도 낫지 못하여 [[장애]]가 분명하다고 생각되는 [[우울장애]], 반복성 우울장애, [[조현병]], [[양극성 정동장애]]([[조울증]]) 등을 [[정신장애]]로 보고 있다.</ref>에 [[통증|고통]]받았으며, 결국에는 [[자살]]하고 말았다.
 
====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관심 ====
49번째 줄:
 
==== 음악 ====
[[음악]]을 좋아한 슈바이처는 성 [[스데반성 스테파노|성 스테판]] [[개신교루터교|루터교회]] 교회에서에서 오르간을 연주하는 오이게네 뮌히 선생님에게 오르간을 배웠다. 그는 어려서부터 오르간을 배워 아버지가 목회하는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를 하였으며 1906년 파리의 바흐 협회 설립에 협력하고, 그곳의 오르간 연주자를 겸하였다. 아프리카 봉사를 위한 기금 마련을 위해 유럽순회 연주회를 가지기도 했으며 소니음반을 통해 바흐의 푸가 등을 음반녹음도 했다. 바흐의 작품에 대한 책도 썼다(바흐의 오르간 작품 ''Bachs Orgelwerke'').
 
=== 신학 ===
55번째 줄:
 
=== 목회 ===
[[1899년]] [[스트라스부르]]의 [[목사]]가 되었으며, [[1902년]] 모교의 신학부 강사가 되었다. [[성 니콜라우스|성 니콜라이]] 루터교회의 부목사로 목회할 당시 슈바이처 목사는 [[견신례]]를 준비하는 청년들과 자유롭게 [[토론]]을 했는데, 이는 그가 사목하던 [[교회]]에서 놀라운 일로 받아들여졌다.
[[파일:Albert Schweitzer, Etching by Arthur William Heintzelman.jpg|200px|오른쪽|섬네일|알베르트 슈바이처, 아서 윌리엄 하인젤만의 에칭 작품]]
 
63번째 줄:
 
==== 의료봉사자가 되기 위한 준비 ====
슈바이처의 자서전 나의 생애와 사상에 따르면, 그는 21세 때 '30세까지는 학문과 예술 속에서 살고, 그 후부터는 인류에의 직접 봉사 활동으로 들어가자'는 결심을 실현하기 위하여 [[의학]]을 공부하여, 30세 되던 해인 [[1905년]] [[의학]]과정에 진학했다.
 
==== 아프리카로 ====
73번째 줄:
 
==== 아프리카로 돌아가다 ====
그 후 [[독일]]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하자 슈바이처의 고향은 [[프랑스]] 영토가 되었고, 이에 따라 그는 프랑스 국적을 선택할 수 있었다. 슈바이처는 [[프랑스]] [[식민지]]였던 [[가봉]]에서 활동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국적을 [[독일]]에서 [[프랑스]]로 바꿨다. 그 후 6년간 유럽 각지로 돌아다니며 강연과 [[파이프 오르간|파이프오르간]] 연주로써 모금을 한 다음 다시 [[1924년]] [[아프리카]]로 돌아갔으나, [[병원]]은 부서져 뼈대만 남아 있었다. 다행히 여러 곳에서 후원금이 들어와 병원은 곧 다시 세울 수 있었다. 당시 유럽은 제1차세계대전이 끝나고 전후복구를 하던 때였기 때문에, 후원자들의 처지는 어려웠다. 그럼에도 병으로 고통받는 아프리카 [[민중]]들을 위해 기꺼이 후원한 것이었다.(의료선교 이야기인 물과 원시림 사이에서 참조) 그를 돕기 위하여 [[의사]]와 [[간호]]사들이 그곳으로 자원하러 왔다. 그는 [[한센병]] 환자 거주지도 추가로 세우는 등 활발한 활동을 했으며, [[정신장애]]인들을 위한 의료시설도 만들었다. 그의 이러한 활발한 활동은 36명의 백인 의사, [[간호사]] 그리고 다수의 [[원주민]] 직원들의 봉사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병원운영에 필요한 돈은 3년에 한 번 꼴로 [[유럽]]으로 돌아와 연주회를 열어 번 돈과 저서의 인세, 강연으로 받은 돈과 기부금으로 충당되었다. [[1957년]] [[라디오]] 강연과 [[신문]] 기고를 통해 [[핵무기]]에 반대하는 [[반핵]]운동을 하였으며, [[1965년]] 랑바레네에서 90세 생신잔치를 마지막으로, 그가 사랑하는 [[바흐]]의 음악을 들으면서 90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 사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