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여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사망일= [[1631년]] [[9월 28일]] (75세)
|사망원인= 병사(노환)
|거주지= [[경상도]] [[봉화군]] 내성면 도촌리->[[경상도]] [[[[순흥군]] [[용암면]] 감곡리
|국적= [[조선]]
|별명= 자(字)는 덕훈(德薰) <br /> 아호(雅號)는 취사(炊沙), 감곡(鑑谷), 감계(鑑溪), 도촌(道村), 만취헌(晩翠軒)
21번째 줄:
|웹사이트=
}}
 
'''이여빈'''(李汝馪, [[1556년]] [[9월 11일]] ~ [[1631년]] [[9월 2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학자이자 문신, 시인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다. [[1591년]](선조 24년) 식년과 진사시에 합격하고 [[1605년]](선조 38) [[문과]]에 급제한 후 [[벽사도]]찰방으로 나갔다가 1년만에 사퇴하였으며, 통훈대부 [[성균관]]전적(通訓大夫 成均館典籍)에 이르렀다. [[이황]], [[이언적]]의 [[문묘]]종향을 반대하는 [[이이첨]], [[정인홍]] 등을 공박하여 규탄하기도 했다. 또한 [[대북]]의 [[인목대비]] 폐모론과 [[영창대군]] 사사 여론을 조성할 시, 그는 전은설(全恩說)을 주창, 전은소를 지어 올리고 [[인목대비]] 폐모와 [[영창대군]] 사사의 부당함을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 [[인수정]]에 우거하며 시문과 후학 교육에 전념하였다.
 
줄 27 ⟶ 28:
== 생애 ==
=== 생애 초반 ===
취사 이여빈은 [[1556년]] [[9월 11일]] 도촌 [[이수형]](桃村 李秀亨)의 4대손으로, 영천 도촌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홍천]][[현감]] [[이대근]](李大根), 할아버지는 [[정략장군]] [[충좌위]]부호군 이당이고이당(李木+堂)이고, 아버지는 [[장사랑]] [[기자전]]참봉을 지낸 이효신(李孝信)이고, 어머니는 [[조선 태종|태종]]의 차남 [[효령대군]] 보의보(孝寧大君 4대손이며補)의 4대손으로 서원군 이친의 증손이고, 황려부정 이종(黃驪副正 李悰)의 아들 어모장군 사직(司直) [[이귀윤]](李貴胤)의 둘째 딸이다. 형제로는 삼척교수(三陟敎授) 이신도(李信道)에게 출가한 누나와 형 여형(汝馨), 동생으로는 훈도를[[훈도]]를 지낸 여암(汝馣), 훈도를 지낸 여함, 여필, 여온 등이 태어났다.
 
부인은 예안김씨로 문절공 무송헌 [[김담]](撫松軒 金淡)의 5대손이며, 고조부는 [[성균관]]생원 증 좌통례 김만칭(金萬秤), 증조부는 증이조판서 김우(金佑)이며, 조부는 생원 김사명(金士明)이고, 아버지는 참봉 김욱(金曰+助)이고이며<ref>문절공 김담은 이여빈에게 외5대조가 된다. 이여빈의 고조할머니의 친정아버지이다.</ref>, 어머니는 안동권씨로 찰방 증 승지 권동필(權東弼)의 딸이다. 예안김씨 부인에게서 아들 5, 딸 5명을 두었으나 딸 3명과 아들 1명은 태어난지 얼마 안돼 요절하고<ref>부인의 제문에 "産子女各五。而女三男一在襁褓不育"이라 하였다.</ref>, 다음 권람(權欖)에게 출가한 딸이 태어나고, 그 뒤로 아들 성균관생원 성화(成樺), 성림(成林), 선교랑 성재(成材), 성운(成橒), 끝으로 임지경(任之敬)에게 출가한 딸이 태어났다. 예안김씨 부인은 [[1618년]] 염질(染疾)로 갑자기 사망하였다.
 
어려서 진사 [[한우]](韓佑)의 문하에서 수학하다, 뒤에 남계(南溪) [[허충길]](許忠吉)의 문하에서 수학했고 뒤에는 퇴계 [[이황]]의 제자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문하생이 되었다. 자(字)는 덕훈(德薰), 호는 감곡(鑑谷)이라 하였고, 첫 호는 도촌(道村)이었다가 뒤에 감곡이라 하고, 뒤에 만년에 취사(炊沙)라는 호를 쓰기도 하였다. 그밖에 별호로 만취헌(晩翠軒)이라는 별호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