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마르크스주의는 사상에 대한 다른 분파와 학파들로 발전했다. 각기 다른 학파들은 고전 마르크스주의(classical marxism)의 특정한 면을 크게 강조하는 반면 마르크스주의의 다른 면은 강조하지 않거나 거부하며 때로는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비마르크스적 개념과 결합하기도 한다. 마르크스주의의 몇몇 변형체들은 주로 마르크스주의의 한 부분을 사회 발전의 결정적인 힘으로 보고 초점을 맞춘다. 이를테면 생산양식, 계급, 힘의 관계 또는 재산 소유와 같은 것들이 있다. 반면에 다른 면들은 덜 중요하다거나 현재의 연구는 상관없다고 주장한다. 비슷한 전제를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마르크스주의의 다른 학파는 서로 다른 모순된 결과에 이를 수가 있다.<ref>{{서적 인용|last= O'Hara|first= Phillip |title= Encyclopedia of Political Economy, Volume 2 |publisher= [[Routledge]]|date=September 2003|isbn= 0-415-24187-1|page = 107|quote=마르크스주의적 정치 경제학자들은 자본주의,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에 대해서 다른 견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들은 너무나 근본적이다. 서로 다른 확신을 가진 마르크스주의 정치 경제학자들은 때로 자본주의를 찬양하는 그들의 반대측만큼 의견이 격렬하기도 했다. (Marxist political economists differ over their definitions of capitalism, socialism and communism. These differences are so fundamental, the arguments among differently persuaded Marxist political economists have sometimes been as intense as their oppositions to political economies that celebrate capitalism.}}</ref> 그 사례로 서로 다른 마르크스 경제학자들의 [[경제 공황]]에 대한 설명들이 모순되고 그러한 공황에 대한 다른 예상을 하는 걸 들 수 있다. 게다가 마르크스주의의 다른 변형체들은 사회의 다른 면들을 연구하기 위해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적용한다( 예: 대중 문화, 경제 공황, 또는 페미니즘)<ref>{{서적 인용|last= Wolff and Resnick|first= Richard and Stephen |title= Economics: Marxian versus Neoclassical |publisher=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date=August 1987|isbn= 0-8018-3480-5|page = 130|quote= 독일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마르크스가 거의 손을 대지 못한 부류과 문제들로 이론을 확장시켰다. 법 시스템, 여성의 사회적 역할, 해외 무역, 자본주의 국가들의 국제 경쟁을 마르크스적 분석하고 사회주의로의 과도기에서 의회 민주주의의 역할은 토론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마르크스적 이론(단수)은 마르크스적 이론들(복수)에게 길을 내줬다.(The German Marxists extended the theory to groups and issues Marx had barely touched. Marxian analyses of the legal system, of the social role of women, of foreign trade, of international rivalries among capitalist nations, and the role of parliamentary democracy in the transition to socialism drew animated debates&nbsp;... Marxian theory (singular) gave way to Marxian theories (plural)).}}</ref>
 
이러한 이론적 차이들은 다양한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당과 사회주의를 이루기 위한 다른 정치 전략을 포용하는 정치 운동을 이끌었고 서로 다른 프로그램과 정책들을 옹호한다. 이 한 가지 예는 20세기 동안 개혁적 사회주의자들과 [[독일 사회민주당]]에서 나타난 [[사회개량주의]]자들의 분열이다. 비슷하게 비록 러시아의 [[볼셰비키]]파는 레닌주의와 이후 마르크스레닌주의만이[[마르크스-레닌주의]]만이 마르크스주의가 적법하게 발전한 것으로 선포했지만, [[멘셰비키]]파와 세계의 많은 다른 [[사회민주주의]]자들은 그것들을 원래 노선에서 벗어난 [[전체주의]]적인 것으로 보았다.
 
사회와 [[Marxist historiography|역사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이해]]는 고고학과 인류학<ref>Bridget O'Laughlin (1975) ''Marxist Approaches in Anthropology''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Vol. 4: pp. 341–70 (October 1975) {{doi|10.1146/annurev.an.04.100175.002013}}.<br />William Roseberry (1997) ''Marx and Anthropology''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Vol. 26: pp. 25–46 (October 1997) {{doi|10.1146/annurev.anthro.26.1.25}}</ref>, [[미디어 연구]],<ref>S. L. Becker (1984) "Marxist Approaches to Media Studies: The British Experience",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1(1): pp. 66–80.</ref> [[정치 과학]], [[연극]], [[역사]], [[사회학]] , [[미술사]]와 [[미학]], [[문화적 연구]], [[교육]], [[경제학]], [[지리학]], [[문학 평론]], 비판 심리학(critical psychology) 및 [[철학]] 분야의 학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졌다.<ref> 보기 [[Manuel Alvarado]], Robin Gutch, and Tana Wollen (1987) ''Learning the Media: Introduction to Media Teaching'', Palgrave Macmillan.</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