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적당한 사유가 없음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45번째 줄:
한국어의 계통에 대해서는 여전히 정설이 성립하여 있지 않다. 근대에 핀란드의 언어학자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Gustaf John Ramstedt)가 대어족 가설인 [[알타이어족]]설을 제시할 때 한국어를 포함한 것을 시작으로 예프게니 폴리바노프, 로이 앤드류 밀러 등 20세기 중반 많은 언어학자들에게서 해당 가설이 지지받았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구미권 주류 언어학계에서는 과학성 부족을 이유로 알타이어족의 성립 자체를 부정하며 한국어를 독자적 어족으로 간주한다. 한국 학계의 민족주의 성향의 역사언어학자들은 알타이어족설에 대해서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며, 또한 다양한 언어학자들에 의해 부여어족 가설로서 한국어와 [[일본어]]의 동계설도 주장되었다. 언어유형학으로 한국어는 낱말이 그 어떤 형태상의 어형변화를 하지 않고, 문법적 관계가 주로 어순에 의해 표시되는 언어인 [[고립어]]와 다르게 어형변화가 많은 [[교착어]]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1636&cid=40942&categoryId=32972| 고립어의 정의]{{깨진 링크|url=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1636&cid=40942&categoryId=32972%7C }}</ref>
 
한국어의 유래와 함께 그 발달 과정도 베일에 싸여 있는데, 중세 한국어 이전의 기록이 극도로 부족하다는 점, 그리고 고대 한국어의 기록이 [[한자]]로 되어 있어 그 해석에 따라 음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등이 연구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때문에 고대 한반도 언어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 [[지명학]]적 흔적은 크게 유의미하다. 역사적 발달에 관한 일반적 관점은 한국어족 화자 집단이 [[만주]] 지역에서 남하하면서 [[한반도]]에 정착하게 되었다는 주장이다.<ref name = "Vovin2013">Vovin, Alexander (2013), "From Koguryo to T'amna", Korean Linguistics 15:2</ref> 한국어가 만주 등 북방 지역에서 유래하였다는 가설은 [[퉁구스어족]]에서 고대 한국어의 흔적이 나타나고 역으로 한국어 음운에서도 [[고시베리아제어]]와의 접촉 흔적이 개연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유력하다.<ref name = "Vovin2013"/><ref>{{Cite서적 book인용|url=https://books.google.com/?id=cC9tDwAAQBAJ&pg=PA25&lpg=PA25&dq=koreanic+languages+origin#v=onepage&q=koreanic%20languages%20origin&f=false|title=A typology of questions in Northeast Asia and beyond: An ecological perspective|last=Hölzl|first=Andreas|date=2018-08-29|publisher=Language Science Press|isbn=9783961101023|language=en}}</ref>
 
한편 하위 계통으로서는 [[이기문 (언어학자)|이기문]] 등이 정립한 한-부여 분류가 국내외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 한-부여 분류는 고대 한반도 지역에서 사용된 언어의 분류로, [[고구려어]], [[백제어]]를 포함하는 부여계 제어와 [[신라어]]를 포함하는 한계 제어로 이루어진다.<ref>Young Kyun Oh, 2005. ''Old Chinese and Old Sino-Korean''</ref> 다만 학자에 따라 그 차이가 방언 수준에 지나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하기도 하며, 이런 경우 이 분류는 편의상의 구분에 지나지 않게 된다. 한편 [[크리스토퍼 벡위스]]는 부여계 언어가 신라어와 완전히 달랐으며 일본어와 연관되어 있다는 [[부여어족]] 가설을 주장하였으나 여러 오류가 지적되어 보통 받아들여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