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골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44번째 줄:
 
== 저수지냐 방조제냐 논쟁 ==
[[이영훈 (경제학자)|이영훈]] 전 교수는 [[2007년]] 계간지 '시대정신' 여름호에 소설가 [[조정래]]의 대하소설 '아리랑'을 비판하는 글을 실으면서 소설의 무대인 김제·만경평야와 벽골제 관련 서술이 잘못됐다고 지적했다주장했다. 이 교수는 이 글에서 "벽골제는 농업용 저수지가 아니라 바닷물의 침입을 막는 방조제였다"며 "김제·만경평야 지대는 1900년대까지도 대부분 황량한 불모의 땅이었으며, 러·일전쟁 이후 들어온 일제가 간척사업과 수리사업을 전개하면서 농업지대로 변모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ref>중앙일보, 2013년 1월11일, '김제 벽골제 미스터리…삼국시대 저수지 맞나, https://news.joins.com/article/10392376</ref> 이에 대해 [[허수열]] 전 충남대 교수가 [[2012년]] 1월 자신의 저서 '일제 초기 조선의 농업-식민지근대화론의 농업개발론을 비판한다'에서 『삼국유사』 『조선왕조실록』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기록과 김제 일대 수리조합·토지개량·하천개수 관련 사료 등을 제시하며 "벽골제는 저수지로 설립됐으나 저수지로 기능한 것은 극히 일부 기간에 불과했고 세종대 이래 일제 초까지 제방 일부가 파괴된 채 방치됐다", "김제·만경평야 지대는 일제의 개발 이전에 이미 조수의 침입에서 비교적 안전한 농업지대였으며, 일제의 개발에 의해 비로소 농업지대로 변모한 곳이 아니었다"며 "벽골제가 큰 규모의 저수지였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 전 교수는 [[2013년]] '경제사학'(53호)에 발표한 논문 '혼란과 환상의 역사적 시공-허수열의 『일제 초기 조선의 농업』에 답한다'에서 "『삼국유사』 등의 기록을 바탕으로 벽골제를 저수지로 본다면, 오늘날 춘천 소양강댐보다 10배는 더 큰 면적이 나오는데, 4세기 초반에 그런 저수지를 만들어 대규모 간척사업을 벌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유럽에서도 간척사업이 활성화되는 것은 13세기에 와서다"라며 "근대 이전 기록을 사료비판 없이 맹신해선 안 된다. 4세기 초 한반도 인구는 200만∼300만 명 수준이고, 아직 석기를 사용하고 움집에서 살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대규모 농업용 저수지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 전 교수는 사람들이 벽골제를 저수지라고 생각하게 된 이유로 1000여 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토양이 쌓이는 충적 작용을 들며 "벽골제의 정체는 향후 고고학·지리학·토목공학·수리공학 분야의 연구성과를 수용하며 풀어갈 문제다. 그럼에도 330년경에 해안을 막고 그 같은 방조제를 만든 사실만으로도 대단한 일"이라고 말했다.<ref>중앙일보, 2013년 1월11일, '김제 벽골제 미스터리…삼국시대 저수지 맞나, https://news.joins.com/article/10392376</ref>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