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구르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 근연민족 =
}}
'''위구르족'''({{llang|ug|ئۇيغۇر}}, {{llang|tr|Uygurlar}}, {{llang|en|Uyghur people}})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중앙아시아]]에 살고 있는 민족이다. 스스로는 [[동투르키스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웨이우얼족'''({{zh-stp|s=维吾尔|t=維吾爾|p=Wéiwú'ěr}}, {{llang|ko-cn|위글족}})이라는 이름으로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인정한다. 역사적으로는 744년, 위구르족은 [[바스밀]](Basmil), [[카를룩]](Qarluq) 등의 부족과 함께 [[돌궐 제2카간국|후돌궐 제국]]을제2제국을 멸망시키고 외튀켄(Ötüken)산에서 [[위구르 제국]]을 세운다.
 
중국뿐 아니라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몽골]], [[우즈베키스탄]], [[독일]], [[터키]], [[러시아]] 등에도 소수가 흩어져 살고 있다. 중국에서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뿐만 아니라 [[후난성]] [[창더 시]]의 [[타오위안 현 (창더 시)|타오위안 현]]({{llang|zh|桃源县}})에도 살고 있으며, [[베이징]]이나 [[상하이]]와 같은 주요 도시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작기는 하지만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뉴욕 시]]와 [[워싱턴 D.C.]]에도 위구르족 공동체가 있으며, [[캐나다]]의 [[토론토]]와 [[밴쿠버]]에도 살고 있다.
 
위구르족이 원래부터 살고 있던 우루무치는 중앙아시아에서는 먼 거리에 존재한다. 우루무치는 몽골 서쪽에 더 가깝다. 우즈베크인은 투르크계이지만 위구르와는 한국인과 일본인정도의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위구르족은 키르기스인과 카자흐스탄인과 좀 더 유사성을 보이며 비슷한 단어가 있지만 언어는 전혀 통하지 않는다.
36번째 줄:
위구르족의 조상은 유목 [[가오처]](高車, 고거)족이다. 타림분지에 살았던 [[토하라인|토하라]](Tocharians, 月氏)족 역시 위구르의 조상에 포함된다고 보기도 한다. 가오체의 이름은 천막을 옮기기 위한 소가 끄는 수레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들은 바이칼호 남쪽 협곡과 예니세이 강 일대에 사는 알타이계의 유목민족이었다. 이들은 약간의 농업과 예니세이강 유역의 풍부한 철광석을 바탕으로 금속문화를 발달시켰다. 이후 [[흉노]]에 복속되어 무기를 제공하였으며 이후 [[유연 (나라)|유연]]과 [[에프탈]]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450년 가오체는 유연에 반란을 계획하였으나 유연 지배하의 투르크족에 패배한다. 이 사건은 [[돌궐]]제국을 오래 괴롭힌 역사적인 투르크와 [[퇼레스]](鐵勒, 철륵)간 원한의 시작이었다. 돌궐이 유연/에프탈을 패배시켰을때, 그들은 퇼레스의 새로운 지배자가 된다.(이 시기에 고거족의 이름은 퇼레스로 바뀐다.) 이 시기에 위구르는 처음으로 중국의 사서에 바이칼 남쪽 지역의 10,000호의 작은 부족으로 기록된다.
 
퇼레스 부족연맹이 와해되자, 위구르는 중국의 [[수나라]]와 연합한 [[설연타]](薛延陀) 연합에 참여하며, 타르두한을 꺾고 독립을 쟁취한다. 이 연합은 603년부터 [[당 태종]]이 돌궐제국에 결정적 타격을 준 [[630년]]까지 그 자치의 정도를 달리 하며 존재했다. 이 시기에 위구르는 연합 내에서 설연타 다음의 지위를 점유하였다. [[전돌궐]]과동돌궐과 [[후돌궐]]의돌궐 제2제국 사이 공백기인 [[630년]]에서 [[683년]] 사이 위구르는 설연타를 무너뜨리고 부고(僕固), 동라(同羅), 바이르쿠(拔野古) 등 다섯 부족들과 함께 위구르 연합을 구성하여 독립을 선언한다. 중국 측천무후의 재위기간에 후돌궐이 세워지고, 위구르는 다른 유목 터키계 부족들과 함께 [[후돌궐돌궐 제국]]에제2제국에 참여한다복속된다. 후돌궐돌궐 제국은제2제국의 [[734년]] 빌케가한(毗伽可汗)의 사망 이후 그 세가 기울게 된다. 위구르는 중국 동맹국들과 연합한 일련의 반란 뒤에 9개 부족이 연합한 토쿠즈-오구즈(Toqus-Oghuz)라는 부족연맹을 통합하여 새로운 동맹세력, 온 위구르(On-Uygur)의 지도세력이 된다. 십성회흘(十城回吃) [[744년]], 위구르는 [[바스밀]](Basmil), 카를룩(Qarluq) 등의 부족과 함께 후돌궐돌궐 제국을제2제국을 멸망시키고 외튀켄(Ötüken)산에서산에서부터몽골초원을몽골고원을 정복하고 위구르 제국을 세운다.
 
=== 오르콘 위구르 제국 ===
{{본문|위구르 제국}}
[[파일:East-Hem 800ad.jpg|섬네일|250px|8세기의 위구르 제국]]
'''오르콘 위구르 제국'''은 [[744년]] 쿠틀룩 보일라(Qutluɣ Boyla, 骨力裵羅)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840년]]까지 [[카스피 해]] 유역에서 [[만주]]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점유하였다. [[오르콘 강]] 유역의 광활한 스텝지역을 지배하였으며 수도는 현재의 [[카라 발가순]](Qara Balɣasun)에 위치한 오르두 발릭(Ordu Balïq)이었다. [[757년]] [[안사의 난]]으로 당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당나라 수도 [[장안]](長安)에 진군하여 장안을 붙태우고 유린하였다. [[759년]]부터 [[779년]]까지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762년]] 뵈귀(Bögü) 카간은 이란계 소그드인에게서 전파된 [[마니교]]를 국교로 받아들이고 점차 유목적 성격을 잃고 정착 농경사회로 탈변한다. 결국 군사력이 약해진 위구르 제국은 [[840년]] 다른 터키계 민족인 [[키르기즈]](Kyrgyz)에 의해 멸망한다.
 
=== 제국의 몰락과 분열의 시기 ===
47번째 줄:
 
==== 유고르 ====
세개의 위구르 지역중 동쪽에 있었던 나라는 현재 중국 [[간쑤 성]]의 [[장예 시|장예]]에 도읍한 '''간수 왕국'''([[870년]]~[[1036년]])이며 '''유고르'''라고도 한다. 유고르는 [[마니교]]에서 [[라마교]]로 개종하였는데, 서쪽의 다른 투르크계 사람들과 다르게 이들은 이후 이슬람으로 개종하지 않았다. 이들의 후손은 현재 위구르족과 분리된 중국의 소수민족인 [[유구르족]]이다. 전성을 누리던 유고르는 [[1028년]]부터 9년간 이어진 [[탕구트]] 왕국과의 치열한 전쟁에서 패하여 [[1036년]]에 흡수합병된다패한다.
 
==== 카라코야 ====
서쪽으로 이동한 사람들은 [[준가얼 분지|중가리아 분지]]와 [[타림 분지]]에 살던 다른 투르크계 부족과 함께 '''카라코야 왕국'''(高昌國, 856-866 CE 사이 건국)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인도유럽어족토하라인]]들의 토착 [[토하라인]]들과문화를 융합되었다받아들였다. 지배자의 호칭을 따서 '''이디쿠트'''(신성한 부, 영광)라고도 불렸던 이 나라는, 겨울의 수도인 [[투르판]]과 여름의 수도인 [[우루무치|베쉬발릭]], 그리고 쿠물, 쿠차에 기반한 불교국가였다. 이들은 위구르 문화의 정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카라코야는 [[몽골 제국]]에 복속되는 [[1209년]]까지 독립적으로 국가를 다스렸다. 중국에서 981년 황옌더를 사절로 보내 정주시킬 만큼 이들은 확고한 국가를 완성하였으며 몽골 제국에 복속된 이후에도 영주국가로서 [[1335년]]까지 명맥을 유지한다완성하였다.
 
카라코야 왕국에 토하라인이 참여한 것은, 현재의 위구르족이 투르크계뿐 아니라 인도유럽어족의 서역인들을 유전적/문화적으로 계승하고 있는 역사적인 근거이기도 하다.
 
==== 카라한 왕조 ====
줄 60 ⟶ 59:
카라한의 군림은 투르크 문화와 예술의 역사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 기간 동안 모스크와 학교, 다리, 그리고 [[카라반]]의 숙사가 지어졌다. [[카슈가르]], [[부하라]], [[사마르칸트]]는 배움의 중심이 되었고 투르크 문학이 발달했다. 이 시기의 중요한 작품으로는 Yusuf Balasaghuni의 1060년대 작품인 《Kutadgu Bilig》 ({{llang|ko|행복을 주는 지식}})이 있다.
 
[[우루무치|베쉬발릭]]과 [[투르판]] 지역의 거주자들은 15세기 야르칸드 칸국의 세력 확장때까지 이슬람으로 개종하지 않았다. 이슬람으로의 개종 이전에 위구르족들은 마니교, 조로아스터교, 불교, 네스토리우스교였다.
 
==== 차가타이청나라 한국침략 ====
{{본문|차가타이 한국}}
 
[[차가타이 한국]]은 [[칭기즈 칸]]의 둘째 아들인 [[차가타이]] 칸이 세운 [[몽골 제국]]의 4한국중 하나이다. 오늘날 [[카자흐스탄]]의 동부에 위치한 [[일리 강]], 타림분지 서부의 [[카슈가르]]에서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의 [[트란스옥시아나]]에 이르는 지방을 다스렸다. [[중앙아시아]]와 [[이란]] 북부의 영토를 1242년 사망때까지 다스렸다. 이후 이 지역은 차가타이 한국으로 알려졌다.
 
1346년 차가타이드 통치자 [[카잔 칸]]의 사후 차가타이 한국은 서쪽의 [[트란스옥시아나]] 지역의 [[서차가타이 한국]]과 동쪽의 [[모굴리스탄]]/[[위구르스탄]]으로 나뉜다. [[서차가타이 한국]]은 각 부족의 지도자(아미르)들이 실권을 장악했다. 아미르들에 의해 임명된 칸은 실권을 잃은 허수아비였다. 동쪽에서는 [[투글리크 티무르]](Tughlugh Timur, 1347-1363)가 실권을 장악하고 모굴리스탄을 세운다. 이슬람 국가인 모굴리스탄은 [[투글리크 티무르]] 재위 때에 1360년, 1361년 두 차례 [[서차가타이 한국]]을 침략하여 일시적으로 정복했었다. 전성기에 그는 시베리아의 [[이르티시 강]]에서부터 아프가니스탄의 [[가즈니]]까지와 [[트란스옥시아나]]에서부터 [[타림 분지]]까지 장악했었다.
 
[[투글리크 티무르]]는 부족의 지도자들을 완전히 장악하지는 못했다. 1363년, 그의 죽음 뒤에 [[트란스옥시아나]]는 카라운의 수장인 아미르 후사윤에게 탈환되었다. [[트란스옥시아나]] 출신의 [[티무르]]는 [[칭기즈 칸]]의 후예를 자처하며 아미르 후사윤에 맞섰다. 1366년 그는 [[사마르칸트]]를 장악하였고, 1370년 그는 공식적으로 차가타이 칸으로 활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미르]]로 알려졌다. 30년간 티무르는 차가타이 지역을 기반으로 활발한 활동을 벌였으며 아프가니스탄의 [[헤라트]], 페르시아의 [[시라즈]], 이라크의 [[바그다드]], 인도의 [[델리]], 시리아의 [[다마스쿠스]] 등을 다스렸다. [[앙카라|앙고라]]의 [[오스만 투르크]]를 공격하고 티무르는 1405년 [[중국]]으로 진군하던 중 사망하였다. [[티무르 제국]]은 그의 아들 [[샤 루흐]]에 의해 계승되었고 1447년 사망 때까지 재위하였다.
 
1369년, 서차가타이 한국은 [[몽골 제국]]을 재건하려는 티무르가 계승하였다. 모굴리스탄은 차가타이드의 통치 하에서 티무르 제국과 동맹을 맺기도 하고 전쟁을 하기도 했다. 결국 17세기, 모든 차가타이 영토는 [[중가르 칸국|중가르]]의 갈단을 끌어들인 이슬람계 종교 귀족인 백산당의 [[아팍 호자]]와 그의 후손들에게 장악되었다. 티무르와 위구르족들은 투르크계 민족인 우즈베크인에게 정복당한다.
 
[[트란스옥시아나]]와 [[동투르키스탄]]의 타림분지는 이후 [[모굴리스탄]]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배계층인 모골(몽골)족의 이름을 딴 것이며, 인도의 [[무굴 제국]]을 세운 통치계층과 같다.
 
=== 만주족의 지배 ===
[[1644년]], 퉁구스 민족이었던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는 중국의 [[명나라]]를 정복하고 위구르를 [[1759년]] 침공하였다.
 
위구르족들은 독자적인 국가를 세우려고 한다. 하지만 이어 쳐들어온 만주족에 단결하여 맞서 싸우지 못하고 분열된다. [[아팍 호자]]는 위구르군을 이끌고 청군에 맞서 싸우지만 패배하여 서쪽의 [[카슈가르]]와 [[야르칸드|옐켄]]까지 밀린다. [[1759년]] 여름, 마지막 근거지인 카슈가르에서 도주한 위구르는 인도로 도망가기 위해 무리 4000명을 이끌고 파미르 산중으로 도망갔다가 살해된다.
 
위구르족들은 42차례 독립운동을 일으켰다. 특히, [[1820년]]에는 형 호자의 손자인 자항기르가 파미르를 넘어 반청운동의 기치를 높인다. [[1826년]], 그를 따르는 백산당의 무리를 이끌고 카슈가르를 함락하고 옐켄, [[호탄]] 등의 도시를 정복했지만, [[1827년]] 청의 대규모 지원군에 패배하고 파미르 산중에서 붙잡혀 처형된다. 19세기 중반, 청조가 혼란에 빠지면서 위구르족들은 일제히 일어나 저항했으며, [[카슈가르]]로 넘어간 자항가르의 일족은 제어할 힘을 잃은 청조를 상대로 성전을 부르짖었다. [[1864년]] 위구르 각지에서는 대대적인 반란이 일어났고 이를 통해 위구르는 동투르키스탄에서 청나라의 만주족들을 몰아낸다. 청나라는 이 지역을 완전히 상실하게 된다.
줄 86 ⟶ 73:
야꿉 벡은 군대의 무장을 위해 주민들로부터 많은 세금을 거두었으며, 자신과 같은 출신인 코칸트 인들을 중용하여 위구르족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다. 이러한 불만을 아우르기 위해 스스로가 이슬람의 수호자임을 피력했고, 백성들에게는 이슬람 율법의 준수를 강조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카슈가르의 '아팍 호자의 묘'를 중수하기도 했다.
 
청나라는 [[좌종당]]에게 군사를 어주 예티샤르로 진격했다. 주변국들은 당시 야꿉 벡이 서양에서 지원받은 신식 무기로 무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패배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섬서성과 감숙성의 회족 반란을 진압하고 타림분지로 진격해온 좌종당에게, 야꿉 벡은 치명적인 실수를 하고 만다. 협상을 하자는 좌종당의 작전에 말려서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야꿉 벡은 급사한다사망한다.
 
=== 동튀르키스탄공화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