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오쩌둥 사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7번째 줄:
[[니키타 흐루쇼프]] 집권 이후 소련은 노골적으로 자본주의국가와의 타협을 시도했으며, 과거 이오시프 스탈린의 이론적 경향성에 대해서 청산주의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중소분쟁]]의 시발점이 되었다. [[마오쩌둥]]은 흐루쇼프가 [[사회제국주의]](社會帝國主義) 정책을 취하고 있으며, 당을 수정주의로 지도하여 혁명의 퇴조를 가져온다고 비판하였다.<ref>{{저널 인용|last1=Scalapino |first1=Robert A. |year=1964 |title=Sino-Soviet Competition in Africa |journal=Foreign Affairs |volume=42 |issue=4|pages=640–654 |jstor=20029719|doi=10.2307/20029719 }}</ref> 그리고 그는 동유럽 지역에서 소련의 수정주의를 격렬하게 비판하던 알바니아의 [[엔베르 호자]]({{llang|sq|Enver Hoxha}})와 협력하게 된다. 엔베르 호자는 스탈린 정식을 따르는 철저한 스탈린주의자로, 소련의 수정주의를 비판하는 마오쩌둥의 사상을 받아들였고, 그 결과 교류가 오가면서 마오쩌둥 사상은 '아시아의 반수정주의'로 거듭나게 되었다.<ref>{{저널 인용|last=Marku|first=Ylber|date=2019-05-30|title=Communist Relations in Crisis: The End of Soviet-Albanian Relations, and the Sino-Soviet Split, 1960–1961|url=https://doi.org/10.1080/07075332.2019.1620825|journal=The International History Review|volume=0|issue=0|pages=1–20|doi=10.1080/07075332.2019.1620825|issn=0707-5332}}</ref> 이는 1964년 7월, 흐루쇼프에 대해 논평한 마오쩌둥의 입장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Quotation|흐루쇼프가 소련공산당과 국가의 지도자가 된 이래로, 그는 수정주의 정책의 모든 과정을 밀어부쳐 자본주의 세력의 성장을 크게 촉진하였고, 소련 내에서 프롤레타리아와 부르주아 사이의 계급투쟁 그리고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길 사이의 투쟁을 또 다시 첨예하게 만들었다. 지난 몇 년간의 소련 신문 기사를 훑어보면, 소련 사회 내에 과거 착취 계급의 수많은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부르주아 세대의 요소가 거대한 규모로 존재하며, 계급 양극화가 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많은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먼저 전 인민의 소유인 쏘비에트 기업소비에트기업 내에서의 다양한 부르주아적 요소들을 살펴보자. "국가 소유의 공장에서 지도적 관리들과 그 무리들은 그들의 지위를 남용하여 공장 설비와 재료를 사적 생산을 위한 '비밀 작업장'을 설치하는 데에 사용하고, 생산물을 불법적으로 판매하고 이권을 나누었다." …(중략)… 이제 집단농장에서 다양한 부농 분자들의 활동을 살펴보자. "몇몇 지도적 위치에 있는 집단농장 관리들과 그들의 무리들은 집단농장 자산을 마음대로 훔치고 투기했으며, 자유롭게 공적자금을 탕진하고 사취했다."|[[마오쩌둥]], 『9차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에 공개장에 대한 논평』에서<ref>마오쩌둥, 흐루쇼프의 거짓 공산주의와 그 역사적, 세계적 교훈에 대하여: 9차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 공개장에 대한 논평, 1964년 7월, 노동자정치신문 98호</ref>}}
 
마오쩌둥 사상에서 드러나는 반수정주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