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오개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Revi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일본-조선 관계을(를) 조선-일본 관계(으)로 분류 대체함
→‎배경: 잘못된 링크 수정
태그: m 모바일 웹
18번째 줄:
[[1882년]] [[7월 23일]] 정계에서 밀려나 있던 [[흥선대원군]]이 [[임오군란]]을 재기의 기회로 삼으려다 [[청나라]]에 막혀 실패하자, 민씨 척족을 중심으로 재편된 조선 조정은 [[청나라]]의 [[양무 운동]]을 본받아 근대 개혁을 추진하려 한다. 정부 주도의 근대 개혁은 큰 재정을 필요로 했는데, 조선의 재정은 [[삼정의 문란]]으로 그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었으며 대일 무역 역조, 대청 무역 역조, 그리고 열강들의 각종 이권 침탈로 악화 일로였다. 심지어 정부 재정과 왕실 재정이 분리조차 돼있지 않았고, 양반 면세, 국가 전매 사업의 종친 독점 등 모순은 그대로였다. 설상가상으로 청나라가 파견한 [[묄렌도르프]] 등은 [[당오전]]을 발행시켜 가뜩이나 어려운 조선 경제를 파탄 직전까지 몰았다. 환율이 올라 무역 역조는 더욱 심화됐고, 지방관들은 원래 유통 화폐인 [[상평통보]]로 조세를 거둬 중앙 정부에는 그 오분의 일 가치밖에 되지 않던 당오전의 액면대로 조세를 대납해 그 차액을 착복하는 등 그 난맥상은 극에 달했다.
 
이에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등의 [[급진개화파]]들은 일본식 서구화를 부르짖었다가 민씨 척족들의 원한을 샀다. 그들의 개혁 노력은 [[대한제국 고종|고종]]을 감동시켜 다양한 기회가 주어졌으나 그 때마다 민씨 척족 등의 수구파들은 개화파들의 발목을 잡았다. 이에 개화파들은 [[1884년]] [[갑신정변]]을 일으킨다. 그러나 청나라의 개입과 일본의 철수, 그리고 고종의 지지가 개화파를 떠나 난은 3일 만에 실패로 끝나고, 개화파들은 죽거나 혹 살아 남은 자들은 일본 배 치토세마루 호(千歲丸)를 타고 망명길에 올랐다. 서재필을 제외한 대부분은 일본에서 망명 생활을 이어갔으며, 망명객들의 존재와 한반도 헤게모니를 두고 청나라와 일본은 늘 외교 문제에 갈등을 빚었다. 일단 청일 양국은 이듬해인 [[1885년]] [[톈진 조약 (1885년)|톈진 조약]]에 합의해 양국 군대를 한반도에서 동시에 철군시켰다.
 
[[1894년]]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나 삼남 지방의 농민 소요가 전국적으로 퍼져갔다. 이미 청나라와 결탁된 민씨 척족들은 청에 원군을 요청하고, 이에 호응해 청나라가 만주에 진주 중이던 군대를 남하시켰다. [[톈진 조약]]은 자동 파기돼 일본군이 이에 질세라 한반도에 군을 상륙시킨다. 경쟁하듯 농민군을 학살하던 양국 군대는 곧 직접 충돌했고 [[청일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