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화왕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Fistea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Fistea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30번째 줄:
장화왕후의 조부는 오방(吳昉:825~ ) 자를 부순(富純)이라 하고 호는 한송정(寒松亭)이라 하였다. 장화왕후의 조부 이름을 부돈(富敦)혹은 부순(富伅)이라고 한 것은 잘못된 기록이다. 오방은 통일신라 말에 문과(文科) 율령전박사(律令典博士)겸 병부시랑(兵部侍郞)를 역임하였으며,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선생과 처사(處士) 왕거인(王巨仁) 등과 같이 명승지를 유람하였고, 875년에 함양(咸陽)에서 당시에는 금성(錦城)으로 부르던 현재의 나주에 옮겨 와 살았다. 장화왕후의 아버지 오희(吳禧:856~944)는 신라 헌강왕 때(877) 공자(孔子)묘당(廟堂) 경학박사(經學博士)를 제수하였다. 고려 태조 921년에 다련군(多憐君)에 봉해졌고, 고려 혜종 원년(944)에 타계하였다. 선조는 [[500년]]([[지증왕]](智證王) 1년)에 중국에서 신라로 입국했다가 다시 중국으로 돌아간 오첨(吳瞻)이다. 오첨(吳瞻)은 태백왕의 25세인 오기(초나라 제상)의 45세손이며, 왕명으로 김종지(金宗之)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여 신라에서 2남 1녀를 두고 22년을 살다가 521년 다시 중국으로 들어갔는데 이때 두 아들 중에 둘째 아들 오응(吳膺)은 나이가 어려 중국으로 귀환하지 못하고 그대로 신라에 남아 함양에서 살게 되었다.
 
위의 내용 중에서 장화왕후 조부가 오방(吳昉)이고, 부친이 오희(吳禧)라는 부분은 1940년 이후전후로 공개된 '오씨삼십세계도(吳氏三十世系圖)' 필사본에만 있는 내용으로 이 필사본은 논란이위서(僞書)로 의심받고 있다. 오씨 가문은 나주 오씨 정묘보(1747년), 보성 오씨 병술보(1766년), 해주 오씨 정해보(1767년)를 오씨 가문의 족보원전(族譜原典)이자 오씨 가문의 정사(正史)로 본다. 그런데 1940년 전후로 공개된 이 필사본은 내용이 다르다. 심지어 송은당(松隱堂) 오탁진(吳卓眞)의 기록을 기초로 1397년에 만들어진 '오씨삼십세계도(吳氏三十世系圖)' 원본을 근거로 작성된 해주 오씨 정해보(1767년), 보성 오씨 병술보(1766년), 보성 오씨에서 분파한 함양 오씨 족보서(1689년)가 현재 전해지는데,와도 필사본과 다른방주의 부분이기록 많고, 필사본에 있는 장화왕후 관련된내용이 부분도 없다다르다. 또한원래는 오방(吳昉)과없던 오희(吳禧)에 대한 방주의 기록이 없다. 그런데기록으로 1940년 이후전후로 나온 필사본에는 장화왕후의 조부를 오방으로, 부친을 오희로 연결시킨 내용이 첨부되었다. 또한 지증왕 원년은 경진(庚辰)년인데, 필사본에는 신사(辛巳)년으로 되어있고, 법흥왕 8년은 신축(辛丑)년인데, 필사본에는 임인(壬寅)년으로 되어있는 등 신뢰도에 결함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東國輿地勝覽) 전라도(全羅道) 나주목(羅州牧) 편에는 장화왕후의 조부는 오부돈(吳富敦), 부는 다련군(多憐君)으로 대대로 [[나주]](羅州)의 [[목포]](木浦)에 살았는데, 다련군(多憐君)은 사간(沙干) 연위(連位)의 딸 덕교(德交)를 부인으로 맞아 장화왕후를 두었다고 한다.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는 오다련(吳多憐)으로 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