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제 논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0번째 줄:
** [[부정 (논리학)|부정]] <math>\lnot</math>
** [[실질적 함의]] <math>\Longrightarrow</math>
** 그 밖에도 다음과[[실질적 같은동치]] 논리<math>\Longleftrightarrow</math>, 연산들을[[논리합]] 도입할<math>\lor</math>, [[논리곱]] 있으나<math>\land</math>, [[부정 논리합]] <math>\{downarrow</math>, [[부정 논리곱]] <math>\lnotuparrow</math>, [[배타적 논리합]] <math>p\Longrightarrow\}veebar q</math>, [[함수적항진 완전명제]] 집합<math>\top</math>, [[모순 명제]]이므로 <math>\bot</math>와 같은 논리 연산들을 도입할 수 있으나, 이들은 모두 <math>\lnot</math>와 <math>\Longrightarrow</math>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 [[논리합]] <math>\lor</math>
* [[논리곱]] <math>\land</math>
* [[실질적 동치]] <math>\Longleftrightarrow</math>
* [[부정 논리합]] <math>\downarrow</math>
* [[부정 논리곱]] <math>\uparrow</math>
* [[항진 명제]] <math>\top</math>
* [[모순 명제]] <math>\bot</math>
 
명제 논리의 '''[[논리식]]'''은 다음 문법을 따르는 명제 논리 기호들의 문자열이다.
줄 134 ⟶ 127:
명제 논리의 구조는 총 <math>2^{\aleph_0}</math>개이다.
 
주어진 명제 논리의 2항 이하의 논리 연산의 집합으로부터 구성된 논리식이 모든 진리표를 나타낼 수 있고, 임의의 한 논리 연산을 제거하였을 때 나타낼 수 없는 진리표가 존재하게 된다면, 이 집합을 '''[[함수적 완전 집합|(극소) 함수적 완전 집합]]'''((極小)函數的完全集合, {{llang|en|(minimal) functionally complete set}})이라고 한다. 명제 논리의 극소 함수적 완전 집합은 정확히 다음과 같다.<ref name="Wernick">{{저널 인용
|성=Wernick
|이름=Willi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