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량 해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26번째 줄:
포구안으로 여러 전선이 모인 조선 수군은 일본 수군들을 화전(火戰)으로 유린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한 기술은 [[난중잡록]]과 [[선묘중흥지]]에 기록되어 있다. 해남명량대첩비(海南鳴梁大捷碑)에도 "적의 배는 불에 타고 부서져서 침몰되고"라고 기록하고 있다.
 
<b>"육박하여 난전이 되었을 때 홀연히 장수 배에서 주라를 번갈아 불어대고, 지휘기가 일제히 흔들리고 도고(鼗鼓) 소리가 울리는 가운데, 불이 적의 배에서 일어나 여러 배가 연소되니, 불길은 하늘을 뒤덮었고, 화살을 쏘아대고 돌을 던지고 창검이 어울려서 찌르니, 죽는 자는 삼대가 쓰러지듯 하였고, 불에 타 죽고 빠져 죽는 자가 그 수효를 알 수 없었다.<난중잡론난중잡록>"</b>
<br>
 
<b>안위등이 배를 돌려 들어서서 적을 대항하자 적이 개미 때처럼 붙어 안위의배가 거의 침몰하게 되므로 이순신이 배를 돌려 그것을 구원하고 그 자리에서 적선 두 척을 쳐부수고 잠시 동안에 삼십척을 연달아 깨뜨리며 그 선봉장의 목을 베니 적이 크게 놀라 물러 갔다. 이순신이 적의 머리를 달아 매고 배 위에서 풍악을 치며 도전하니 적이 분노하여 군사를 나누어 교대로 나오는데 이순신은 승리한 기세를 타고 불을 놓아 여러 배들을 불태우니 시뻘건 불길이 바다를 덮은 속에서 불에 타고 물에 빠져 죽는 적병이 그 수를 알 수 없었으며 마침내 래도수(구르시마 미치후사)를 죽이고 모리민부는 물에 떨어져서 죽음을 겨우 면했고 그 밖에도 적장의 죽은자가 몇 명 있었다.<선묘중흥지></b>
 
난중일기에는 "화전(火戰)”이라는 문구가 없고 “화살을 비오듯 쏘아대니”라고 기록하고 있지만 난중잡록에서는난중잡록과 선묘중흥지, 그리고 해남 명량대첩비에서는 화전(火戰)임을 알게 해준다. 난중일기에는 화전(火戰)에 관한 기록이 빠져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군감 [[모리 다카마사]]는 바다에 빠졌다가 구조되었고 일본군 사령관 [[도도다카토라]](藤堂高虎)는 부상을 당했다. 임하도의 좁은 수로에서 막힌 일본 수군의 피해는 매우 컸다 할 수 있다. 또한 해상에서 싸우던 일본 수군 중 [[도도다카토라]](藤堂高虎)등 일부가 도주에 성공하였으며 일본 수군은 유시(酉時 오후 5시~7시) 무렵, 물살이 느려지고 바람이 [[일본]] 수군쪽으로 부는 것을 이용, 퇴각하였다.또한 조선 수군은 해전후 당사도(唐沙島)로 퇴각하여 이튿날 어외도(무안군 지도읍)에서 피난민들과 합류하였다.
 
=== 승리의 요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