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 대한민국의 국새 ==
{{본문|대한민국의 국새}}
=== 역사 ===
[[파일:Imperial Royal Seal of the Great Han Empire 01.jpg|섬네일|200px|대한제국 칙명지보]]
[[파일:Imperial Royal Seal of the Great Han Empire 02.jpg|섬네일|200px|대한제국 칙명지보의 보면]]
국새는 외교문서에 사용되는 국인(國印, 대보(大寶)로 통칭)과 국내용 보인(寶印)으로 대별된다. [[갑오개혁]] 이전까지의 국인은 대부분 중국 역대 왕조의 황제들에 의해 사여(賜與)되어 들어왔고, 기타의 보인들은 국내에서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환웅]]이 [[환인]]으로부터 받아가지고 왔다는 [[천부인]]이 역사상 나타난 최초의 국새라는 주장이 있고, [[증보문헌비고]]에 [[부여]]의 예왕(濊王)이 예왕지인(濊王之印)을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삼국 시대]]에는 기록이 없으나, 중국과의 외교관계 문서에 국인을 사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 시대]]에는 [[금나라]], [[요나라]], [[원나라]], [[명나라]] 등에서도 인장을 만들어 보내왔다. 원나라에서는 부마국왕선명정동행중서성(駙馬國王宣命征東行中書省)의 도장을 보내 왔으며, 1370년([[공민왕]] 19년)에는 명나라에서 고려국왕지인(高麗國王之印)이라는 도장을 보내 왔다.<ref name="행정"/>
 
[[조선]]이 건국되자 1403년(태종 3년)에 명나라로부터 조선국왕지인(朝鮮國王之印)이 수여되었고 [[조선 세종|세종]]은 체천목민영창후사(體天牧民永昌後嗣: 하늘의 뜻을 본받아 백성을 다스려 후세에 번영도록 하라)를, [[조선 성종|성종]]은 시명지보(施命之寶)를 각각 만들어 사용하였다. [[조선 영조|영조]] 때에는 국새의 종류가 많아졌는데, 대보(大寶), 시명지보, 이덕보(以德寶), 유서지보(諭書之寶), 과거지보(科擧之寶), 선사지기(宣賜之記), 동문지보(同文之寶), 규장지보(奎章之寶), 준철지보(濬哲之寶), 준명지보(濬明之寶), 흠문지보(欽文之寶), 명덕지보(命德之寶), 광운지보(廣運之寶) 등을 사용하였다. 1636년([[조선 인조|인조]] 14년)까지 대중국 외교문서에만 사용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이후에는 [[청나라]]에서 만들어준 대보를 사용하였으나 [[조선 숙종|숙종]] 때 명나라에서 준 옛 국인을 모조하여 왕위 계승 의식에 사용하였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에는 이전의 대보를 폐지하고 1881년 ~ 1882년경에 제작한 대조선국보(大朝鮮國寶)와 대조선대군주지보(大朝鮮大君主之寶) 등을 사용하였다. 1897년에 [[대한제국]]이 수립되면서 국새로 대한국새(大韓國璽), 황제지새(皇帝之璽), 황제지보(皇帝之寶), 칙명지보(勅命之寶), 제고지보(制誥之寶), 시명지보(施明之寶), 대원수보(大元帥寶), 원수지보(元帥之寶) 등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ref name="행정"/>
 
=== 현황 ===
[[대한민국]]의 국새는 [[대통령령]]인 《국새규정》에 근거하여, 헌법공포문 전문, 5급 이상 공무원 임명장, 훈·포장 증서, 중요 외교 문서 등에 날인되는 인장이다.<ref>《국새규정》 제6조(국새의 사용).</ref> 국새의 인면(印面)은 10.1cm의 정방형으로 재질은 금으로 하되 경도를 감안하여 은·구리 및 아연을 합금한다.<ref>《국새규정》 제4조(규격 및 재질).</ref> 인문은 대한민국을 [[한글]]로 가로 새기며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자체를 사용한다.<ref>《국새규정》 제5조(국새의 인문).</ref> 국새는 [[행정자치부]] 장관이 관리한다.<ref>《국새규정》 제8조(국새의 관리).</ref>
 
==== 제1대 국새 ====
제1대 국새는 [[1948년]]에 서울 충무로에 있던 천상당(天賞堂)에서 제작되어서 [[1962년]] [[12월 31일]]까지 사용되었지만 현재 소재를 알 수 없다. 재질은 [[은]]이며 인면은 6.06cm의 정방형이다. 인문은 대한민국지새(大韓民國之璽)를 [[전서체]]로 새겼다. 인뉴(印鈕)가 [[용]]인지 [[삽살개]]인지 논란이 있다.<ref name="국정">[http://korea.pa.go.kr/newsWeb/appmanager/portal/news?_nfpb=true&portlet_categorynews_2_actionOverride=%2Fpages%2Fbrief%2FcategoryNews%2Fview&_windowLabel=portlet_categorynews_2&portlet_categorynews_2newsDataId=100083334&portlet_categorynews_2category_id=p_mini_news&portlet_categorynews_2currPage=&_pageLabel=news_page_02 사라진 대한민국 첫 국새 찾아라], 《국정브리핑》, 2005년 10월 28일.</ref>
 
==== 제2대 국새 ====
제2대 국새는 [[1963년]] [[1월 1일]]부터 [[1999년]] [[1월 31일]]까지 사용되었다. 재질은 은이며 7cm의 정방형으로 무게는 2.0kg이다. 인문은 대한민국을 한글 전서체로 새겼으며 인뉴는 [[거북이]] 모양이다. 국새는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소장하고 있다.<ref name="국정"/>
 
==== 제3대 국새 ====
제3대 국새는 [[1999년]] [[2월 1일]]부터 [[2008년]] [[2월 21일]]까지 사용되었다. 재질은 금이며 인면은 10.1cm의 정방형으로, 무게는 2.15kg이다. 인문은 대한민국을 훈민정음체를 사용하여 한글로 새겼으며<ref name="제3대">[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2012554 '3대 국새' 영구보존], 《연합뉴스》, 2008년 3월 23일.</ref> 인뉴는 [[봉황]]이다.<ref name="국정"/> 2005년에 국새 안쪽에 균열이 생기는 등 흠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폐기되었다.<ref name="제3대"/> 하지만 제4대 국새가 2010년에 제작 책임자의 사기 사건으로 폐기되자 균열이 발견되어 폐기되었던 제3대 국새를 보수하여 제5대 국새가 완성될 때까지 임시로 사용하였다.<ref name="복원">[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774411 제3대 국새 기계연서 복원], 《연합뉴스》, 2010년 11월 19일.</ref>
 
==== 제4대 국새 ====
제4대 국새는 [[2008년]] [[2월 22일]]부터 [[2010년]] [[11월 30일]]까지 사용되었다.<ref name="행정">[http://www.mospa.go.kr/frt/sub/a06/b08/nationalIcon_5/screen.do;jsessionid=TzD21Yb2L2MymsdlgaeCVmaO1OHXRaTxRanzJwKqpy94fZa86WRcYshLRgzqKtvr.mopwas51_servlet_engine1 국새의 기원과 역사] {{웨이백|url=http://www.mospa.go.kr/frt/sub/a06/b08/nationalIcon_5/screen.do;jsessionid=TzD21Yb2L2MymsdlgaeCVmaO1OHXRaTxRanzJwKqpy94fZa86WRcYshLRgzqKtvr.mopwas51_servlet_engine1# |date=20150315181431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ref> 재질은 금이며 인면은 9.9cm의 정방형으로 무게는 2.9kg이다. 인문은 대한민국을 훈민정음체를 사용하여 한글로 새겼으며 인뉴는 봉황이다. 제3대 국새에서 균열이 발견되자 2005년 10월에 국새를 새로 제작하기로 결정한 뒤 2006년 3월에 국새제작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공모절차를 거쳐서 국새 제작자로 [[민홍규]]를 선정하였다. 국새와 함께 16종의 국새 의장품이 해당 분야의 장인을 통해서 제작되었다.<ref name="4대">[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4&aid=0001938804 대한민국 제4대 국새, 모습 드러내], 《파이낸셜뉴스》, 2008년 1월 29일.</ref> 하지만 2010년 9월에 국새 제작자인 민홍규가 전통 기법으로 국새를 만들겠다고 정부와 계약했음에도 현대적 방식으로 국새를 만들어 납품한 사기 혐의로 기소되자 제4대 국새는 폐기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16&aid=0000365369 탈많은 4代 국새 폐기…내년 6월 5代 국새 선봬], 《헤럴드경제》, 2010년 11월 23일.</ref>
 
==== 제5대 국새 ====
제5대 국새는 [[2011년]] [[10월 25일]]부터 사용되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제5대 국새, 국민훈장 증서에 첫 날인|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7&oid=298&aid=0000071361|출판사=공감코리아|날짜=2011-10-25|확인날짜=2011-10-25}}</ref> 재질은 금, 은, [[구리]], [[아연]], [[이리듐]]으로 구성된 금 합금이며 크기는 가로, 세로, 높이 10.4cm으로 무게는 3.38kg이다. 인문은 대한민국을 훈민정음체를 사용하여 한글로 새겼으며 인뉴는 봉황과 무궁화이다.<ref>{{뉴스 인용|제목=제5대 국새와 제3대 국새|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298744|저자=도광환|출판사=연합뉴스|날짜=2011-10-04|확인날짜=2011-10-25}}</ref> 2010년 10월 29일에 제5대 국새를 제작하기로 결정하고 경쟁입찰을 통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국새 제작자로 선정하였으며 KIST가 2011년 6월 16일에 제작에 착수하여 9월 30일에 국새를 납품하였다. 국새 내부를 비우고 인뉴와 인문을 분리하지 않고 한 번에 주조하여 제작하였으며 희귀 금속인 이리듐을 첨가하여 균열을 방지하였다. 국새의 상업적 이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2011년 9월 9일에 [[특허청]]에 디자인 등록 출원 신청을 하여 디자인 보호 조치를 취하였다. 그리고 국새의 디자인 출원번호는 30-2011-0037989이다. 국새에 대하여 국방기술품질원이 비파괴 검사와 파괴 검사, 내시경 검사 등을 실시하여 국새의 품질을 과학적으로 검증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제5대 국새 공개|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37&oid=298&aid0000069768|출판사=공감코리아|날짜=2011-10-04|확인날짜=2011-10-25}}</ref>
 
=== 갤러리 ===
<gallery>
파일:Seal of the Republic of Korea (1949–1962).svg|제1대 국새의 인영
파일:Seal of the Republic of Korea (1963–1999).svg|제2대 국새의 인영
파일:Seal of South Korea (1999–2008, 2010–2011).svg|제3대 국새의 인영
파일:Seal of South Korea (2008–2010).svg|제4대 국새의 인영
파일:Seal of South Korea.svg|제5대 국새의 인영
</gallery>
 
== 중화민국의 국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