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카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종코님이 하카어 문서를 객가어 문서로 이동하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언어 정보
|이름=하카어/객가어
|자기이름=客家话
|계통색=중국티베트
9번째 줄:
|계통1=[[중국티베트어족]]
|계통2=[[중국어]]
|공용나라=없음([[중화민국]](대만)의 공용어에 포함하자는 법안이 제출된 적이 있다), [[타이페이]] 지하철에서 사용되는 네 가지 방송 언어 중 하나; 중화민국 정부는 '''하카어객가어''' 보존을 위해 '''하카어객가어''' 방송을 후원하고 있다.
|표준=The Guangdong Provincial Education Department created an official romanisation of Meixian Hakka dialect in 1960, one of four languages receiving this status in Guangdong. It is called Kejiahua Pinyin Fang'an.
|iso3=hak}}
'''하카어객가어'''({{zh|order=phfs|s=客家语|t=客家語|p=Kèjiāhuà|phfs=Hak-kâ-ngî|hanja='''객가어'''|}})는 [[중국어]]의 방언으로, 주로 [[광둥 성]] 동부, [[푸젠 성]] 서부, [[장시 성]] 남부에서 쓰이지만, 해외의 중국인, [[화교]]에게도 많이 쓰이는 언어이다.
 
[[객가인]]들은 당, 송나라 시대에 남하하였기 때문에 그 당시 중국어의 특징이 아직까지 보전되어 있다. 그 후 대만으로의 이주는 청나라 초기에 시작되었다. 객가어 사용자들이 여러군데 분포해있기 때문에, 주위 언어, 방언에서 영향을 받은 차용어가 많아 지역별로 약간씩의 차이가 있다.
18번째 줄:
== 분류 ==
=== 투광둥어 ===
[[쓰촨 성]], [[충칭 시]] 일대의 하카어는객가어는 '''투광둥어'''({{zh|s=土广东话|t=土廣東話}})로 불린다. 투광둥어 구사자는 [[청나라]] 초기 [[호광전사천]]이 일던 때 [[광둥 성]] 일대에서 이민 온 사람들이며, 이들은 '''투광둥인'''({{zh|s=土广东人|t=土廣東人}})이라고 불린다.<ref>黄友良.四川客家人的来源,移入及分布[J].四川师范大学学报,1992,(01),83-91.</ref>
 
== 특징 ==
어음의 특징은 많은 지역에서 성모 s와 sh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s로 발음한다. 또 옛 입성운미(入聲韻尾) -b[-p], -d[-t], -g[-k]를 보존하고 있으며, 북경어의 성조는 4개인 데 반해 '''하카어객가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 단어 ==
{| class="wikitable"
|+단음절어
!하카어객가어 한자
!발음
!한국어
65번째 줄:
{| class="wikitable"
|+다음절어
!하카어객가어 한자
!발음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