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253
번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고려시대에 문하시중(현 국무총리)인 도시조 변정실(卞庭實)의 분파로서, 종파는 초계변씨이다. 본관은 초계(草溪), (밀양)(密陽) 2본이다.(*변영태등 경기,여주 변씨 집성촌에서 밀양 변씨와 구분 원한 것이라는 설) 시조 '''변정실'''(卞庭實)은 [[고려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팔계군(八溪君)에 봉해졌다.
영남의 명문으로 대제학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으며, 대표적 인물은 밀양 변씨의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변계량(卞季良) 계량(季良)]이다. 그는 조선 초기 최고의 지성인이자 세종의 책사로
이 밖에 밀양 변씨에는 조선 원종공신으로 전기 우부승지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를 지낸 중량(仲良), 성종 때 무신 종인(宗仁), 숙종 때 화가 상벽(相璧), 철종 때 시문으로 이름난 종운(鍾運) 등이 있다.
* [[변옥란]](卞玉蘭, 1322년 ~ 1395년) : 1346년([[고려]] [[충목왕]] 2년) 액정내시(掖庭內侍)를 거쳐 예빈시승(禮賓寺丞)에 보임되었다. 1360년(공민왕 9) 진주판관을 지낸 뒤 전법정랑(典法正郎)이 되어 전라도안렴사로 파견된 바 있고, 1372년수원부사가 되었다. 1375년(우왕 1)판선공시사(判繕工寺事)에 이어 판내부시사(判內府寺事)를 지내고, 충주(忠州)·청주(淸州)의 목사를 역임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호조판서에 이어 병조판서와 이조판서에 제수되었다. 조선 건국 후에는 검교판중추원사(檢校判中樞院事)에 임명되고 개국원종공신에 책훈되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6263&cid=46621 변옥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변중량]](卞仲良, 1345년 ~ 1398년) : 이성계의 이복형인 이원계(李元桂)의 사위로,부친 변옥란과 함께 개국공신이며 정몽주의 문인이다.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密直使)를 지냈다. 1395년(태조 4) 이회(李薈) 등과 함께 조준(趙浚)·정도전(鄭道傳)·남은(南誾) 등의 독직을 비판하다 전중경(殿中卿)의 관직이 박탈되었으나, 그해 복직되었다. 1398년 우부승지(右副承旨)를 거쳐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에 이르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일파로 몰려 참살당하였다. 시(詩)에 능하였으며 거창의 병암서원(屛巖書院)에 제향되었다. 문집에 《춘당유고(春堂遺稿)》가 있다.흥선대원군때 신원돼 이조판서에 추증됨. *참살후 후손들,역관( 중국어,일본어, 외교)과 내의원, 무역상등 전문분야(중인영역)활동,변승업,정3품 당상관,거부 축적(장희빈 외숙).
*[[변계량|*변계량]]([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7215 [卞季良]], 1369년 ~ 1430년) : 조선 개국 공신 변옥란의 막내 아들로,중량이 친형.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변계량(卞季良)
* [[변남룡]](卞南龍) : 한성판윤 재직 중 말을 전한 것이 원인이 되어 태종의 노여움을 사 맏아들 변혼과 사사되었다
* [[변효문]](卞孝文, 1396년~1461년 4월 20일) : 집현전 직제학, 외교관, 1414년(태종 14)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집현전 직제학을 거쳐 1428년(세종 10) 봉상시소윤(奉常寺少尹)을 지냈다. 첨지중추원사([[조선 통신사|조선통신사]])로 <일본과 *[[계해약조]]>를 체결하고, 오례의주를 상정(詳定)했으며 [[신주무원록]](검안서)과 농사직설을 편찬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978 변효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세종 때 한반도 <북쪽의 *[[4군 6진]]에 거란>이 자주 침입하자, 외교관으로 파견되어, 중국과 거란의 정부 대표들과
* [[변형량]] : 조선 연산군 때 홍문관정자(正字)로 있다가 [[갑자사화|갑자사화(폐비 윤씨)]] 때 죽음을 당했다.
* [[변수림]](卞守琳) : 충무공 [[이순신]]의 외조부
*[[변종운]](卞鍾運) : 조선 철종 때 시문으로 이름났다.
*[[변상벽]]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33712&cid=63765&categoryId=63765 (卞相璧] 1730 ~ 1775) : 숙종, 고양이와 초상화, 국수로 불림, 영조 어진
*[[변승업]]('''[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43338&cid=49211&categoryId=49211 卞承業],''' 1623년 ∼1709년) : 인조~숙종 역관, 정3품 당상관, 무역상,장희빈의 외가,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ht/view.do?levelId=ht_005_0020_0010 조선 최고 거부],자선사업가, *[[변중량]](계량의 형,밀양변씨)의 후손설, 연암 박지원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1022023001 '허생전]'(영조)에 등장한 변부자, 의주 역관 변응성(변승업의 조부)라는 설
*[[변상태]] : 항일 독립운동가
* [[변영만]]([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5954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5954 卞榮晩], 1889년 ~ 1954년) : 판사, 법관<nowiki/>양성소(경성대학 법학과) 졸<nowiki/>업, 서울대,고려대, 성균관대학교 교수. 변영태, 변영로와 형제지간
|
편집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