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계 변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8722JYB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 시조 = 변정실(卞庭實)
| 중시조 =
| 집성촌 = [[경상남도충청북도]] [[거창군]], [[합천군청주시]]<br /> [[경상북도]] [[청도군]], [[문경군]]<br />[[충청북도경상남도]] [[청주시합천군]], [[거창군]]
| 인물 = [[변옥란]], [[변중량]], [[*변계량]], [[변효문변남룡]], [[변효경변효문]], [[변종인]], [[변시익변형량]], [[변승업]], [[*변상벽]], [[변상태]], [[*변영만]], [[*변영태]], [[변영로]], [[변희용]], [[*변옥주]], [[변종봉]], [[변탁]], [[*변정수 (법조인)|변정수]], [[*변동걸]], [[*변양균]], [[*변재일 (법조인)]],[[*변재일]] [[변재진]], [[변추석]], [[변우민]], [[변진섭]], [[변요한]], [[변재섭]]
| 년도 = 2015
| 인구 = 76,045명
11번째 줄:
| 비고 =
}}
 
'''초계 변씨'''(草溪 卞氏)는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시대에 문하시중(현 국무총리)인 도시조 변정실(卞庭實)의 분파로서, 종파는 초계변씨이다. 본관은 초계(草溪), (밀양)(密陽) 2본이다.(*변영태등 경기,여주 변씨 집성촌에서 밀양 변씨와 구분 원한 것이라는 설) 시조 '''변정실'''(卞庭實)은 [[고려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팔계군(八溪君)에 봉해졌다.
 
영남의 명문으로 대제학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으며, 대표적 인물은 밀양 변씨의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변계량(卞季良) 계량(季良)]이다. 그는 조선 초기 최고의 지성인이자 세종의 책사로, 태조, 태종, 세종 3대에 걸쳐 국가의 외교(명나라)와 제천 의식(기우제,강우에 성공)등 국가 공식문서의 90%를 작성했다는 문필의 달인으로, 양녕,효령,충녕대군(세종)의 스승이며,《태조실록,정종실록,태종실록》을 편찬하고《태조실록》을 완수,《고려사》를 개수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의 아버지 옥란(玉蘭)은 고려 말 각조의 판서를 역임하고, 조선 개국 원종공신으로 건국 초기에 중추원검교판사(中樞院檢校判事)가 되었다.
이 밖에 밀양 변씨에는 조선 원종공신으로 전기 우부승지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를 지낸 중량(仲良), 성종 때 무신 종인(宗仁), 숙종 때 화가 상벽(相璧), 철종 때 시문으로 이름난 종운(鍾運) 등이 있다.
 
초계 변씨의 최근의 인물로는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대한민국 제5대 국무총리]], 3대 외무부 장관을 지낸 [[변영태]](卞榮太)가 있다. 중추적 인물은 효문(孝文)이다. 그는 세종 때 직제학을 역임하고 조선통신사로 일본을 왕래하였으며, 4군6진에 대해 중국,거란과 외교 담판으로 국경을 안정시키고,《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을 편찬하였으며, 그의 후손에 인물이 많이 나왔다. 연산군 때 홍문관정자(正字)로 있던 형량(亨良), 청백리에 녹선된 훈남(勳男), 임진왜란 때 승군(僧軍)으로 공을 세우고 시문에 뛰어난 헌(獻), 이 밖에 충신정문이 세워진 연수(延壽) ·옥희(玉希) 등이 있다.
 
난중일기에 나오듯이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ydlee4211&logNo=220930809882&parentCategoryNo=&categoryNo=23&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위대한 이순신의 어머니가 초계 변씨]이다.
 
1960년 국세조사에서는 인구 4만 38명으로서 성별 순위는 258성 중 제59위였고, 1985년 조사에서는 인구 6만 4143명으로, 전국 인구구성비 0.2%, 순위는 274성 중 제60위였다. 영문으로는 Pyun, Pyone, Byun, Byon, Byeon 등을 사용한다.
 
== 기원 ==
[[주 문왕|*주(周]])나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714&cid=62053&categoryId=62053 **문왕(文王)]의 여섯째 왕자인 숙진탁(叔振鐸)이 조후(曹侯)에 봉해지고 식읍(食邑)으로 <변읍(卞邑)>을 하사(下賜) 받아 지명을 따서 성(姓)으로 삼은 것이 시초로, 삼국지 [[조조]]의 왕비가 [[무선황후]] 변씨로, 조비,조식 세 부자 모두 '삼조'로 불리며 뛰어난 시재와 지략을 겸비해 명성이 높았다, 변씨(卞氏)는 중국(中國) 천수(天水:지금의 감숙성 위천도에 속한 지명)에서 계출(系出)된 성씨이다. 당(唐)나라 천보년간(天寶年間: 742년 ∼ 755년)에 예부상서(禮部尙書)을 지낸 '''변원'''(卞源)이 [[743년]]([[경덕왕]] 2) 왕명(王命)을 받들어 8학사의 한 사람으로 「효경(孝經)」을 가지고 [[신라]]에 동래(東來)하여 정착한 것이 시초라고 한다. 그러나 그후의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어 [[고려 성종]](成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팔계군(八溪君)에 봉해진 '''변정실'''(卞庭實)을 시조(始祖)로 한다.
변씨(卞氏)는 중국(中國) 천수(天水:지금의 감숙성 위천도에 속한 지명)에서 계출(系出)된 성씨이며,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여섯째 아들인 숙진탁(叔振鐸)이 조후(曹侯)에 봉해지고 변읍(卞邑)을 식읍(食邑)으로 하사(下賜) 받아 지명을 따서 성(姓)으로 삼은 것이 시초가 된다.
 
<nowiki>*</nowiki>[[주나라|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5478&cid=40942&categoryId=39994 문왕] 화평주의,덕치로, 여상(강상 여읍,태공망=강태공,낚시),아들 무왕과 역성 혁명,천하 통일, 역사상 '성군'. '주역'(백이숙제 수양산 고사리 아사, 절개) 첫째, 좋은 일을 보면 게으름 부리지 말고 바로 달려가라.둘째, 시기가 오면 머뭇거리지 말고 바로 달려가 잡아라. 셋째, 나쁜 일을 보면 빨리 그 자리를 피하고 가까이 가지 말아라. Time is Now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22230&cid=40942&categoryId=33402 태임] 주 문왕의 모후, 최초 태교와 교육, '태임'을 본받는다는 뜻이 사임당.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2080&cid=40942&categoryId=34305 조조] 화북평정 후(중국 대부분 얻고 천하 실권 장악, 능력중심인재등용,예술 재능과 리더십 겸비), 손권, 유비 연합군에게 [[적벽 대전|적벽대전]]에서 대패, 촉(아들 조비, 한 헌제에게 선양받아 황제. 조조 끝내 역성혁명 안함, 조비 조예 조방)이 '진'([[사마의]](겸손, 절제, 인내, 재주 숨김의 처세술) 위,촉을 배반해 건국, 손자 사마염)이 '오'를 정벌해 통일.
당(唐)나라 천보년간(天寶年間: 742년 ∼ 755년)에 예부상서(禮部尙書)을 지낸 '''변원'''(卞源)이 [[743년]]([[경덕왕]] 2) 왕명(王命)을 받들어 8학사의 한 사람으로 「효경(孝經)」을 가지고 [[신라]]에 동래(東來)하여 정착한 것이 시초라고 한다. 그러나 그후의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어 [[고려 성종]](成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팔계군(八溪君)에 봉해진 '''변정실'''(卞庭實)을 시조(始祖)로 한다.
 
== 역사 ==
초계 변씨(草溪 卞氏)의 시조 '''변정실'''(卞庭實)은 [[고려 성종]](成宗) 때 문과에 급제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팔계군(八溪君)에 봉해졌다. 변정실의 아들에 의하여 변광(卞光)의 장파(長派), 변요(卞耀)의 중파(仲派), 변휘(卞輝)의 계파(季派)로 갈라졌다.
 
생원 변요(卞耀)의 손자 '''변고적'''(卞高迪)이 밀양에 세거(世居)하면서 '''[[밀양 변씨]]'''(密陽 卞氏)로 분관하였다분파하였다. 변고적의 6대손 [[변옥란]](卞玉蘭)이 [[1346년]]([[충목왕]] 2) 벼슬길에 올라 [[고려]]조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와 이조판서를 역임한 후 조선이 개국되자 검교판중추원사(檢校判中樞院事)에 임명되고 개국원종공신에 책훈되었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aa_10401023_002 《태조실록》 7권, 태조 4년 1월 23일 무오 2번째 기사]</ref> [[변옥란]]의 아들 [[변중량]](卞仲良)은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백형인 [[이원계]](李元桂)의 사위로서 1395년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되었다. 변중량의 동생 [[변계량]](卞季良)은 [[조선 태종]] 때 예조판서 등을 거쳐역임한 20년 동안1420년(세종 2) 집현전 [[대제학]]이 되어 20년간 재직하였으며, 1426년에는 우군도총제부판사(大提學右軍都摠制府判事) 역임하였다올랐다.
 
== 본관 ==
초계(草溪)는 [[경상남도]]경남 [[합천군]]합천군에 [[초계면]]속해있는 일대의 지명이다.지명으로 본래 신라의 초팔혜현(草八兮縣)인데 경덕왕신라 경덕왕이 팔계(八溪)로팔계로 고쳤다.고쳤고, 940년(고려 태조 23년23) 초계로 지명을명칭을 고쳤고, 1334년(고려 충숙왕 3년3)에는 변우성(卞遇成)이초계현이 고려 왕실(王室)에 공(功)을 세워 지군사(知郡事)로군으로 승격시켰다승격되었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40006003_004 《세종실록》1914년 150권,군면 지리지폐합으로 경상도 상주목 초계군]</ref> 《세종실록 지리지》에 경상도 상주목 초계군의 토성(土姓)으로 [[초계 정씨|정]](鄭)·[[초계 주씨|주]](周)·변(卞) 3성이 기록되어 있다. 1914년 [[합천군]]에 편입되어 [[초계면]]이초계면이 되었다.
 
== 분파 ==
시조 변정실의 아들 3형제에서 변광(卞光)의 장파(長派), 변요(卞耀)의 중파(仲派), 변휘(卞輝)의 계파(季派)로 갈라졌다. 변요(卞耀)의 손자 변고적(卞高迪)이 밀양(密陽)에 살기 시작하면서 [[밀양 변씨]](密陽 卞氏)로 분관하였다분적되었다. (*초계 밀양 변씨 종친회 미확인)
 
* 장파(長派) - 변광(卞光)
줄 35 ⟶ 45:
 
== 인물 ==
* [[변옥란]](卞玉蘭, 1322년 ~ 1395년) : 1346년([[고려]] [[충목왕]] 2년) 액정내시(掖庭內侍)를 거쳐 예빈시승(禮賓寺丞)에 보임되었다. 1360년(공민왕 9) 진주판관을 지낸 뒤 전법정랑(典法正郎)이 되어 전라도안렴사로 파견된 바 있고, 1372년수원부사가 되었다. 1375년(우왕 1) 판선공시사(判繕工寺事)에 이어 판내부시사(判內府寺事)를 지내고, 충주(忠州)·청주(淸州)의 목사를 역임하였으며, 1390년(공양왕 2) 호조판서에 이어 병조판서와 이조판서에 제수되었다. 조선 건국 후에는 검교판중추원사(檢校判中樞院事)에 임명되고 개국원종공신에 책훈되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6263&cid=46621 변옥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변중량]](卞仲良, 1345년 ~ 1398년) : 이성계의 이복형인 이원계(李元桂)의 사위이며사위로,부친 변옥란과 함께 개국공신이며 정몽주의 문인이다.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密直使)를 지냈다. 1395년(태조 4) 이회(李薈) 등과 함께 조준(趙浚)·정도전(鄭道傳)·남은(南誾) 등의 독직을 비판하다 전중경(殿中卿)의 관직이 박탈되었으나, 그해 복직되었다. 1398년 우부승지(右副承旨)를 거쳐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에 이르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일파로 몰려 참살당하였다. 시(詩)에 능하였으며 거창의 병암서원(屛巖書院)에 제향되었다. 문집에 《춘당유고(春堂遺稿)》가 있다.흥선대원군때 신원돼 이조판서에 추증됨. *참살후 후손들,역관( 중국어,일본어, 외교)과 내의원, 무역상등 전문분야(중인영역)활동,변승업,정3품 당상관,거부 축적(장희빈 외숙).
*[[변계량|*변계량]]([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7215 [卞季良]], 1369년 ~ 1430년) : 조선 개국 공신 변옥란의 막내 아들로,중량이 친형.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변계량(卞季良) 태종 세왕자들(세종포함)의 스승, 집현전 대제학],고려 사마시에 이어 조선 문과에서도 장원급제후(권람의 추천), 진덕박사, 사헌부시사, 성균관학정, 예문관의 응교, 직제학, 예조우참의, 예문관제학,예조판서, 참찬, 판우군 도총제부사를 지냈다. 변계량은 세종의 책사로, <*[[집현전]] 설치>와 <[[대마도 정벌]]>을 건의하고,<*공정한[[과거제]]>를 운영했는데, 이로 인해 명문 사대부의 조롱과 비판이 쏟아졌다. 집현전을 통해,세종에게 변계량 자신을 비롯한 조선의 브레인 그룹을 연결시켜 세종이 수많은 업적을 이뤄내는 체계를 이뤘다. 특히 변계량은 조선시대*대제학을 20여년 지낸 당대 최고의 학문 권위자로, 외교 문장으로써 명나라(문치주의 전성기,주희 성리학 채택)와 사대교린해 조선 건국혁명 정당성과, 명에 대한 공물 중 금,은을 제외해달라는 글을 지어 면제받고, 조선 건국 이념인 유교사회 건설을 전파하는데 쓰였다. 대제학은‘학문을 저울질하여 올바르게 평가한다'고 했으며 학문과 관련되는 모든 관직을 거친 대과 급제자만 오를 수 있었다. 또한 국가 시책이나 통치 철학을 학문에 반영하는 역할을 했다. 권력이나 이권하고는 무관한 학문을 다루는 최고 직책 대제학은 명예를 중요시하는 사대부들의 선망의 대상으로,“정승 10명이 대제학 한 명만 못하다”라는 말을 남겼다. 품계는 정2품으로 판서와 동급이지만 정승이나 판서보다 높게 대우 받았다. [[조선 전기의 문학|화산별곡]]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4887 춘정집] 등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4551 다수]가 전해진다. 세종은 집현전 학사 중에서 “앞으로는 본전(사무실)에 출근하지 말고 오로지 집에서 글을 읽어라”고 명한다.한 가지 조건은, 세 사람이 글을 읽는 규범은 변계량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다만, 태종이 무인정사때 형 중량을 참살했는데도, 계량은 뛰어난 문재로 '태종실록'과 집현전 등 중용됐는데, 사람과 물질에 무척 공정,정확,청렴해, 세종의 능력중심 인재등용 원칙에 의한 것이고, 아내 권씨의 부정과 가출, 이혼 등 가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 [[변계량]](卞季良, 1369년 ~ 1430년) : 변옥란의 막내 아들. 1385년(고려 우왕 11년) 문과에 급제하고, 1407년(태종 7) 중시(重試)에서 을과(乙科) 1등으로 뽑혀서 당상관에 오르고 예문관 [[대제학]] 겸 성균관 [[대사성]]·[[예조]][[판서]]·의정부참찬 등을 역임하였다. 1420년(세종 2) 집현전이 설치되자 [[대제학]]이 되었고, 1426년에 우군도총제부판사(右軍都摠制府判事)에 올랐다. 문장에 뛰어나 20년 간 대제학을 맡아 외교 문서를 작성하였다. 과거 시관으로 공정을 기해 고려 말의 폐단을 개혁하였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11204023_001 《세종실록》 48권, 세종 12년 4월 23일 계사 1번째 기사]</ref>
(TV-친누이 존재는 미확인; 양녕대군을 품행문제(치정)로 폐세자시켜 버린, [[조선_태종|태종의 세왕자]] 전부의 스승이란 점을 놓고 볼때, 친누이(직계)관련 추문은 사실이 아니며(다른 내용의 문서확인), 태종때 대다수의 외척과, 공신 집안간 정적 제거 과정에서의 빌미가 와전된 걸로 추정)
* [[변효문]](卞孝文, 1396년 ~ ?) : 한성부 판윤(判尹) 변남룡(卞南龍)의 아들. 1414년(태종 14)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직제학을 거쳐 1428년(세종 10) 봉상시소윤(奉常寺少尹)을 지냈다. 첨지중추원사로 일본에 다녀왔고, 오례의주를 상정(詳定)했으며 신주무원록을 편찬했다. 세종 때 한반도 북쪽의 4군 6진에 거란이 자주 침입하자, 외교관으로 파견되어 중국과 거란의 정부 대표들과 만나 담판을 지어 조선의 국경과 변방을 지키는 데 기여하였다.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변계량(卞季良)
* [[변효경]](卞孝敬, ? ~ 1456년) : 변효문의 동생. 1419년(세종 1) 문과에 급제하여 좌사간(左司諫), 병조참의, 판영흥대도호부사(判永興大都護府事) 등을 역임하고,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 [[변남룡]](卞南龍) : 한성판윤 재직 중 말을 전한 것이 원인이 되어 태종의 노여움을 사 맏아들 변혼과 사사되었다
* [[변종인]](卞宗仁, 1433년 ~ 1500년) : 1460년(세조 6) 무과에 급제하고, 1467년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당상관이 되었다. 평안도병마절도사, 경상우도수군절도사 등을 역임하며 변방을 지키는 데 공헌하였다. 관직은 [[공조]][[판서]](工曹判書)와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시호는 공장(恭莊)이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ja_10603018_002 《연산군일기》 37권, 연산 6년 3월 18일 임신 2번째기사]</ref>
* [[변효문]](卞孝文, 1396년 ~1461년 ?4월 20일) : 한성부집현전 판윤(判尹)직제학, 변남룡(卞南龍)의 아들.외교관, 1414년(태종 14)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집현전 직제학을 거쳐 1428년(세종 10) 봉상시소윤(奉常寺少尹)을 지냈다. 첨지중추원사로첨지중추원사([[조선 통신사|조선통신사]])로 <일본과 일본에*[[계해약조]]>를 다녀왔고체결하고, 오례의주를 상정(詳定)했으며 신주무원록을[[신주무원록]](검안서)과 농사직설을 편찬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2978 변효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세종 때 한반도 <북쪽의 *[[4군 6진에6진]]에 거란이거란>이 자주 침입하자, 외교관으로 파견되어, 중국과 거란의 정부 대표들과 만나 담판을 지어 조선의 국경과 변방을 지키는 데 기여하였다. 기여를 하였다.* cf.서희(고려)
* [[변형량]](卞亨良) : 변효문의 증손. 1501년(연산군 7)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정자(弘文館正字)로 있다가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효수되었다.
* [[변형량]] : 조선 연산군 때 홍문관정자(正字)로 있다가 [[갑자사화|갑자사화(폐비 윤씨)]] 때 죽음을 당했다.
* [[변수림]](卞守琳) : 충무공 [[이순신]]의 외조부 (이순신의 어머니가 초계 변씨이다.)
* [[변시환]](卞時煥, 1590년 ~ 1666년) : 1635년(인조 13) 문과에 급제하고 흥덕현감(興德縣監)을 역임하였다. 청주의 송계서원에 제향되었다.
*[[변종운]](卞鍾運) : 조선 철종 때 시문으로 이름났다.
* [[변시익]](卞時益, 1598년 ~ ?) : 변효문의 6세손. 1628년(인조 6) 별시(別試) 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하고, 관직은 정언(正言)‧지평(持平)‧장령(掌令) 등을 거쳐 1653년(효종 4년) 승지(承旨)에 이르렀다.
*[[변상벽]]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33712&cid=63765&categoryId=63765 (卞相璧] 1730 ~ 1775) : 숙종, 고양이와 초상화, 국수로 불림, 영조 어진
* [[변승업]](卞承業, 1623년 ~ 1709년) : 역관(譯官)으로 활동하며 중국과의 중개 무역으로 부자가 되었다. 《허생전》에 등장하는 '변부자'가 변승업의 할아버지로 추정된다.
*[[변승업]]('''[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743338&cid=49211&categoryId=49211 卞承業],''' 1623년 ∼1709년) : 인조~숙종 역관, 정3품 당상관, 무역상,장희빈의 외가,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ht/view.do?levelId=ht_005_0020_0010 조선 최고 거부],자선사업가, *[[변중량]](계량의 형,밀양변씨)의 후손설, 연암 박지원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1022023001 '허생전]'(영조)에 등장한 변부자, 의주 역관 변응성(변승업의 조부)라는 설
* [[변원규]](卞元圭, 1837년 ~ ?) : 1855년(철종 6) 역과에 합격하여 협판교섭통상사무(協辦交涉通商事務)를 거쳐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역임하였다.
* [[변상태]](卞相泰, 1889년 ~ 1963년) : 항일 독립운동가
* [[변영만]]([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5954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5954 卞榮晩], 1889년 ~ 1954년) : 판사, 법관<nowiki/>양성소(경성대학 법학과) 졸<nowiki/>업, 서울대,고려대, 성균관대학교 교수. 변영태, 변영로와 형제지간
* [[변영태]]([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1961&cid=40942&categoryId=33385 卞榮太], 1892년 ~ 1969년)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대한민국 제5대 국무총리]], 3대 외무부 장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27799&cid=42140&categoryId=42140 한미상호방위조약]체결(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ohn Foster Dulles,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78299 Pyun Yong Tae], (Pyun Yung Tai), Byeon Yeong-Tae ; Alliance,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7/11/06/2017110600041.html 제네바 정치회의] 참석, 매우 청렴 After War, USA armed forces in Korea left Stayed but others(China Militia etc). Senate ratified. Within goverening territory, from exterior. 변영만, 변영로와 형제지간
* [[변영태]](卞榮太, 1892년 ~ 1969년) : 제5대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 3대 외무부 장관
*[[변영로]](卞榮魯, 1898년 ~ 1961년) : 교과서에 올라있는 "논개"시의 저자. 3·1운동 때 독립선언서를 영역하여 해외로 발송한 시인, 성균관대학교 교수. 변영태,변영만와 형제지간
* [[변희용]](卞熙瑢, 1894년 ~ 1966년) : 제4대 성균관대학교 총장
* [[변영로변희용]](卞榮魯熙瑢, 1898년1894년 ~ 1961년1966년) : 3·1운동일본 게이오대 독립선언서를 영역하여 해외로 발송한 시인졸업, 성균관대학교 제4대 총장·교수
* [[변옥주]](卞沃柱, 1906년 ~ 1962년) : [http://db.history.go.kr/item/level.do?levelId=im_106_30417 경성(교토)제국대학 법학과, 고등문과시험 사법과, 전주지방법원장,서울 고등법원장, 대법관]
* [[변정수 (법조인)|변정수]]([[변정수|卞禎洙]], 1930년 ~ 2017년) : 前 [[헌법법원|헌법재판소]] 초대재판관, 서울 동부지방법원장, 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재판관위원장
* [[변동걸]](卞東杰, 1948년 ~ ) : 제6대 울산지방법원장. 제4대[[서울중앙지방법원|서울중앙지방법원장.]]
*[[변재일 (법조인)|변재일(卞在日, 1940년 ~)]] : 제4대 [[부산고등검찰청|부산고등검찰청 검사장]](차관급),제12대 [[대한민국 대검찰청 공공수사부|대검찰청 공안부장(문민정부 출범)]], 제11대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여의도합동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 [[변재일]](卞在一, 1948년 ~ ) : 제7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정보통신부]] 차관(한국 정보화사업 기초(인터넷통신망 구축)--88올림픽), 제17·18·19·20대 [[국회의원]], 연세대(UPENN)
* [[변양균]](卞良均, 1949년 ~ ) : 제6대 기획예산처 장관
* [[변양균]](卞良均, 1949년 ~ ) : 제6대 [[대한민국 기획예산처|기획예산처 장관]], 청와대 정책실장, [[한미 자유 무역 협정|한미FTA]], 제주 강정마을등 노무현정부 경제,사회,복지정책에 영향, 서울대(YALE)
* [[변재진]](卞在進, 1953년 ~ ) : 제45대 [[대한민국의 보건복지부 장관|보건복지부 장관]] 서울대(MICHIGAN)
* [[변추석]](卞秋錫, 1956년 ~ ) :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제23대 [[한국관광공사]] 사장. (PRATT)
* [[변우민]](卞宇珉, 1965년 ~ ) : 배우
* [http://wonderfulhealthlife.com/w_interview/?mod=document&uid=11 변재준(卞在俊],1959 ~) : 의사, 서울대 예방의학과, 삼성의료원, [https://www.imeclinic.org/index.php/en Seattle Cornerstone Hospital], Cemar Clinic [http://www.radiohankook.com/news/21730 의료봉사] 단체활동으로, 대통령 단체표창
* [[변진섭]](卞眞燮, 1966년 ~ ) : 가수
* [http://www.acropoli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4 변우진](1962~) 변호사, 서울대 언어학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46247.html 미네소타주립대 로스쿨,한인회장], 변우민의 형
* [[변우민]](卞宇珉, 1965년 ~) : 배우, 바람부는 날에도 꽃은 피고,결혼이야기2,아내의 유혹, 형[http://www.ihalla.com/read.php3?aid=1555299666627224164&spage= 변우진] 외
* [[변진섭]](卞眞燮, 1966년 ~) : 가수, 희망사항, 1집 홀로 된다는 것, 신인상과 대상 동시 수상
 
== 과거 급제자 ==
초계 변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6명을16명(초계11), 무과 급제자 42명을 배출하였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LST_089_610_0195}}</ref> *객관적 통계 자료 불분명
 
;고려 |문과]]
 
변계량(卞季良) 변창(卞昌)
;고려 문과
변계량(卞季良) 변창(卞昌)
 
; 고려 사마
줄 155 ⟶ 169:
 
== 집성촌 ==
* [[경상남도충청북도]] [[거창군청주시]] [[가조면]]청원구 내수읍 사병리비상리
* [[충청북도]] [[청주시]]북이면 [[청원구]] 내수읍 비상리영하리
* [[경상남도]] [[합천군]] [[청덕면]] 앙진리
* [[경상북도]] [[의성군청도군]] [[안계면]]풍각면 위양리봉기동
* [[경상북도경상남도]] [[청도군합천군]] [[풍각면]]청덕면 봉기동앙진리
* [[경상북도]] [[문경군]] [[산양면]] 진정리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비상리
* [[충청북도경상남도]] [[청주시거창군]] [[북이면]]가조면 영하리사병리
* [[경상북도]] [[문경군]] [[산양면]] 진정리
 
== 항렬자 ==
{{col-begin}}
{{col-4}}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
줄 187 ⟶ 202:
[[분류:합천군]]
[[분류:밀양시]]
[[분류:중국계 한국인의 성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