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5번째 줄:
=== 고대도시 ===
그리스나 로마의 고대도시는 오늘날의 도시와는 달라서 시노이키스모스(Synoikismos, 集住)라는 형태로 일거에 건설되었다. 원래가 씨족적(氏族的)으로 구성된 농업민족이었던 그리스인은 이민족(異民族)이나 다른 씨족에 대한 방위의 목적으로 몇몇 씨족이 모여 도시를 건설하였다. 씨족은 각각 씨족신(氏族神)을 가졌는데 공동으로 도시를 건설할 때에는 성화(聖火)를 밝히고 공통된 도시의 제사(祭祀)를 지냈던 것이다. 도시는 지리적으로는 아크로폴리스(神殿의 언덕)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사회적으로는 이 신앙에 의해 결속된 씨족의 연합체였다. 그러므로 도시는 첫째로 군사적인 것이었고 둘째로는 종교적인 공동체였다.이 도시 공동체의 성원(成員), 즉 시민의 자격은 지주(支主)일 것과 전쟁 때에는 자기 부담으로 무장하여 싸울 수 있는 전사(戰士)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도시주민 전부가 시민일 수는 없었고 이 밖에도 다수의 노예와 주로 이민족의 상인(商人)이 있었다. 시민권을 지닌 시민은 일상생활 면에서는 완전한 소비계층이며, 철학이나 스포츠로 시간을 보냈다. 고대의 민주주의는 이러한 특권계층 속에서의 민주주의였다.<ref>{{백과사전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2%AC%ED%9A%8C_I%C2%B7%EB%AC%B8%ED%99%94%EC%9E%AC/%ED%98%84%EB%8C%80%EC%82%AC%ED%9A%8C%EC%9D%98_%EB%8C%80%EC%A4%91%EA%B3%BC_%EC%82%AC%EC%83%81/%ED%98%84%EB%8C%80%EC%9D%98_%EB%8F%84%EC%8B%9C/%EB%8F%84%EC%8B%9C%EC%9D%98_%ED%8A%B9%EC%A7%88#%EA%B3%A0%EB%8C%80%EB%8F%84%EC%8B%9C|확인날짜=2019-11-03|출판사=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ref>
=== 중세도시 ===
중세 유럽의 도시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그 가운데서도 봉건영주나 대주교(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교회를 지배하는 최고위의 직위) 등의 대가계(大家計)에 기본적으로 의존했던 소비자 도시와 상공업의 길드(guild)에 기초를 둔 상인도시가 주요한 유형이라고 하겠다.농촌은 도시의 지배하에 있지 않았고 그것은 봉건영주가 지배하는 것이었다. 도시의 상공업자는 동업자 단체, 즉 길드를 결성하여 주변 농촌의 상공업의 금지, 바꿔 말하면 도시 길드의 특권을 봉건영주·국왕으로부터 보장을 받고 중개무역이나 수공업 생산으로 이윤을 확보하였다. 이와 같은 한편에 있어서의 폐쇄성과 다른 한편에 있어서의 개방성이 상업 길드, 그리고 중세도시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물론 특권적 성격을 가진 길드이기 때문에 가입이 제한되었었다. 중세도시가 '서약단체(誓約團體)'로서의 특징을 지니게 된 것은 길드의 결성·가입과 이에 따른 도시의 시민권의 획득이 '형제의 맹서'에 의해서 행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민이 된다는 것은 단순히 도시에 거주함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외부세력에 대하여 공통된 이해를 지닌 공동체의 참가를 의미하고 있었다. 시민은 개인의 이해와 분리될 수 없는 공공(公共)의 이해(利害)를 인식하고 그것에 대한 책임을 분담하며, 외부에 대해서는 공동체로서의 도시의 자치를 지켰던 것이다. 이리하여 근대 시민사회의 중추적 존재인 시민의 원형(原型)이 차츰 형성되어 갔다.<ref>{{백과사전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글로벌_세계_대백과사전/사회_I·문화재/현대사회의_대중과_사상/현대의_도시/도시의_특질#중세도시|확인날짜=2019-11-03|출판사=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ref>
=== 근대도시 ====
고대도시가 전형적으로 소비적인 특권계층의 도시이며 중세도시가 전형적으로 특권적인 상인 길드의 도시였음에 반하여 근대도시는 전형적인 자본주의적 공업생산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라고 하겠다. 말할 나위도 없이 도시는 많은 인구를 먹여 살릴 식량을 주변의 농촌으로부터 들여오지 않으면 안 되었다.고대도시는 그 군사력(軍事力)을 배경으로 하여 지대(地代)나 조세(租稅)로서 식량을 확보하였다. 중세도시에 와서도 고대도시가 영주나 대주교의 대가계(大家計)에 의존했던 경우와 같은 형태로, 상업을 위주로 하는 곳에서는 봉건영주가 중개무역에 의한 부당한 이윤에 의해서 식량을 획득하였다. 그런데 근대도시의 경우에 있어서는 도시와 농촌의 관계가 이와 같은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원칙적으로 도시의 공업 생산물과 농산물과의 등가교환(等價交換)의 관계에 있다고 하겠다. 또한 근대도시와 농촌과의 관계에 있어서 다른 중요한 측면은 그 관계가 사회적으로 개방되어 있다는 점이다. 시민의 자격은 신분적으로나 또는 단체적으로도 폐쇄되어 있지 않다. 누구든지 도시에서도 농촌에서도 살 수 있으며 이동도 자유이다.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아래서는 농·공업 간의 발전상의 격차로 말미암아 도시는 급격하게 발달하게 되고 전체사회 속에서의 비중이 증대되어 갔으며 농촌인구가 도시로 이주하여 공장 노동자나 그 밖의 직업에 자유롭게 취업하게 되었다. 이리하여 신분이나 단체의 제한이 없어지고 양자 사이에 유동적인 관계가 성립 되는데 이것이 근대사회의 커다란 특징이며, 따라서 이것이 근대도시의 성격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그 반면에 고대나 중세의 도시에서 볼 수 있었던 시민 상호간의 연대성 및 공공성(公共性)을 중시하는 시민정신 등이 약화되어 집단의 결속력이 약해지고, 그 때문에 도시 전체로서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가 어렵고, 인간의 소외(疏外)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상황 속에 사람들이 빠져들어가기 쉽다는 것 등이 근대도시의 문제상황을 구성하고 있다.<ref>{{백과사전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글로벌_세계_대백과사전/사회_I·문화재/현대사회의_대중과_사상/현대의_도시/도시의_특질#근대도시|확인날짜=2019-11-03|출판사=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ref>
=== 현대도시 ===
자본주의 내지는 산업주의가 고도로 발달하여 자본의 집중이 이루어지고 이와 관련하여 기업이나 관청의 관리(管理)·사무부문이 확대되고, 교통·통신수단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국가가 사적 경제(私的經濟)의 영역에까지 관여하게 된 점 등이 원인이 되어 대도시가 급격하게 거대화되어 가고 있음이 현대의 커다란 특징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대도시는 공업생산도 영위하지만 오히려 관청이나 대기업의 본사 등이 집결하여 정보처리와 정책결정이 행해지는 이른바 중추관리기능(中樞管理機能)이 집적(集積)되고 있다는 점에 특색이 있다. 사회구성의 면에서 본다면 직접 생산에 종사하지 않는 화이트 칼라를 주체로 하는 도시라고 하겠다.인구면에서는 고대·중세의 도시가 수천에서 수만, 근대도시가 수만에서 수십만임에 비하여 현대사회는 몇 백만에서 몇 천만을 헤아리는 거대도시를 이루고 있다.<ref>{{백과사전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글로벌_세계_대백과사전/사회_I·문화재/현대사회의_대중과_사상/현대의_도시/도시의_특질#현대도시|확인날짜=2019-11-03|출판사=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ref>
 
== 특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