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국 (제2차 세계 대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영어판 분류 정보를 이용.+분류:20세기 군사 동맹; 예쁘게 바꿈
1번째 줄:
[[파일:Maximum Axis Powers Control.png|섬네일|240px|녹색이 연합국, 하늘색이 추축국의 최대 세력 범위, 노란색이 중립국]]
[[파일:Tehran Conference, 1943.jpg|섬네일|right오른쪽|240px|[[1943년]] [[테헤란 회담]]에 참석한 [[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과 [[프랭클린 D. 루즈벨트|루즈벨트]], [[윈스턴 처칠|처칠]].]]
[[파일:Cairo conference.jpg|240px|right오른쪽|섬네일|[[장제스]], 루즈벨트와 처칠. 루즈벨트와 처칠은 팔꿈치를 마주 대고 같이 앉아 있다. [[태평양 전쟁]]의 연합군 지도자가 1943년 [[카이로 회담]]에서 참석하였다.]]
[[파일:Casablanca-Conference.jpg|섬네일|right오른쪽|240px|[[카사블랑카 회담]]에 참석한 [[미국]]의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영국]]의 수상 [[윈스턴 처칠]]]]
'''연합국'''(聯合國)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추축국]]에 대항하여 만들어진 연합이다. 연합국이 승리하여, 구 추축국은 현재 연합국 상태로 간주되지 않는다. 연합국들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미 침공당했거나, 추축국의 직접적인 침략에 위협되어 추축국 세력이 세계를 지배하는 것에 반대했다.<ref name="ww2hi">{{뉴스 인용
|제목=The Allies
9번째 줄:
|accessdate=2009년 9월 17일}}</ref>
 
반독일 연합 (1939년 9월 1일)은 [[프랑스]], [[폴란드]], [[영국]]과 영연방 국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와 [[남아프리카 연방]]으로 이루어졌다.<ref>Davies 2006, pp 150–151.</ref> 1941년 이후, [[영국 연방]], [[미국]], [[소련]], [[중화민국 (1912년~1949년)|중화민국]](중국)이 '''[[4명의 경찰관|빅4]]'''로 알려지고<ref>{{서적 인용 |url=http://books.google.com/books?id=GqYWmUae5h8C&pg=PA297 |제목=The Real History of World War II: A ... – Google Books |publisher=books.google.co.uk |accessdate=2009-09-02 }}</ref><ref name="Britannica 1">{{뉴스 인용
|author=<u>Encyclopædia Britannica</u>
|제목=Allied Powers&nbsp;– International Alliance also called Allies
62번째 줄:
==== 중국 공산당 ====
{{참조|중화소비에트공화국}}
[[파일:Flag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svg|섬네일|right오른쪽|[[중화소비에트공화국|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파일:Conference at Yenan Communist Headquarters before Mao Tze Tung, chairman, left for Chungking meeting. Central figures... - NARA - 531400.tif|섬네일|right오른쪽|[[중국 공산당]](CPC)의 [[마오쩌둥]](왼쪽에서 두 번째의 어두운 옷)과 중국내 미국 대사인 [[페트릭 헐리]](중앙의 나비 넥타이)가 1945년에 [[옌안 시]]의 CPC 사령부에 모인 모습.]]
중일 전쟁 시작 이후에 장제스와 마오쩌둥은 일본에 대항하는 공동 전선을 형성하기 위해 일시적인 휴전을 선포하고 [[제2차 국공 합작]]을 시작한다.
 
75번째 줄:
원래 반-독일 연합군은 프랑스, 영국, 폴란드가 1939년 8월에 모여 [[아돌프 히틀러]]가 폴란드를 지나치게 압박하여 생기게 되었다.<ref>Peszke, Michael Alfred. An Introduction to English-Language Literature on the Polish Armed Forces in World War II. ''The Journal of Military History'', Volume 70, Number 4, October 2006, pp. 1029-1064.</ref>
 
* {{국기그림|폴란드|1928}} [[폴란드]]
* {{국기그림|영국}} [[대영 제국]]<ref>1931년 웨스턴민스터 협정 이후에 영국의 자치령들은 모두 완전한 독립이 선언되었다. 그 해 이전의 영국에 의해 서명된 조약만 연결되었다.</ref>
* {{국기그림|프랑스|1794}} [[프랑스]]
 
이들 국가들은 전쟁 전에 서명되어 일반적인 방위 조약과 그물 동맹을 맺고 있었다. 프랑코-영국 동맹은 1904년 [[코르디아르 협정]]과 [[제1차 세계 대전]] 동안의 1907년 [[삼자 협상]] 동안 강해졌다. [[프랑스-영국 동맹]]은 1921년에 서명된 후 1927년 및 1929년에 개정되었다. [[폴란드-영국 공동 방위 조약]]은, 1939년 8월 25일에 서명 후 나치 독일에 의해 공격받을 경우 군사 지원이 포함되어 있었다.<ref>Keith Sword. British Reactions to the Soviet Occupation of Eastern Poland in September 1939. ''The Slavonic and East European Review'', Vol. 69, No. 1 (Jan., 1991), pp. 81-101</ref> 프랑스는 [[프랑스 공방전]] 동안 독일과 이탈리아 침략의 패배로 앵글로-프랑스 동맹은 깨졌다.<ref>Eleanor M. Gates. End of the affair: the collapse of the Anglo-French alliance, 1939-40.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ISBN|0520042921}}, 9780520042926, p. xiii.</ref>
87번째 줄:
 
=== 영국 연방 ===
[[파일:CommonwealthPrimeMinisters1944.jpg|right오른쪽|섬네일|처칠과 연방 동맹의 지도자.]]
<!--대영 제국은 1931년 이후 공식 명칭이 아니다. 영국 연방은 영국 뿐 아니라 모든 자치령을 포함한다. 영국이라는 말은 1949년까지 국명에서 제외되지 않았다. -->
 
95번째 줄:
 
=== 키프로스 ===
[[파일:cyprusregiment.jpg|키프르스 연대의 [[모자 뱃지]].|섬네일|right오른쪽]]
[[키프로스 연대]]는 제2차 세계 대전 때 영국 정부에 의해 시작되어 영국 군대의 일부가 되었다. 이것은 대부분 [[그리스계 키프로스인]] 자원대와 키프로스의 터키어 사용자였지만 또 다른 영국 연방의 국민도 포함되어 있었다. 1943년의 윈스턴 처칠이 짧은 키프로스 방문 당시, 처칠은 "리비아에서부터 됭케르크 등 여러 곳에서 활약하는 키프로스 연대"를 칭찬했다. 3만명이 키프로스 연대에 복무하고 있었다. 연대는 처음부터 [[됭케르크 전투]]에 참가하고, [[그리스 공방전]](1941년에 4백명이 [[칼라마타]]에서 포로가 됨), 북아프리카([[컴퍼스 작전]]), 프랑스, 중동, 이탈리아에서 활약했다. 대부분의 병사들은 전쟁 시작 당시 [[람스드러프]]([[스탤러그 VIII-B]])를 포함한 체코 공화국에 가장 가까운 각종 포로 수용소에 구류된 죄수([[스탤러그]])가 되었다. 칼라마타에 포로가 된 군인들은 전쟁 수용소로 기차로 수송하였다.
 
=== 인도 ===
[[파일:British Raj Red Ensign.svg|right오른쪽|섬네일|[[영국령 인도 제국]]]]
 
[[영국령 인도 제국]](후의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과 [[미얀마]])은 [[식민 회사]]와 [[왕령식민지]]로써, 영국에 의해 정치적인 통제를 받고 있어 영국의 전쟁 선언과 함께 전쟁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인도 군대는 25만명이 있었다. 그 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인도 군대는 역사상 최대의 자원대였고, 250만명 이상 있었다. 이들 병력은 탱크와 포병, 항공 병력이 포함되었다. 인도 군인들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30명이 [[로열 빅토리아 훈장]]을 받았다. 사상자들은 150만명(영국보다 많음)으로, 보통 [[1943년 벵골 대기근]]과 일본령 버마의 패배로 인한 사상자이고,<ref>Gordon, Leonard A., Review of ''Prosperity and Misery in Modern Bengal: The Famine of 1943–1944'' by Greenough, Paul R.,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 88, No. 4 (Oct., 1983), p. 1051 <http://www.jstor.org/stable/1874145></ref> 그래서 보급 식료품은 부족했고, 87,000명의 군인 사상자가 나왔다(모든 왕령식민지의 사상자보단 높지만, 영국보다는 적다). 영국은 382,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 프랑스 ===
{{본문|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의 군사 역사}}
 
117번째 줄:
 
=== 오슬로 그룹 ===
[[파일:Flag of Norway.svg|섬네일|right오른쪽|[[노르웨이 왕국]]]]
오슬로 그룹은 공식적 중립국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노르웨이]]는 가입 멤버로써, 후에 모두 [[망명 정부]]를 세우게 된다.
 
130번째 줄:
 
=== 유고슬라비아 ===
[[파일:Flag of the Kingdom of Yugoslavia.svg|섬네일|right오른쪽|[[유고슬라비아 왕국]].]]
[[파일:Yugoslav Partisans flag 1945.svg|섬네일|right오른쪽|[[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유고슬라비아]]는 1941년 추축국의 침공 이후 연합군 측으로 전쟁에 참여했다. 국가가 점령되고, 보수주의자의 분할 반대 속에 [[체트니크]]와 [[조셉 요지프 티토]]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타잔]]이 저항했다. 유고슬라비아 파르타잔의 전쟁 중 상당한 지역을 점령하여 추축국 점령에 매우 저항하고 있었다. 1944년, 최초의 연합국은 유고슬라비아 파르타잔의 티토를 설득하여 [[이반 슈바시치]]와 [[비스 조약]]을 맺어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공화국]]을 세우나 전쟁 후 국민 투표후 민주주의가 끝나게 된다. 이반 슈바시치가 외국인 목사가 된 반면 티토는 유고슬라비아 지도자가 되었다.
 
=== 소비에트 연방 ===
[[파일:Flag of the Soviet Union (1923-1955).svg|섬네일|right오른쪽|[[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1939년 8월 20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장군 [[게오르기 주코프]]는, [[몽골 인민 공화국]]과 함께 [[할힌골 전투]]에서 일본에게 승리했다. 같은 날, 소련의 서기장 [[이오시프 스탈린]]과 독일 [[아돌프 히틀러]]는, 독일 외무 장관 [[요하임 폰 리벤트로프]]와의 외교회담을 위해 모스크바로 갔다. (봄과 여름 내내 미지근한 반응이 있는 후, 스탈린은 영국과 프랑스와의 친선 관계를 포기했다.)<ref>Overy 1997, pp 41, 43–7.</ref> 8월 23일 리벤트로프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동유럽 '영향 영역'을 나누는 비밀 협정을 포함하여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을 맺고 폴란드의 정치적, 군사적 경계도 나누었다.<ref>Davies 2006, pp 148–51.</ref>
147번째 줄:
 
=== 미국 ===
[[파일:US flag 48 stars.svg|섬네일|right오른쪽|[[미국|미합중국]]]]
 
전쟁 전에는, 미국은 중국, 프랑스, 영국, 소련을 [[무기 대여법]]을 통해 지원하고, 영국과는 [[대서양 헌장]]으로 통합적인 지원을 하였다. 미국은 또한 적극적으로 일본의 전략적 자원의 거래를 중단하고, 일본의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하와이에서 샌디에이고로 미국 태평양 함대 이동을 포함하여 일본과 전쟁하는 중국을 지원하고 있었다.
156번째 줄:
 
=== 브라질 ===
[[파일:Flag of Brazil (1889-1960).svg|right오른쪽|섬네일|[[브라질]]]]
{{본문|브라질 원정군}}
 
170번째 줄:
미국과 기타 세력은 이에 반해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어떤 방식으로든 어떤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을 신중에 참는다. 그러므로 그 정치 조직이 일본에 대해 전쟁을 선포 한 것도 조선인이 한반도에서 중국군과 함께 싸운 것도 우리에게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wikisource:en:Comments on Korean Note Regarding U.S. Treaty Draft May 9, 1951]]}}
 
하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연합국이라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주장은 주로 대한민국 내에서 제기되며, [[1919년]] [[3·1 운동]]을 기점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후 [[중일 전쟁]] 동안 [[중국 국민당]]과 연합하여 독립운동을 통한 방식으로 대일 항쟁을 시작하는 한편, [[진주만 공격]]이 있었던 [[1941년]]에는 [[한국 광복군]]을 창설해 [[추축국]]인 [[일본 제국]]과 [[나치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1944년]]에는 버마 전선에서 [[영국군]]의 요청으로 [[임팔 전투]]에 광복군 요원을 투입하여 전쟁에 참여한다. 한편, 임시정부는 1921년 [[중화민국]]으로부터 승인을 받고<ref>[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5333 미래를 여는 역사의 門 해방 70년 26. 대한민국임시정부 항일외교의 수장 남파 박찬익(朴贊翊)]</ref> 중화민국 이외에도 [[1944년]]에는 [[소련]]으로부터<ref>[http://folkency.nfm.go.kr/sesi/dic_index.jsp?P_MENU=04&DIC_ID=1034&ref=T2&S_idx=67&P_INDEX=2&cur_page=1 한국민속대백과사전,국립민속박물관]</ref>, 다음 해 [[1945년]]에는 [[프랑스]]와 [[폴란드]], [[리투아니아]] 등등 몇몇 정부로부터 승인을 받았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ref>이정식, 《대한민국의 기원》(일조각, 2006) 93페이지</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750487 광복회“건국절이라니... 안중근·윤봉길 의사 앞에서 혀 깨물고픈 심정"]</ref>
 
=== 멕시코 ===
[[파일:Flag of Mexico (1934-1968).svg|섬네일|right오른쪽|[[멕시코 연방]]]]
[[멕시코]]는 독일 잠수함이 1942년 [[SS 포트레로 델 라노]]와 [[SS 파하 데 오로]] 멕시코 유조선이 [[미국]]으로 석유 수송 중 격침되었다. 이 공격으로 인해 [[멕시코 대통령]] [[마누엘 아빌라 카마초]]이 추축국에게 선전포고하였다.
 
182번째 줄:
 
=== 아르헨티나 ===
[[파일:Flag of Argentina.svg|right오른쪽|섬네일|[[아르헨티나]]]]
{{본문|아르헨티나 원정군}}
[[아르헨티나]]는 1940년대 초반에 추축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1944년 1월에 영국과 미국의 압박으로 아르헨티나는 추축국과의 관계를 끊고 1945년에 연합국으로 선전포고를 하였다. 아르헨티나는 영국에 약 4,000명의 군대를 지원했으며, 750여명의 아르헨티나 의용군이 자진해서 [[영국]], [[캐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으로서 싸웠다.
238번째 줄:
== 유엔 ==
=== 연합국 선언 ===
[[파일:Original United Nations.jpg|섬네일|180px|right오른쪽|[[유엔]] 형성 당시, 1942년에 만들어진 [[미국 전쟁 안내 사무소]]에서 26개의 회원국을 보여주는 포스터.]]
 
동맹은 1942년 1월 1일 [[연합국 공동 선언]]에서 공식화되었다. 다음의 26개 국가가 있었다.:
 
* {{국기나라|오스트레일리아}}
* {{국기나라|벨기에}}
* {{국기그림|영국령 인도 제국}} [[영국령 인도 제국]]
* {{국기나라|캐나다|1921}}
* {{국기나라|중화민국}}
* {{국기나라|코스타리카|1906}}
* {{국기나라|쿠바}}
* {{국기나라|체코슬로바키아}}
* {{국기나라|도미니카 공화국}}
* {{국기나라|엘살바도르}}
* {{국기나라|그리스|1822}}
* {{국기나라|과테말라}}
* {{국기나라|아이티|1859}}
* {{국기나라|온두라스}}
* {{국기나라|룩셈부르크}}
* {{국기나라|네덜란드}}
* {{국기나라|뉴질랜드}}
* {{국기나라|니카라과|1908}}
* {{국기나라|노르웨이}}
* {{국기나라|파나마}}
* {{국기나라|폴란드|1928}}
* {{국기나라|남아프리카 공화국|1928}}
* {{국기나라|소비에트 연방|1924}}
* {{국기나라|영국}}
* {{국기나라|미국|1912}}
* {{국기나라|유고슬라비아 왕국}}
 
=== 동맹의 성장 ===
[[파일:Naciones Unidas 3.jpg|섬네일|180px|right오른쪽|[[유엔]]의 [[미국 전쟁 안내 사무소]]에서 만든 1943년 전시 포스터.]]
유엔은 창설 이후 즉시 커지기 시작했다. 1942년, 멕시코, 필리핀, 에티오피아가 가입했다. 필리핀은 여전히 워싱턴에 의존하지만, 국제 외교권을 인정하고 6월 10일에 가입이 허용된 후 일본에게 선전포고했으며, 아프리카 국가는 1941년 이탈리아군의 [[암바 알지 전투]] 패배 후 영국에 의해 나라가 복원된 후 가입했다.
 
343번째 줄:
* {{국기그림|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td></tr></table>
 
== 전쟁 선언을 한 연합국 목록 ==
===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후 ===
{{참조|폴란드 침공}}
 
* {{국기그림|폴란드|1928}} [[폴란드 제2공화국]] : 1939년 9월 1일
* {{국기나라|오스트레일리아}} : 1939년 9월 3일
* {{국기그림|프랑스|1794}} [[프랑스 제3공화국]] : 1939년 9월 3일<ref>[[자유 프랑스]] [[망명 정부]]는 1940년 6월 18일부터 1944년 8월 19일까지 영국과 함께 전쟁을 치루었다. [[필리프 페탱]]의 [[비시 프랑스]] 정부는 공식적으로 1940년 6월 22일에 항복하고 이후 추축국의 협력국이 되었다. [[자유 프랑스]]의 연합군의 전쟁 노력의 기여는, [[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가 공식적으로 1944년 10월 23일에 프랑스의 합법적인 정부로 연합군에게 인정받았다([http://www.ordredelaliberation.fr/fr_doc/1_1_1_1.html Ordre de la Libération] {{웨이백|url=http://www.ordredelaliberation.fr/fr_doc/1_1_1_1.html |date=20090704122524 }}). 1940년 페탱의 항복으로 법적으로는 비시 정권이 합법적인 정부였다([http://www.legifrance.gouv.fr/affichTexte.do;jsessionid=E79852A4775DD1EE2B2FFC999A64A723.tpdjo06v_2?cidTexte=LEGITEXT000006071212&idArticle=&dateTexte=20090916 ref])</ref>
* {{국기나라|뉴질랜드}} : 1939년 9월 3일
* {{국기나라|영국}}: 1939년 9월 3일
** {{국기그림|인도|영국령}} [[영국령 인도 제국]]: 1939년 9월 3일<ref name="Britannica 1" /><ref name = "UN Declaration 2" /><ref>외국과 군사 사무는 영국이 통치하는 동안, 영국 정부는 인도에게 특정 문제에 대해 행동할 수 있게 [[유엔 연맹]] 이후 자치권이 주어졌다.</ref><ref name="UN Charter" />
* {{국기그림|남아프리카 공화국|1928}} [[남아프리카 연방]]: 1939년 9월 6일
* {{국기나라|캐나다|1921}}: 1939년 9월 10일
* {{국기나라|덴마크}}: 1940년 4월 9일<ref>독일은 1940년 덴마크를 점령하고 덴마크 정부는 항복했다. 1942년 덴마크 정부는 해산되고 나치 독일의 직접적인 통치를 받게 되었다. 덴마크는 1945년 UN 창립 회원으로 인정받았다.</ref>
* {{국기나라|노르웨이}}: 1940년 4월 9일
 
=== 가짜 전쟁 이후 ===
{{참조|가짜 전쟁}}
* {{국기나라|벨기에}}: 1940년 5월 10일
* {{국기나라|룩셈부르크}}: 1940년 5월 10일
* {{국기나라|네덜란드}}: 1940년 5월 10일
* {{국기그림|그리스|왕국}} [[그리스 왕국]]: 1940년 8월 28일
* {{국기나라|유고슬라비아 왕국}}: 1941년 4월 6일<ref name="yugo">[[추축국]]의 정식 국가가 된 기간은 1941년 3월 25일부터 4월 6일까지로, [[유고슬라비아 왕국]]은 처음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국 망명 정부로 연합군에게 합법 정부로 인정받았다.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은 [[제2차 AVNOJ 컴퍼런스]]에서 왕국을 성공하게 되고, 1943년 11월 29일에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에 의해 [[유고슬라비아 파르타잔]]을 세우고, 이틀 후 [[테헤란 회담]]에서 공식적인 유고슬라비아 무장 저항군으로 인정되었다.</ref>
 
=== 소련 침공 이후 ===
{{참조|바르바로사 작전}}
* {{국기나라|소련|1924}}: 1941년 6월 22일
** [[파일:Flag of Ukrainian SSR (1937-1949).svg|22px]]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우크라이나 SSR]]: 1941년 6월 22일<ref>소련은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의 지배국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동맹의 지배에서 스탈린을 안심시키고 전쟁 끝에 영국과 미국은 별도의 전쟁국으로 인정했다.</ref>
** [[파일:Flag of Byelorussian SSR.svg|22px]]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벨로루시 SSR]]: 1941년 6월 22일
* [[파일:Flag of the Tuvan People's Republic (1933-1939).svg|22px]] [[탄누 투바|탄누 투바 공화국]]: 1941년 6월 25일 (1944년 소련에게 합병)
* [[파일: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Mongolia (1940-1992).svg|22px]] [[몽골 인민 공화국]]: 1941년 8월 9일
 
=== 진주만 공격 이후 ===
{{참조|진주만 공격}}
* {{국기나라|미국|1912}}: 1941년 12월 7일
* {{국기나라|파나마}}: 1941년 12월 7일
* {{국기나라|코스타리카|1906}}: 1941년 12월 8일
* {{국기나라|도미니카 공화국}}: 1941년 12월 8일
* {{국기나라|엘살바도르}}: 1941년 12월 8일
* {{국기나라|아이티|1859}}: 1941년 12월 8일
* {{국기나라|온두라스}}: 1941년 12월 8일
* {{국기나라|니카라과|1908}}: 1941년 12월 8일
* {{국기나라|중화민국 (1912년~1949년)}}: 1941년 12월 9일<ref>[[일본 제국]]과는 1937년부터 전쟁하였다.</ref>
* {{국기나라|과테말라}}: 1941년 12월 9일
* {{국기나라|쿠바}}: 1941년 12월 9일
* {{국기그림|필리핀|1919}} [[필리핀|필리핀 연방]]: 1941년 12월 9일<ref name="Britannica 1" /><ref name="UN Declaration 2" /><ref name="UN Charter" >{{웹 인용|url=http://www.un.org/en/members/growth.shtml |제목=United Nations member States – Growth in United Nations membership, 1945–present |publisher=Un.org |date= |accessdate=2010-05-15}}</ref><ref>필리핀 외교 및 군사 업무는 미국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망명정부는 1942년 6월 10일 서명했다.</ref>
* {{국기나라|대한민국 임시정부}}: 1941년 12월 10일<ref>[http://korean.cqnews.net/html/2012-06/08/content_16419455.htm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중국측 페이지 중 대일선전포고에 관한 내용 발췌] {{웨이백|url=http://korean.cqnews.net/html/2012-06/08/content_16419455.htm |date=20130731071306 }} -"한국광복군은 창설 이후 1942년 ‘조선의용대’까지 편입하여 4개 지대와 특파단 공작대 등을 편성함으로써 조직적인 군사력을 갖게 되었다. 이 같은 한국광복군의 무장력을 바탕으로 임시정부는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이 일어나자 ‘대일선전성명서’를 발표하고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할 것을 천명하였다. 그리고 중국군은 물론 영국군과 미군과도 연합작전을 수행하여 인도와 미얀마 전선에까지 공작대를 파견하여 전투를 별였고 정보수집, 선전활동 등에 주력해 활동하기도 하였다. 그런가 하면 1944년에는 미군전략정보처와 군사합작을 합의하여 광복군 선발 대원들이 특수훈련을 받아 국내에 진공할 만반의 준비를 다 하였다."</ref><ref>[http://mpva.tistory.com/1518 보훈처 대일선전포고 70주년 기념식 내용 발췌 부분] {{웨이백|url=http://mpva.tistory.com/1518 |date=20140201233331 }} "2011년 12월 10일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일선전포고 7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대일선전포고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닙니다. 1941년 12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일선전포고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존재를 세계에 알리고,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을 향한 기개와 저력을 세계 만방에 천명한 날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항일 투쟁의 구심점이었던 임시정부가 진주만을 습격해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일본에 대해 응징을 선언함으로써 연합국의 일원으로서 존재감을 각인시키는 계기도 되었습니다. 하루 앞선 12월 9일 오늘 오전 11시, 백범기념관에서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일선전포고 70주년 기념식이 진행되었는데요.박유철 광복회장, 최완근 서울지방보훈청장을 비롯하여 독립운동 관련 단체장과 광복회원 등 300여 명이 기념식에 참석하셨습니다. 70주년 기념식은 한국독립유공자협회장의 식사와 한국광복군동지회장의 대일선전포고문 낭독에 이어 서울지방보훈청장, 광복회장의 축사, 3.1여성동지회의 독립군가 합창, 원로 애국지사의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중략)...</ref>
* {{국기그림|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1941년 12월 16일<ref>[[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는, 1939년 3월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결성되었다. 망명중인 체코는 전쟁 초기부터 연합군과 같이 전쟁하였다.</ref>
 
=== 연합국 공동 선언 이후 ===
{{본문|연합국 공동 선언}}
* {{국기나라|멕시코|1934}}: 1942년 5월 22일
* {{국기나라|브라질|1889}}: 1942년 8월 22일
* {{국기나라|에티오피아|1897}}: 1942년 12월 14일<ref>이전에 [[아비시니아 위기]]로 인해 [[이탈리아 왕국 (1861-1946)|이탈리아]]를 통해 합병되었다.</ref>
* {{국기나라|이라크|1924}}: 1943년 1월 17일<ref name="Occupied by Allies in 1941">1941년에 연합군이 점령했다.</ref>
* {{국기나라|볼리비아}}: 1943년 4월 7일
* {{국기나라|콜롬비아}}: 1943년 7월 26일
* {{국기그림|이란|1925}} [[팔라비 왕조]]: 1943년 9월 9일<ref name="Occupied by Allies in 1941"/>
* {{국기나라|이탈리아 왕국}}: 1943년 8월 13일<ref>추축국 구성원이였다. 이탈리아는 1943년 9월 8일 연합군에게 항복하고 10월 13일에 독일에게 선전포고하였다. 이탈리아는 7월 14일에 일본에게 선전포고했다. 이 나라는 전쟁 중 유엔에 가입하지 않았다.</ref>
* {{국기나라|라이베리아}}: 1944년 1월 27일
* {{국기나라|페루|1825}}: 1944년 2월 12일
 
===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
{{본문|노르망디 상륙작전}}
* {{국기나라|루마니아 왕국}}: 1944년 8월 24일<ref>추축국 구성원이였다. 루마니아는 1944년 8월 23일에 연합군에게 항복했다. 독일(1944년 8월 25일), 헝가리(1944년 9월 7일), 일본(1945년 3월 7일) 선전포고하고 9월 12일 연합군과 휴전 협정을 맺었다. 루마니아 군대는 1944년부터 1945년까지 헝가리와 추축국에 대항하여 소련과 같이 전쟁했다. 루마니아는 전쟁 중에 유엔에 가입하지 않았다.</ref>
* {{국기나라|헝가리 왕국 (1920년-1946년)}}: 1945년 1월 20일<ref>추축국의 구성원이였다. 헝가리는 연합군과 휴전을 맺고 1945년 1월 20일에 독일에게 선전포고했다. 헝가리는 전쟁 중에 유엔에 가입하지 않았다.</ref>
* {{국기나라|에콰도르|1900}}: 1945년 2월 2일
* {{국기나라|파라과이|1842}}: 1945년 2월 7일
* {{국기나라|우루과이}}: 1945년 2월 15일
* {{국기나라|베네수엘라|1930}}: 1945년 2월 15일
* {{국기나라|터키}}: 1945년 2월 23일
* {{국기나라|이집트|1922}}: 1945년 2월 24일
* {{국기나라|레바논}}: 1945년 2월 27일
* {{국기나라|시리아|1932}}: 1945년 2월 27일
* {{국기나라|사우디아라비아|1938}}: 1945년 3월 1일
* {{국기나라|핀란드}}: 1945년 3월 3일<ref>독일의 공동 교전국으로 [[계속 전쟁]]에 참여했다. 핀란드는 1944년 9월 19일 소련과 영국과 평화협정을 맺고, [[라플란드 전쟁]]을 1944년 10월 1일부터 시작하여 독일에게 전쟁했다. 1945년 3월 3일, 1944년 9월 15일부터 소극적으로 독일과 전투했다. 핀란드는 전쟁 중에 유엔에 가입하지 않았다.</ref>
* {{국기나라|아르헨티나}}: 1945년 3월 27일
* {{국기나라|칠레}}: 1945년 4월 11일 (오직 일본에게만 선전포고)
 
== 더 보기 ==
* [[해방된 세계 (제2차 세계 대전)]]
* [[추축국]]
430번째 줄:
{{각주|2}}
 
== 참고 자료 ==
{{참고 자료 시작}}
* [[Norman Davies|Davies, Norman]] (2006), ''Europe at War 1939–1945: No Simple Victory''. London: Macmillan. {{ISBN|0-333-69285-3}}
448번째 줄:
[[분류:제2차 세계 대전|연합국]]
[[분류:20세기 군사사|*]]
[[분류:20세기 군사 동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