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만조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게르만조어'''({{llang|en|Proto-Germanic}}, 약어 '''PGmc''')는 역사언어학의 방법으로 재구해낸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게르만조어'''({{llang|en|Proto-Germanic}}, 약어 '''PGmc''')는 [[역사언어학]]의 방법으로 [[비교 재구|재구]]해낸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의 [[조상 언어]]이다.
 
게르만조어는 서기 원년에서 500년 사이에 선게르만조어(先―, {{llang|en|Pre-Proto-Germanic}})에서 나와, [[서게르만어군]]·[[동게르만어군]]·[[북게르만어군]]의 세 갈래로 나뉘었다. 게르만어파의 세 갈래는 갈라지는갈라진 뒤에도 오랜 시간 동안 서로 접촉해 있었다. 특히 [[영어]]를 포함한 [[북해게르만어군]]은 서게르만어군에 속하지만 북게르만어군과 오래도록 접촉을 유지했다.
 
게르만조어를 규정하는 특징은 [[그림의 법칙]]이라 불리는 음운 변화 과정을 완전히 겪었다는 것이다. 그림의 법칙은 게르만조어가 [[인도유럽조어]]의 방언이던 시기부터 독립된 언어로 갈라진 시기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일어난 일련의 음운 변화를 가리킨다. 이러한 음운 변화는 수백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일어났을 것이므로, 게르만조어를 단순히 [[나무 모형]]의 한 마디로 여기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보다는 거의 1,000년에 걸친 변화 과정을 나타낸다고 보아야 한다. 4세기경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시작하면서 게르만조어 시기는 끝이 난다.
9번째 줄:
게르만조어로 된 온전한 기록은 오늘날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게르만조어의 모습은 [[역사언어학]]의 [[비교 재구]]라는 방법을 통해 재구성한 것이다. (후기) 게르만조어로 된 단편적인 기록은 초기 [[룬 문자]] 새김글(기원후 2세기의 [[비모세 명문]]과 기원전 2세기의 [[네가우 투구]] 명문)<ref name="Comrie">{{cite book|last=Comrie|first=Bernard (editor)|authorlink=Bernard Comrie |title=The World's Major Languages|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location=New York, New York|year=1987|isbn=0-19-506511-5|pages= 69–70}}</ref> 및 [[로마 제국]] 시기에 몇몇 단어들을 기록한 것(특히 기원후 90년경 [[타키투스]]의 《[[게르만족의 기원과 현황|게르마니아]]》<ref>게르만족 대이동 시기의 창을 뜻하는 ‘framea’와 같은 일반명사, ‘Mannus’와 같은 신화의 등장인물, ‘Ingaevones’와 같은 부족 이름 등이 기록되어 있다.</ref>)이 남아 있다.
 
== 음운론 ==
=== 표기법 ===
이 글에서는 게르만조어를 표기할 때 다음의 규칙을 따른다.
* 유성 장애음은 b, d, g로 적는다. 이 소리들이 기저에서 파열음 {{IPA|/b/}}, {{IPA|/d/}}, {{IPA|/ɡ/}}이었다거나 마찰음 {{IPA|/β/}}, {{IPA|/ð/}}, {{IPA|/ɣ/}}이었다는 두 의견 중 한 쪽의 손을 들어 주는 것은 아니다. 다른 문헌에서는 이 소리들은 b, d, g에 가로줄을 그은 ƀ, đ, ǥ로 나타내기도 한다.
* 무성 마찰음은 f, þ, h로 적는다(실제로는 {{IPA|/ɸ/}}, {{IPA|/θ/}}, {{IPA|/x/}}였을지도 모른다). {{IPA|/x/}}는 후기 게르만조어의 특정 환경에서 {{IPA|/h/}}로 변했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IPA|/xʷ/}}는 일부 환경에서 {{IPA|/hʷ/}} 또는 {{IPA|/ʍ/}}로 변했다.
* 순음화 연구개음은 kw, hw, gw로 적는다. 이 소리들이 하나의 음소였다거나({{IPA|/kʷ/}}, {{IPA|/xʷ/}}, {{IPA|/ɡʷ/}}) 두 개의 음소였다는({{IPA|/kw/}}, {{IPA|/xw/}}, {{IPA|/ɡw/}}) 의견 중 한 쪽의 손을 들어 주는 것은 아니다.<!--
* The yod sound appears as ''j'' {{IPA|/j/}}. Note that the normal convention for representing this sound in [[Proto-Indo-European language|Proto-Indo-European]] is ''y''; the use of ''j'' does not imply any actual change in the pronunciation of the sound.
* Long vowels are denoted with a macron over the letter, e.g. ''ō''. When a distinction is necessary, {{IPA|/ɛː/}} and {{IPA|/eː/}} are transcribed as ''ē¹'' and ''ē²'' respectively. ''ē¹'' is sometimes transcribed as ''æ'' or ''ǣ'' instead, but this is not followed here.
* Overlong vowels appear with circumflexes, e.g. ''ô''. In other literature they are often denoted by a doubled macron, e.g. ''ō̄''.
* Nasal vowels are written here with an [[ogonek]], following Don Ringe's usage, e.g. ''ǫ̂'' {{IPA|/õːː/}}. Most commonly in literature, they are denoted simply by a following n. However, this can cause confusion between a word-final nasal vowel and a word-final regular vowel followed by {{IPA|/n/}}, a distinction which was phonemic. Tildes (''ã'', ''ĩ'', ''ũ''...) are also used in some sources.
* Diphthongs appear as ''ai'', ''au'', ''eu'', ''iu'', ''ōi'', ''ōu'' and perhaps ''ēi'', ''ēu''.<ref>On ''eu'' and ''iu'' see {{harvnb|Cercignani|1973}}.</ref> However, when immediately followed by the corresponding semivowel, they appear as ''ajj, aww, eww, iww''. ''u'' is written as ''w'' when between a vowel and ''j''. This convention is based on the usage in {{harvnb|Ringe|2006}}.
* Long vowels followed by a non-high vowel were separate syllables and are written as such here, except for ''ī'', which is written ''ij'' in that case.
-->
== 각주 ==
<referen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