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019년 11월 6일 (수) 09:31 판으로 되돌림
4번째 줄:
[[파일:Comfort women crossing a river following soldiers.png|섬네일|250px|일본군의 다음에 강을 건너는 위안부]]
{{노예제}}
'''위안부 '''({{llang|ja|慰安婦, いあんふ|이안후}})는 [[제2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대전]] 동안 [[일본군]]의 성적 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강제적이거나 집단적으로집단적, 일본군의 기만에 의해 [[징용]] 또는 인신매매범, 매춘업자 등에게 납치, 매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일본군을 대상으로 성적인 행위를 강요받은 여성여성을 말한다.<ref>이세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8627435&isYeonhapFlash=Y "위안부는 성노예"…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자료 공개]. 연합뉴스. 2016년 8월 19일.</ref> [[일본]]에서는 '''종군 위안부'''({{llang|ja|從軍慰安婦, じゅうぐんいあんふ|주군이안후}})라고도 일컫는다. 위안부 피해 여성들은 징용 또는 납치, 매매 등 다양하게 인권을 유린 당했다.
 
기본적으로 [[조선인]]과 [[중국인]]을 포함하며, 그 밖에 [[필리핀]]과 [[태국]],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네덜란드]] 등 [[일본 제국]]이 점령한 국가 출신의 여성도 일본군에게 징발되었다. 생존한 사람들은 하루에 30번 이상 [[성행위]]를 강요당했다고 증언했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국 가운데 유일한 유럽 국가인 [[네덜란드]]의 얀 할머니는 [[1990년]]에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임을 밝혔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네덜란드령 동인도]])에 살고 있던 얀 할머니([[얀 루프 오헤른]])는 [[한국방송공사|KBS]] 다큐멘터리 《[[KBS 스페셜]]》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군]]의 성폭력을 피해 달아났다가 다시 일본군에게 잡혀왔다는 증언을 한 바가 있다. 얀 할머니의 고백 이후 엘른 판 더 플루흐머니도 일군 위안부 피해자였음을<ref name="autogenerated1">http://www.kbs.co.kr/1tv/sisa/kbsspecial/vod/1383556_11686.html 일본군 위안부 세계가 껴안다 - 1년간의 기록 [[2006년]] [[2월 25일]] 방영</ref> [[1991년]] [[8월 14일]]에는 [[김학순 (여성운동가)|김학순]]이 자신이 위안부였다고 고백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위안부는 기본적으로 [[조선인]]과 [[중국인]]을 포함한다. 그 밖에 [[필리핀]]과 [[태국]],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네덜란드]] 등 [[일본 제국]]이 점령한 국가 출신의 여성도 일본군에게 징발되었다. 생존한 사람들은 하루에 30번 이상 [[성행위]]를 강요당했다고 증언했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국 가운데 유일한 유럽 국가인 [[네덜란드]]의 얀 할머니는 [[1990년]]에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임을 밝혔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네덜란드령 동인도]])에 살고 있던 얀 할머니([[얀 루프 오헤른]])는 [[한국방송공사|KBS]] 다큐멘터리 《[[KBS 스페셜]]》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군]]의 성폭력을 피해 달아났다가 다시 일본군에게 잡혀왔다는 증언을 한 바가 있다. 얀 할머니의 고백 이후 엘른 판 더 플루흐머니도 일군 위안부 피해자였음을<ref name="autogenerated1">http://www.kbs.co.kr/1tv/sisa/kbsspecial/vod/1383556_11686.html 일본군 위안부 세계가 껴안다 - 1년간의 기록 [[2006년]] [[2월 25일]] 방영</ref> [[1991년]] [[8월 14일]]에는 [[김학순 (여성운동가)|김학순]]이 자신이 위안부였다고 고백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당시 도이하라 겐지가 만주에 있는 러시아 여자들에게 아편을 중독시켜 매춘을 강요시키고 대규모 매춘 집단을 만들었던 것처럼 일본군의 군자금은 아편이였고 조선의 기생이나 위안부를 아편과 히로뽕으로 중독시켜 매춘을 강요시켰다.
 
[[2004년]] [[11월 29일]]에는 [[심미자]] 등이 일본 대법원에서 일본군위안부로 인정되었다.<ref>[http://www.independent.co.kr/news/article.html?no=5490 위안부 할머니의 분노 "우리를 앵벌이 삼아 국제망신 그만시켜라"]</ref>
 
[[1994년]] [[8월 31일]] 일본 정부는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 富市) [[일본의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총리)이 위안부에 대해서 사죄의 담화를 낸 바 있다.<ref>[http://www.kantei.go.jp/jp/murayamasouri/danwa/asia-danwa.html 内閣総理大臣の談話 平成六年八月三十一日] {{웨이백|url=http://www.kantei.go.jp/jp/murayamasouri/danwa/asia-danwa.html |date=20171006212315 }} 首相官邸</ref><ref>[http://www.mofa.go.jp/announce/press/pm/murayama/state9408.html Statement by Prime Minister Tomiichi Murayama on the "Peace, Friendship, and Exchange Initiative" (August 31, 1994)] ([[일본 외무성|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ref> 또한 [[1996년]]에 [[하시모토 류타로]] 총리 역시 위안부에 대해서 사죄의 편지를 보낸 바 있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0476353&cp=nv 아베 “위안부 사죄마음 변함없다”]{{깨진 링크|url=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0476353&cp=nv }}</ref> 아울러 이 문제가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이나 양국간 각종 조약([[한일기본조약]] 등) 따위로 법적으로 해결이 완료되었다고 주장하였다.<ref name="橋本総理">[http://www.kantei.go.jp/jp/hasimotosouri/speech/1996/0819.html アジア女性基金事業実施に際しての総理の手紙] {{웨이백|url=http://www.kantei.go.jp/jp/hasimotosouri/speech/1996/0819.html |date=20100809204231 }} 首相官邸</ref> 한편 일본 측은 대한민국 정부 또한 미군을 위해 위안부와 비슷한 것을 운영한 적이 있었다고 주장한다.<ref>http://www.nytimes.com/2009/01/08/world/asia/08korea.html?_r=1&scp=8&sq=Comfort%20Women%20Korean%20War&st=cse</ref><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67635</ref> 또, 위안부의 존재는 인정하였으나, 강제연행은 없었다고 주장한다.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위안부 피해자들은 일본 정부의 사과와 진상 규명 및 적절한 배상, 책임자 처벌 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대해, [[1992년]]부터 현재까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관 앞에서 매주 수요일마다 항의하는 [[수요집회]]를 개최하고 있다.
 
== 명칭 ==
[[파일:Comfortwoman募集ToBeRecruited.JPG|섬네일|1938년 3월 4일 일본군의 위안부 모집에 관한 명령서]]
한국 내 정식 명칭은 “일본군 ‘위안부’”이다. ‘위안’이라는 단어가 일본군 입장에서 서술된 것이기 때문에 작은 따옴표를 이용하여 일본군 ‘위안부’로 표기하는 것이 정확하다. 일부에서 ‘근로정신대(勤勞挺身隊)’인 ‘여자정신대’와 위안부를 혼용해서 사용하지만, 여자정신대와 위안부는 다르다. 여자정신대는 일본 정부에 징용되고, 일반의 노동을 강요당한 여자를 일컫는 반면 일본군 ‘위안부’는 일반의 노동 대신에 성적인 행위를 강요당한 여자를 일컫는다. ‘정신대’의 ‘정신(挺身)’은 ‘솔선하여 앞장선다’는 뜻으로 적절한 용어는 아니나,용어가 아니다.

[[대한민국]] 관계 법령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고 사용한다사용하고 있다. ‘위안부’라는 용어는 이 제도를 통해 ‘성적 위안’을 받은, 가해자 일본군 중심의 용어라는 문제가 지적되기도 하였으나 당시의 공식 문서에서 사용되고 있어 일본군 또는 정부의 개입 사실을 보여주는 용어라는 의미도 있다. 피해 여성 입장에서 본다면 이를 ‘성노예’로 부를 수 있겠으나,있으나 강한 어감 때문에 피해 여성들은 ‘성노예’라는 명칭에 부정적이다<ref>{{웹 인용| 제목=제3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출판사=일본군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url=http://www.hermuseum.go.kr/include/dwn.asp?idx=51&fileNum=1&s_top=4&s_left=1&s_deps=2&sub_deps=4|제목 형식=제3차[[HWP]]|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날짜=2006-12-16|출판사 확인날짜=일본군위안부 피해자 e2012-01-역사관|형식=[[HWP]]16|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0926194339/http://www.hermuseum.go.kr/include/dwn.asp?idx=51&fileNum=1&s_top=4&s_left=1&s_deps=2&sub_deps=4| 보존날짜=2013-09-26| 깨진링크=예|확인날짜=2012-01-16}} [http://www.hermuseum.go.kr/bbs/bbs_view.asp?s_top=4&s_left=1&s_deps=2&sub_deps=4&search_select=all&idx=51 관련 게시물] {{웨이백|url=http://www.hermuseum.go.kr/bbs/bbs_view.asp?s_top=4&s_left=1&s_deps=2&sub_deps=4&search_select=all&idx=51 |date=20130926194342 }} 및 [http://www.hermuseum.go.kr/include/dwn.asp?idx=52&fileNum=1&s_top=4&s_left=1&s_deps=2&sub_deps=4 영문 결의문] {{웨이백|url=http://www.hermuseum.go.kr/include/dwn.asp?idx=52&fileNum=1&s_top=4&s_left=1&s_deps=2&sub_deps=4 |date=20130926194346 }}([http://www.hermuseum.go.kr/bbs/bbs_view.asp?s_top=4&s_left=1&s_deps=2&sub_deps=4&search_select=all&idx=52 게시물] {{웨이백|url=http://www.hermuseum.go.kr/bbs/bbs_view.asp?s_top=4&s_left=1&s_deps=2&sub_deps=4&search_select=all&idx=52 |date=20130926194336 }}) 참고.</ref>. ‘위안부’라는 용어는 이 제도를 통해 ‘성적 위안’을 받은, 가해자 일본군 중심의 용어라는 문제가 지적되기도 하였으나 당시의 공식 문서에서 사용되고 있어, 일본군 또는 정부의 개입 사실을 보여주는 용어라는 의미도 있다.
 
[[1998년]] 유엔 인권소위원회 특별 보고관의 보고서에서는 ‘일본군 성노예(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라는 용어를 사용하며사용하고 있으며, 이 문제의 본질을 드러내는 국제적인 용어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미국 육군]] 소속의 [[전쟁 정보국 (미국)|전쟁 정보국]]([[:en:United States Office of War Information|영어판]], 약칭 OWI)의 심리 작전반(Psychological Warfare Team)은 [[1944년]] [[10월 1일]] 청구서로 ''Japanese Prisoner of War Interrogation Report No.49.''(일본인 포로 심문 보고 제 49호)를 작성했다<ref>[http://www.kananet.com/ianfu/ianfu2-jpkaisetsu.html] {{웨이백|url=http://www.kananet.com/ianfu/ianfu2-jpkaisetsu.html |date=20150213072318 }} Prisoner of War Interrogation Report No. 49.</ref>.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미군 정보부 심리작전반에 의해, 버마에서 포로로 한국인 위안부 20명 및 일본 민간인 2명을 심문한 내용을 기록한 보고서이다.
일본 정부는 공식적으로 ‘종군위안부(從軍慰安婦)’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으나, ‘종군’이라는 말에 내포된 자발적인 의미가 부적절하며, 일본 극우 세력에서 쓰는 표현이기 때문에 옳지 못한 명칭이라고명칭이라는 우기고지적이 있다.<ref>[http://www.hermuseum.go.kr/kor/cyber/cyber02.htm 위안부란 용어해설] {{웨이백|url=http://www.hermuseum.go.kr/kor/cyber/cyber02.htm |date=20071021230725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ref>.
 
== 개요 ==
줄 842 ⟶ 843:
<ref>{{뉴스 인용|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7112400329127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11-24&officeId=00032&pageNo=27&printNo=16282&publishType=00010 |제목='눈물과 치욕'영원한 교훈으로 '일본군위안부 기념관'내년3월 개관 |뉴스=경향신문 |저자=우철훈 |날짜=1997-11-24 }}</ref>
|-
| 2007년 5월 26일 || 하동 평화탑평화의 탑 (악양비)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취간림 || 고 정서운 할머니추모위원회 || ||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 고 정서운 할머니 3주기 추모
|-
| 2011년 12월 14일 || 평화비(평화의 소녀상) ||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김운성. 김서경|| 1000번째 수요집회 기림
|-
| 2012년 5월 5일 || 평화의소녀상 ( 평화비) ||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동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김운성. 김서경||
<ref name="박기묵">{{뉴스 인용|url=http://www.nocutnews.co.kr/news/4528737 |제목=평화의 소녀상, 어디어디에 있을까요? |날짜=2016-01-06 |뉴스=노컷뉴스 |저자=박기묵 }}</ref>
|-
줄 856 ⟶ 857:
| 2013년 9월 4일 || 위안부소녀상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서초고등학교]] || 서초 고등학교 || 세계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 기림일 기림과 미래세대들의 올바른 역사교육 염원<ref name="박기묵"/>
|-
| 2013년 11월 12일 || 김학순 할머니상할머니 상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국립여성사전시관]] || 특별기획전 '일본군 위안부 기억을 넘어 평화를 품다' || 김운성.김서경<ref name="박기묵"/>
|-
| 2014년 1월 17일 11시 || 평화의 소녀상 || 경상남도 거제시 장승포동 [[거제 문화예술회관]] 소공원 || 거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추모비건립 추진위원회 ||김운성. 김서경<ref name="박기묵"/>
줄 863 ⟶ 864:
<ref name="박기묵"/>
|-
| 2014년 5월 3일 || 수원 평화비수원평화비 || 경기도 수원시 권선동 올림픽공원 || 건립추진위원회 ||김운성. 김서경
<ref name="박기묵"/>
|-
| 2014년 5월 28일 || 동양 평화 소녀상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유무상동마을 || 오로지 종합복지원 ||<ref name="박기묵"/>
|-
| 2014년 8월 14일 || 화성화성시 평화평화의 소녀상 || 경기도 화성시 동탄 센트럴파크 || 화성시청과 화성시평화의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 ||김운성. 김서경
<ref name="박기묵"/>
|-
줄 885 ⟶ 886:
<ref name="박기묵"/>
|-
| 2015년 8월 11일 || 여성 인권 기원 상여성인권기원상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배티공원 || 충북여성단체 협의회 ||<ref name="박기묵"/>
|-
| 2015년 8월 12일 || 군산 평화의 소녀상 || 전라북도 군산시 [[군산 동국사 대웅전|동국사]] || 군산 평화의 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 ||<ref name="박기묵"/>
줄 901 ⟶ 902:
| 2015년 8월 15일 || 대구 평화의 소녀상 || 대구광역시 남구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명상의숲 || 대구 평화의 소녀상 건립범시민추진위원회 ||이병준 ||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모델
|-
| 2015년 8월 17일 || 평화의 소녀상평화의소녀상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굴 입구 || 광명시청 ||김운성. 김서경
<ref name="박기묵"/>
|-
| 2015년 8월 25일 || 평화의 소녀상평화의소녀상 || 서울특별시 노원구 마들근린공원 역사의 길 || 노원구청 ‘마을이 학교다’ 사업 ||김운성. 김서경
<ref name="박기묵"/>
|-
줄 974 ⟶ 975:
| 2016년 10월 29일 || 상주 평화의 소녀상 || 경상북도 상주시 서성동 왕산역사공원 || || 김운성.김서경
|-
| 2016년 12월 28일 || 부산 일본국 총영사관부산일본국총영사관평화의 소녀상평화의소녀상
|| 부산광역시 동구 고관로 주부산일본국총영사관 앞 || 미래세대들이 세우는 평화의 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
|김서경. 김운성
줄 1,062 ⟶ 1,063:
|성동 평화의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
| 지역 학생들의 디자인 스케치를 참고하여 제작
|
|-
|2018년 8월 14일
1,089번째 줄:
|인천 대건고 작은 평화의소녀상
|인천광역시 대건고등학교 내 3층 중앙현관
|인천대건고등학교 대건고교( 학생회 주도)
| 소녀상 - 김운성.김서경
좌대 - 이강재 교사 (대건고 미술담당 )
1,097번째 줄:
|의정부 신한대 평화의 소녀상
|경기도 의정부시 신한대학교 제1 캠퍼스 내 에벤에셀관 원형극장과 정문
| 신한대신한대학교 (교직원 주도 , 인근 시민들) 모금참여
| 김운성. 김서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