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감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beta14)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봇: 대테러 작전을(를) 대테러 활동(으)로 분류 대체함; 예쁘게 바꿈
1번째 줄:
{{세계적 감시망|개념}}
'''대중감시'''(大衆監視, Mass Surveillance)는 정보기관의 무차별적인 도청감시를 뜻하는 단어이다.<ref>{{웹 인용 |url= http://www.vop.co.kr/A00000653765.html|제목= [한호석 칼럼] 미국의 대량감시에 침묵하는 ‘아시아의 철녀’|저자= 한호석|날짜= 2013년 7월 8일|웹사이트= 민중의소리|확인날짜= 2016년 12월 27일}}</ref> 1960년대에 성격이 바뀌기 시작했지만, 각국 정보 기관은 20세기 내내 초국가적인 메시지 감청을 실시해왔다. 20세기 전반기에 주로 군사∙외교와 관련된 메시지와 정보들을 감청하는 수단으로 시작했던 코민트(COMMIT)는 그 뒤로는 경제는 물론 과학∙기술과 관련된 정보수집까지 포괄되게 되었다.<ref name="감시사회"></ref> 이런 무차별적인 대중감시는 규제 없이 벌어지는 대중감시는 사회의 여러 중요한 핵심 가치에 피해를 입힌다.<ref>{{웹 인용|url= http://news.joins.com/article/19899494|제목= 빅데이터 감시사회의 맨 얼굴|저자= 김영태|날짜= 2016년 4월 17일|출판사= [[중앙일보]]|확인날짜= 2016년 12월 27일|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61227130250/http://news.joins.com/article/19899494|보존날짜= 2016년 12월 27일|깨진링크= 예}}</ref>현재 각국 정부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통제력을 더욱 높이고자 혈안이 되어 있다.<ref>{{웹 인용 |url= https://amnesty.or.kr/12646/|제목= 앰네스티의 검열 반대 온라인 광고에 아이웨이웨이, 스노든, 푸시 라이엇 참여|출판사= [[국제엠네스티]]|확인날짜= 2016년 12월 27일}}</ref>
 
== 대한민국에서의 대중감시 ==
6번째 줄:
 
== 대중감시에 대한 이론적 분석 ==
대중감시로 인한 감시사회는 관리와 통제를 위해 소통과 정보 기술에 의존하는 사회라고 볼 수 있다.<ref name="감시사회">{{서적 인용 |저자= 데이비드 라이언|날짜= 2014년 7월 14일|제목= 감시사회로의 유혹|출판사= 후마니타스|isbn= 9788964372074|확인날짜= 2016년 12월 27일}}</ref> 이런 대중감시가 발생하는 원인은 이동성과 속도, 안전과 소비자의 자유를 선호하는 사회속의 정치 경제적 관계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ref name="감시사회"></ref> 우리는 매일 교류해야 하는 이들의 평판, 신용, 자격을 개별적으로 평가할 기회를 갖지 못하기에 조직들은 일반적으로 이방인들에 대한 감시 정보를 생산함으로써 신뢰성 문제를 해결한다.<ref name="감시사회"></ref>
 
이런 대중감시를 일컫는 ‘감시사회’라는 용어는 1985년 게리 T. 마르크스가 “컴퓨터 기술로 인해, 총체적인 사회통제에 저항하는 마지막 장벽이 무너지고 있는” 오웰적 상황을 지칭하기 위해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ref name="감시사회"></ref>감시사회는 전체주의 사회가 아니며, 감시사회가 전체주의 사회가 될 수 있는 기술적 능력이 있다 하더라도, 그리고 전체주의 사회로의 잠재적인 경향이 쉽게 무시할 정도가 아니라 할지라도 그렇다고 볼 수 있다.<ref name="감시사회"></ref>
 
== 더 보기 ==
20번째 줄:
 
{{전거 통제}}
 
[[분류:대중감시| ]]
[[분류:인권]]
[[분류:보안]]
[[분류:국가안전보장]]
[[분류:대중감시| ]]
[[분류:인권 침해]]
[[분류:법집행]]
[[분류:대테러 작전활동]]
[[분류:사회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