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 필암서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각주 제거됨
편집 요약 없음
53번째 줄:
[[필암서원]]은 옛 규모를 잘 간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물 제587호로 지정된 [[필암서원 문적 일괄]] 및 [[조선 인종|인종]]이 하서 [[김인후]]에게 하사한 《묵죽도》와 《하서유묵》 등 60여건의 자료가 여전히 남아 있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서원 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전국의 47개 서원 중 하나이며.,<ref>이는 [[필암서원]]이 [[호남 지방]]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함께 [[김인후]]라는 배향 인물이 갖는 의미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f> [[일제 강점기]]나 [[한국 전쟁|6·25 사변]] 때에도 피해를 면한 서원이다.
 
[[1975년]]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242호에 지정되고, [[2019년]] 7월 『[[한국의 서원]]』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ref>2019년 7월 6일 제43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16~17세기에 건립된 다른 8개 서원과 함께 오늘날까지 한국에서 교육과 사회적 관습 형태로 지속되어온 성리학과 관련된 문화적 전통의 증거이며 성리학 개념이 여건에 맞게 바뀌는 역사적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한국의 서원(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이라는 이름으로 한국의 14번째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등재된 9개 서원은 소수서원(1543년), 남계서원(1552년), 옥산서원(1573년), 도산서원(1574년), 필암서원(1590년), 도동서원(1605년), 병산서원(1613년), 무성서원(1615년), 돈암서원(1634년)이다.</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