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2 개의 출처 구조, 0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인용 틀 구식 변수 정리
109번째 줄:
|보존url=https://archive.is/20120604/http://labbey.com/Telescopes/Parsontown.html
|보존날짜=2012-06-04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
239번째 줄: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729081504/http://www.star.le.ac.uk/edu/Elliptical.shtml
|보존날짜=2012-07-29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
268번째 줄:
|보존url=https://archive.is/20120710/http://casswww.ucsd.edu/public/tutorial/Galaxies.html
|보존날짜=2012-07-10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 나선팔이 뚜렷하지 않은 은하들은 [[양털나선은하]]([[:en:flocculent spiral galaxy|flocculent spiral galaxy]])라고 하고, 반대로 나선팔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은하들은 [[거대구조 나선은하|웅대구조 나선은하]]([[:en:grand design spiral galaxy|grand design spiral galaxy]])라고 부른다.<ref name=bergh1998/>
352번째 줄:
|보존url=https://archive.is/20120604/http://www.cfa.harvard.edu/press/pr0419.html
|보존날짜=2012-06-04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ref>
 
376번째 줄:
|보존url=https://archive.is/19990828194420/http://www.iso.vilspa.esa.es/outreach/esa_pr/andromed.htm
|보존날짜=1999-08-28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
391번째 줄: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20227172628/http://www.star.le.ac.uk/edu/Irregular.shtml
|보존날짜=2012-02-27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 불규칙 은하의 예로는 [[마젤란 은하]]([[:en:Magellanic Clouds|Magellanic Clouds]])가 있다.
422번째 줄: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61115010736/http://space.newscientist.com/article/dn9043
|보존날짜=2006-11-15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
456번째 줄: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60509074300/http://www.astro.umd.edu/education/astro/gal/interact.html
|archivedate=2006년 5월 9일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ref name="suia">
514번째 줄:
|보존url=https://archive.is/20120707/http://casswww.ucsd.edu/public/tutorial/Starbursts.html
|보존날짜=2012-07-07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
596번째 줄: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80325183740/http://cfa-www.harvard.edu/~aas/tenmeter/proto.htm
|보존날짜=2008-03-25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ref name=rmaa17_107/> 이러한 초기 은하가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은하로 진화했다.
705번째 줄:
|보존url=https://archive.is/20120604/http://www.cmu.edu/PR/releases05/050209_blackhole.html
|보존날짜=2012-06-04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 이러한 은하 진화의 초기 단계에서 은하는 아주 많은 별들을 폭발적으로 만들게 된다.<ref>
718번째 줄: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10716073704/http://www.ras.org.uk/index.php?option=com_content&task=view&id=1190&Itemid=2
|archivedate=2011-07-16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
744번째 줄:
|보존url=https://archive.is/20120604/http://physicsweb.org/articles/world/12/5/9
|보존날짜=2012-06-04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ref>
비록 초기에는 [[중원소 함량|금속함량]]이<ref group="주">이 용어는 보통 화학에서 사용하는 금속과는 다른 의미이다. 우주를 구성하는 원소는 대부분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이 두 원소를 제외한 나머지를 "금속" 또는 "중원소"라고 부른다</ref> 거의 없고, 거의 수소와 헬륨으로만 이루어져 있었지만, 은하에서 별이 만들어지고, 이 별들이 죽으면서 중원소들을 다시 [[성간물질]]로 되돌려 보내게 되어, 점차 은하의 중원소 함량이 높아진다. 그리고 이러한 가스에서 다시 별이 생성되기를 반복하면서, 마침내 별들 주위에서 [[행성]]들이 생길 수 있는 조건에 이르게 된다.<ref>
795번째 줄: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0108183824/http://www.news.utoronto.ca/bin/000414b.asp
|archivedate=2007년 1월 8일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ref>
하지만 시간이 흐르고 우주가 팽창하면서 이렇게 비슷한 질량을 가진 은하의 충돌은 점점 적어지며, 현재 우주에서 실제로 이러한 큰 규모의 상호작용은 매우 드물게 일어난다. 따라서 현재 가장 밝고 무거운 은하들은 주로 먼 과거에(약 100억년 전) 많은 별을 생성했으며, 최근 약 20억년 동안은 거의 변하지 않고 남아 있었다.<ref>
900번째 줄: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0613151936/http://www.atnf.csiro.au/people/mdahlem/sci/SCGs.html
|archivedate=2007년 6월 13일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ref>
989번째 줄:
|보존url=https://archive.is/20120529/http://www.ipac.caltech.edu/Outreach/Edu/Regions/irregions.html
|보존날짜=2012-05-29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
1,069번째 줄:
|보존url=https://archive.is/20120729/http://www.eso.org/outreach/press-rel/pr-2000/pr-12-00.html
|보존날짜=2012-07-29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ref>
 
1,174번째 줄: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60720204104/http://www.udu.cas.cz/collegium/tintoretto.pdf
|archivedate=2006년 7월 20일
|url-status=dead
|깨진링크=예
}}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