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대장공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앱 안드로이드 앱 편집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인용 틀 구식 변수 정리
29번째 줄:
== 생애 ==
=== 가계 ===
고려가 원나라의 신하국을 자처하면서 처음으로 혼인관계를 맺은 왕비로, 1259년 음력 6월 28일 원 세조(쿠빌라이)와 [[아속진가돈]](阿速眞可敦)의 딸로 태어났다. 성은 '''[[보르지긴]]'''(孛儿支斤, 패아지근) 또는 기악온(奇渥溫)<ref>{{웹 인용 |url=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2Fitkcdb%2Ftext%2FnodeViewIframe.jsp%3FbizName%3DMK&seojiId=kc_mk_c007&gunchaId=av022&muncheId=&finId=007&NodeId=&setid=1115700&Pos=4&TotalCount=26&searchUrl=ok |제목=《동사강목》제11하 1274년 |확인날짜=2018-11-01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0323233328/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2Fitkcdb%2Ftext%2FnodeViewIframe.jsp%3FbizName%3DMK&seojiId=kc_mk_c007&gunchaId=av022&muncheId=&finId=007&NodeId=&setid=1115700&Pos=4&TotalCount=26&searchUrl=ok |보존날짜=2017-03-23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 이름은 '''쿠틀룩 켈미쉬'''(忽都魯揭里迷失, 홀도로게리미실, 또는 홀독겁미사<ref group="주">忽篤㥘迷思.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c006&gunchaId=av062&muncheId=01&finId=012&NodeId=&setid=1132525&Pos=0&TotalCount=5&searchUrl=ok 《동문선》권62] {{웨이백|url=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2Fitkcdb%2Ftext%2FnodeViewIframe.jsp%3FbizName%3DMK&seojiId=kc_mk_c006&gunchaId=av062&muncheId=01&finId=012&NodeId=&setid=1132525&Pos=0&TotalCount=5&searchUrl=ok |date=20170323142937 }},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K&seojiId=kc_mk_h016&gunchaId=av009&muncheId=01&finId=001&NodeId=&setid=1132525&Pos=2&TotalCount=5&searchUrl=ok 《익재난고》제9권 상] {{웨이백|url=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2Fitkcdb%2Ftext%2FnodeViewIframe.jsp%3FbizName%3DMK&seojiId=kc_mk_h016&gunchaId=av009&muncheId=01&finId=001&NodeId=&setid=1132525&Pos=2&TotalCount=5&searchUrl=ok |date=20170323143018 }} 등 참고</ref>)이다. 제국대장공주 이후로 고려의 왕은 원나라 황족 또는 귀족 가문과 혼인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황제의 직계로 고려에 시집을 온 경우는 그녀가 유일하다(계국대장공주의 경우 추존황제의 직계이므로 실제로 황제 자리에 앉았던 황제의 직계로서 시집온 건 제국대장공주가 유일하다.).<ref name="wedding">{{뉴스 인용
| 제목 = 고려 왕-원나라 공주 80년간의 ‘통혼 정치’
| url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01117010333300740020
44번째 줄:
16세 때인 1274년(원종 15년) 음력 5월 11일 원나라에 입조해있던 39세의 세자 심(諶, 충렬왕)과 혼인하였으며<ref>《고려사》권27〈세가〉권27 - 원종 15년 5월 - 세자 심이 원 공주에게 장가들다</ref>, 그 해 음력 6월 [[고려 원종|원종]]이 죽고 충렬왕이 즉위하면서 왕비에 책봉되었다. 원래 충렬왕은 1260년(원종 원년) 이미 [[고려 신종|신종]]의 증손녀인 왕씨([[정화궁주]])와 결혼하고 왕씨는 이미 태자비로 책봉된 상태였으나<ref>《고려사》권25〈세가〉권25 - 원종 원년 11월 - 왕인의 딸을 태자비로 삼다</ref>, 왕씨보다 14년이나 늦게 혼인한 제국대장공주가 상국인 원나라의 공주라는 이유로 제1비의 위치를 차지하고 왕씨는 [[후궁]]으로 물러나야 했다. 공주는 이 해 음력 10월 고려에 들어왔는데, 충렬왕은 원나라식으로 변발을 하지 않은 신료들을 꾸짖기까지 하였다<ref>《고려사》권28〈세가〉권28 - 충렬왕 즉위년 10월 - 왕이 변발을 하지 않은 신료들을 책망하다</ref>. 1275년(충렬왕 원년) 음력 1월 6일 '''원성공주'''(元成公主)에 봉해지고<ref>《고려사》권28〈세가〉권28 - 충렬왕 원년 1월 - 원 공주를 원성공주로 책봉하다</ref>, 공주가 거처하는 곳을 경성궁 원성전(敬成宮 元成殿)이라 하였으며 공주를 위해 부(府)를 설치하여 그 이름을 응선(膺善)이라 하고 관속을 두었다<ref>《고려사》권89〈열전〉권2 - 제국대장공주 - 쿠투루칼리미쉬공주를 원성공주로 책봉하다</ref>.
 
고려가 원나라의 부마국이 되면서 그 영향으로 1275년(충렬왕 1년) 고려의 관제는 모두 한 단계 격하된 형태로 개편되었다. 이때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이 합쳐져 [[첨의부]]가 되었고, [[중추원]]은 [[밀직사]]로, [[어사대]]는 [[감찰사]]로, [[이조|이부]]와 [[예조|예부]]가 합쳐져 [[전리사]]가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2Fitkcdb%2Ftext%2FnodeViewIframe.jsp%3FbizName%3DMK&seojiId=kc_mk_i015&gunchaId=av002&muncheId=&finId=016&NodeId=&setid=1115700&Pos=19&TotalCount=26&searchUrl=ok |제목=《졸고천백》권2 - 동인사륙(東人四六) 서문 |확인날짜=2018-11-01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70323142735/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2Fitkcdb%2Ftext%2FnodeViewIframe.jsp%3FbizName%3DMK&seojiId=kc_mk_i015&gunchaId=av002&muncheId=&finId=016&NodeId=&setid=1115700&Pos=19&TotalCount=26&searchUrl=ok |보존날짜=2017-03-23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
 
=== 왕비 시절 ===
57번째 줄:
}}</ref>.
 
그러나 공주는 잦은 사냥을 나가는 충렬왕에게 사냥을 중지하고 국사에 힘쓸 것을 간하는 등의 면모를 보이기도 하였으며<ref>《고려사》권89〈열전〉권2 - 제국대장공주 - 원성공주가 충렬왕의 사냥에 동행하였다가 왕에게 충고하다</ref>, 성격도 매우 엄하고 밝아 자신의 측근들 중 잘못을 하는 자가 있으면 조금도 용서하지 않았다<ref>{{웹 인용 |url=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2Fitkcdb%2Ftext%2FnodeViewIframe.jsp%3FbizName%3DMK&seojiId=kc_mk_c006&gunchaId=av118&muncheId=01&finId=006&NodeId=&setid=1115700&Pos=3&TotalCount=26&searchUrl=ok |제목=《동문선》권118 - 광록대부 평장정사 상락부원군 방공사당비 |확인날짜=2018-11-01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21121459/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2Fitkcdb%2Ftext%2FnodeViewIframe.jsp%3FbizName%3DMK&seojiId=kc_mk_c006&gunchaId=av118&muncheId=01&finId=006&NodeId=&setid=1115700&Pos=3&TotalCount=26&searchUrl=ok |보존날짜=2016-03-21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
 
1275년(충렬왕 원년) 음력 9월 30일 사판궁(沙坂宮)에서 아들을 낳으니, 그가 곧 훗날의 충선왕이다<ref>《고려사》권28〈세가〉권28 - 충렬왕 원년 9월 - 공주가 아들을 낳다</ref>. 이 해 음력 12월, 공주가 아들을 낳은 것을 축하하는 연회가 열렸다. 이 연회에서 충렬왕은 명령을 내려 공주와 정화궁주의 자리가 같은 위치에 놓이게 했는데, 공주는 이를 자신과 정화궁주를 동격으로 취급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크게 분노하여 결국 정화궁주의 자리를 옮기게 만들었다. 잠시 후 정화궁주가 무릎을 꿇고 공주에게 술잔을 올리자 충렬왕이 돌아보면서 눈짓을 하였는데, 공주는 이를 두고 "어째서 나를 흘겨보십니까? 정화궁주가 나에게 꿇어 앉아 그러는 것입니까?"라며 쏘아붙이기도 하였다. 결국 연회는 곧바로 끝나고 말았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90990 《동국통감》권 37 고려기 1275년]</ref>.
83번째 줄:
 
=== 사망 ===
1297년(충렬왕 23년) 공주는 [[수강궁]] 향각에 있으면서 시종에게 활짝 핀 [[적작약|작약]]을 하나 꺾어오라고 시켰다. 그리고는 이 작약을 한참동안이나 바라보고 흐느끼더니,<ref>『고려사』 권89, 「열전」2, 제국대장공주</ref> 얼마 후인 음력 5월 9일 병이 들었다.<ref>『고려사』 권31, 「세가」31, 충렬왕 23년(1297) 5월 9일(경오)</ref> 3일 후인 음력 5월 12일 충렬왕과 공주는 [[현성사]](賢聖寺)에 행차하였는데,<ref>『고려사』 권31, 「세가」31, 충렬왕 23년(1297) 5월 12일(계유)</ref> 공주는 음력 5월 21일 현성사에서 39세를 일기로 사망했다.<ref name=a/> [[능]]은 [[고릉 (제국대장공주)|고릉]](高陵)이며, 같은 해 9월에 '''장목인명왕후'''(莊穆仁明王后)의 [[시호]]를<ref>《고려사》권89〈열전〉권2 - 제국대장공주 - 안평공주의 장례를 지내고 시호를 내리다</ref>, 이어 '''정민장선인명태후'''(貞敏莊宣仁明太后)의 시호를 받았으며<ref>《고려사》권33〈세가〉권33 - 충선왕 즉위년 1월 - 왕이 각종 사면과 포상을 행한다는 교서를 내리다</ref>, 1298년(충선왕 즉위년) 음력 8월 14일에는 충선왕에 의해 정식으로 '''인명태후'''(仁明太后)로 추존되었다<ref>《고려사》권33〈세가〉권33 - 충선왕 즉위년 8월 - 안평공주를 인명태후로 추존하다</ref>. 한편 1310년(충선왕 2년) 공주의 종손자인 [[원 무종]]이 '''황고 제국대장공주'''(皇姑 齊國大長公主)에 추봉하였고<ref>《고려사》권89〈열전〉권2 - 제국대장공주 - 원 무종이 안평공주를 추봉하다</ref>, 이 해 음력 9월 충렬왕과 함께 태묘에 부묘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2Fitkcdb%2Ftext%2FnodeViewIframe.jsp%3FbizName%3DMK&seojiId=kc_mk_c007&gunchaId=av025&muncheId=&finId=010&NodeId=&setid=1131731&Pos=1&TotalCount=2&searchUrl=ok |제목=《동사강목》제13상 1310년 |확인날짜=2018-11-01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21103856/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url=%2Fitkcdb%2Ftext%2FnodeViewIframe.jsp%3FbizName%3DMK&seojiId=kc_mk_c007&gunchaId=av025&muncheId=&finId=010&NodeId=&setid=1131731&Pos=1&TotalCount=2&searchUrl=ok |보존날짜=2016-03-21 |깨진링크url-status=dead }}</ref>.
 
공주가 사망하고 약 두 달이 지난 1297년(충렬왕 23년) 음력 7월 27일, 충선왕은 어머니가 병을 얻게 된 것이 임금의 총애를 투기하는 자들의 소치라 하여 충렬왕의 후궁 [[무비 (고려)|무비]]를 살해하고, 그와 관련된 여러 사람을 귀양 보내거나 죽이고 가둔 후<ref>《고려사》권31〈세가〉권31 - 충렬왕 23년 7월 - 세자가 무비와 도성기 등을 처형하다</ref> 예쁜 과부 하나(훗날의 [[숙창원비]])를 충렬왕에게 바쳤다<ref>《고려사》권31〈세가〉권31 - 충렬왕 23년 8월 - 세자가 예쁜 과부를 왕에게 바치다</ref>. 이에 충격을 받은 충렬왕은 충선왕에게 양위하고 태상왕으로 물러나게 된다<ref>《고려사》권31〈세가〉권31 - 충렬왕 24년 1월 - 새 왕이 왕에게 존호를 바치다</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