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복: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웹사이트=
}}
'''안정복'''(安鼎福, [[1712년]] ~ [[1791년]] [[7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실학|실학자]], [[성리학|성리학자]], 작가, 역사가, 수필가이다. 본관은 경기도 [[광주 안씨|광주]](廣州)이며,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順庵)·한산병은(漢山病隱)·우이자(虞夷子)·상헌(橡軒)이다.
 
[[이익 (1681년)|성호 이익]](李瀷)의 문인으로서 스승의 문하에서 나온 뒤에도 계속 [[이익 (1681년)|이익]]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그의 지도를 받았다. 《[[성호사설]]》을 해석, 일부 수정한 《[[성호사설유선]]》을 편찬하였다. 여러가지 지식을 담은 《잡동산이 雜同散異》는 [[잡동사니]]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실학자이자역사가이고 역사가이지만실학자이지만 [[성리학]]자이기도 하여 [[1767년]](영조 43년)에는 왕명으로 《주자대전》과 《주자어류》의 어려운 구문을 해석, 번역하는 작업을 하기도 했다. [[1775년]] 세손익위사 익찬으로 세손(정조)를 보도할 때는 퇴계[[이황]]과 율곡[[이이]]를 비교하는 질문에 [[이이]]는 스스로 자득하였고, [[이황]]이 선현의 뜻을 계승하였으니 [[이황]]을 정통으로 본다고 평하기도 했다.
 
노인직으로 통정대부 첨지중추부사와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를 받았고, [[조선 정조|정조]] 즉위 후 [[남인]]을 중용하였으나 스스로 관직을 사양하였다. 그 뒤 특명으로 광성군(廣成君)에 봉작되었다. [[1790년]] 이후 [[천주교]]가 보급되면서 [[남인]]내에서도 천주교도가 퍼지되자, 이를 경계하고 비판하였다. 《[[동사강목]]》과 계갑일록의 저자이자 [[발해]]사를 한국사 일부로 보았다. 사후 [[천주교]] 비판의 공로로 [[자헌대부]] 광성군(廣成君)에 [[추증]]되었다. [[조선 정조|정조]]의 세손 시절 스승 중의 한 사람이다. [[제천시|제천]] 태생이다.
68번째 줄:
그는 가학(家學)을 기본으로 경사(經史) 이외에도 다양한 독서를 탐독하였는데, 음양(陰陽), 성력(星曆), 의약(醫藥), 복서 (卜筮), 무속 등에도 두루 지식이 있었고, [[손자]](孫子), [[오자]](吳子) 등의 병서, [[한비자]], [[이사]], [[상앙]] 등의 법가, [[불교]], 노자(老子) 등의 노장 사상, 그리고 패승(稗乘), 소설 등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의 책을 탐독하였다. 그는 또 [[역학 (철학)|역학]]에도 조예가 깊어 사주나 관상도 더러 봐주었는데, 이 때문에 방술가(方術家)라는 비칭을 듣자 스승 [[이익]](李瀷)으로부터 중단하라는 경고와 이름을 바꾸라는 조언을 듣기도 하였다.
 
《[[동사강목]]》 등을 저술하여 과거의 역사와 지리학을 비판하고, 우리신라 역사의 정통성과 자주성을 내세웠다강조했다. 또한 천주교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여 당시 학자들이 천주교에 관심을 보이는 것에 경고하였다. 성호의 대표적 저서인 《[[성호사설]]》을 수정 가필 하고 요령 있게 정선한 《[[성호사설유선]]》이라는 대작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 연구와 사료 연구, 후학 양성과 집필에 몰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