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오타를 수정하였습니다.
태그: 각주 제거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각주 제거됨
2번째 줄:
{{백제 표}}
 
'''백제'''(百濟, {{llang|en|Baekje}},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47&aid=0001979578], [[오마이뉴스]] 2011년 4월 17일, 일간지 '오늘의 역사' 틀린 게 너무 많다</ref>)는 [[한국]]의 고대 국가부족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신라]], [[신라고구려]]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다. 시조는 부여·고구려에서 남하한 온조 집단으로 전해지며, 마한 54개 연맹체 중 하나인 백제국으로 시작해, 369년경 [[근초고왕]] 때(혹은 530년경 [[성왕 (백제)|성왕]] 때)에 마한 전체를일부를 정복했다.<ref>{{저널 인용|저자=임영진|제목=전남지역 마한 제국의 사회 성격과 백제; 전남지역 마한 제국의 사회 성격과 백제|url=https://www.kci.go.kr/kciportal/mSearch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insiId=INS000011418&sereArticleSearchBean.sereId=SER000003883&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71601|총서=백제학보|권=11|날짜=2014년 3월}}</ref>
 
백제는 성왕 16년(538)년에 웅진에서 사비로 도읍을 천도하며, '''남부여'''(南扶餘)라는 국호를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백제의 국호에 관하여 중국의 역사서인 《[[수서]]》와 고려시대에 기록된 신라계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기록된 내용이 상이하여, 어느 쪽 기록이 정확한지는 정의할 수 없다.<ref group="주">[[538년]]에 [[백제 성왕]]이 국호를 남부여로 변경하였다.</ref>
11번째 줄:
백제국은 [[1세기]]에서 [[3세기]]에 걸쳐서 한반도 중남부의 소국들 및 [[한사군]]과 대립하면서 성장한 것으로 추측되며 [[4세기]]부터 [[충청도]], [[전라도]]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4세기 중엽(백제 [[근초고왕]] 재위기)에는 전라도 부족국가들을 거의 대부분 통일하고 북쪽으로의 진출, 고구려와 대립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5세기]] 초부터 고구려의 공격을 받아 [[아신왕]]이 직접 항복을 하기도 하고 [[개로왕]]이 전사하는 등 수난을 당하였다. 그리고 [[475년]]에는 한강 유역을 상실하고 [[웅진]]으로 수도를 옮겼었다.
 
이후 신라와 동맹을 맺고 고구려와 맞섰으며, [[백제 성왕|성왕]]은 신라와 함께 고구려를 협공하여 한강 유역을 되찾았으나 신라의신라와 배신으로다툼으로 한강 유역을 다시 상실하였고 결국 관산성에서 전사하였다. [[660년]]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 공격을 받고 수도 [[부소산성|사비성]]이 함락되며 멸망했다. 그 후 [[백제 부흥운동]]이 일어나 백제의왜에서 왕자 풍을 왕으로 모시고 항쟁을 이어갔지만 내분으로 인해 4년만에 종말을 고하고 말았다.
 
== 역사 ==
{{한국사}}
=== 백제의 국가부족 성립 ===
 
백제건국건국 시기에 관해 일반적으로 김부식의《[[삼국사기]]》기록에 실린 온조설화에 따라 [[기원전 18년]]에 [[부여]] 또는 [[고구려]] 계통의 유민 세력과 한강 유역의 토착 세력의 결합으로 성립된 것으로 보고 있으나 백제 초대 국왕인 비류왕과 온조왕은 고구려 추모왕(동명성왕)과 [[소서노]]의 아들이며, 최초의 백제의 이름은 [[십제]]였다. 우수한 철기 문화를 보유한 [[고구려]] 유민 집단이 지배층을 형성하였다.
 
《[[삼국사기]]》의 [[백제 건국 설화]]에 따르면 졸본부여 사람인 [[비류]]와 [[온조]]가 남쪽으로 함께 내려온 뒤 비류는 [[미추홀]]에, 온조는 [[하남위례성]]에 각기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웠으며, 비류가 죽자 그 신하와 백성이 모두 위례성으로 옮겨오므로 비로소 백제(百濟)라는 큰 나라로 성장했다고 한다. [[백제 건국 설화|온조설화]] 외에 비류 혹은 구태, 도모가 건국 했다는 [[백제 건국 설화|비류설화]], [[백제 건국 설화|구태설화]]도 전해져 온다.
29번째 줄:
중국과의 무역로를 확보한 백제는 [[중국 대륙]]의 선진 문물들을 받아들여 정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이 무렵 백제는 16관등과 공복제정함과 함께 6좌평과 상좌평까지 제정(260년)하는 등 지배 체제를 정비하여 중앙 집권 국가의 토대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고이왕 이후 낙랑과 계속되는 대결에서 298년에는 [[책계왕]]이 살해되었으며, 304년에는 [[분서왕]]이 살해되었다.<ref>삼국사기 24권 백제본기2 고이왕 13년 8월, 책계왕 13년 9월, 분서왕 7년</ref>
 
=== 백제의 정치적종교적 발전 ===
[[4세기]] 중반 백제는 [[백제 근초고왕|근초고왕]] 때 크게 발전하였다. 이때 백제는 [[마한]]의 나머지 세력을 모두 통합해 그 영토가 [[전라도]] 남해안에 이르렀으며, 북쪽으로는 [[황해도]] 지역을 놓고 고구려와 대립하였다. 또한 낙동강 유역의 [[가야]]에 대해서도 지배권을 행사하였다. 이로써 백제는 오늘날의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와 [[낙동강]] 중류 지역, [[강원도]], 황해도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넓은 영토를 확보하였다.이로써 백제는 점차 전제군주화가 되어가고 부자 상속에 따른 왕위 계승이 확립되었다. 아울러 [[백제 침류왕|침류왕]] 때에는 [[불교]]를 공인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사상적으로 뒷받침하였다.
 
46번째 줄:
무왕은 익산 천도를 통한 귀족세력의 재편성을 기도했다. 비록 익산 천도는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관산성 패배 이후 동요된 백제 왕권이 무왕 때 와서 급속히 회복되었다. 그리하여 아들인 의자왕이 즉위 초기에 정치적 개혁을 통해 전제 왕권을 구축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 멸망과패망과 부흥운동 ===
 
의자왕은 당나라와의 외교적 목적이 신라에 의해서 달성되지 않자, 대당 외교가 아니라 신라와 직접 군사 대결을 시도하여 659년 4월 신라를 공격하였다. [[돌궐]]-고구려-백제-[[왜]] 와, 당-신라의 [[십자 외교]]가 시작된 것이다. 이는 백제에 대한 당나라의 군사 개입을 불러왔고 결국 660년 사비성이 함락되면서 백제는 멸망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