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5번째 줄:
이문욱(李文彧)이 처음 조선실록에 등장한 것은, [[선조]]실록 87권 선조 30년 4월 25일조에 기재된 경상감사(慶尙監司) 이용순(李用淳)의 서장(書狀)을 통해서였다. 서장은 이용순이 청도(淸道) 공생(貢生) 박계생(朴戒生, 혹은 김계생金戒生)을 심문한 것을 보고하는 내용이었다. 박계생은 일본군에게 붙잡혔던 피로인(被擄人)이었는데, 스스로를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부장(副將)이라고 칭하는 이문욱이라는 자의 비밀서신을 가지고 조선 진영으로 온 것이었다. 이용순이 박계생에게 피로된 경위를 묻자, 박계생은 승려를 따라 경산(慶山) 마암산(馬巖山)에 있던 중, 왜란 초기에 일본군에게 붙잡혀 부산포(釜山浦)에 억류되었고, 부산포에서 이문욱과 서로 만나고 난 후에 일본으로 끌려갔다고 진술하였다. 이 실록 기록만 보면 이문욱의 출신 고향조차 조선측에 알려지지 않은 것이다.
 
계속해서 박계생은 이문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 일본에 도착한 이후, 이문욱은 글을 잘하고 용맹하여 관백(關伯) 도요토미 히데요시(豊信秀吉)가 재주를 시험해보고는 양자로 삼고 국성(國姓, 즉 도요토미豊臣)을 하사하였다. 이후 이문욱은 관두왜(館頭倭)의 시해 시도로부터 히데요시를 지켜내었고, 히데요시는 이문욱을 더욱 총애하였다. 이로 인해 이문욱은 시기하는 무리들로부터 히데요시의 첩을 간통했다는 모함을 받았으며, 히데요시는 이문욱을 차마 죽이지 못하고 대신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부장으로 삼고 공을 세우고 돌아오라고 하며 부산으로 보냈다. 이후 그는진술을 왜군통해서, 진영에서이문욱이 나와고니시의 이순신부장이 휘하에 들어경위가 갔다조선측에 밝혀지게 된다.
 
이후에도 조선조정에서는 이문욱의 실체를 파악하지 못하였다. 선조실록 89권 선조 30년 6월 2일조에 의하면, 선조가 “이문욱(李文彧)은 누구의 아들인가?”라 물었더니 유성룡(柳成龍)이 “알 수 없습니다.”라 말했고,말했다. 이에 선조는 “그와 같은 인물이라면 우리쪽으로 오게 하라. 비록 적진에 있는다 하여도 왜적의 적정을 통하게 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요즈음 같은 때에는 그렇게 하여도 좋을 때일 것이다.”고 했다. 또한 선조실록 89권 선조 30년 6월 18일조에 의하면, 윤두수(尹斗壽)가 선조에게 “이문욱(李文彧)이 우리 나라 사람이라면 분명 왜군 진영에서 나와 우리에게 돌아올 것입니다. 통사 박우춘(朴遇春)은 중국어와 일본어를 잘 하니 박우춘으로 하여금 이문욱을 불러오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조선 조정은 왜군의이문욱의 정체가 불분명함에도 일본군의 적정을 파악하기 위해 이문욱을 끌어들이고자 했던 것이다것으로 보인다.
 
일부 다큐에서는 이문욱(손문욱)이 일본 조정으로부터 거제도를 다스리는 호장으로 봉분되었다는 내용도 있어, 그가 경북 청도에서 잡혀 일본으로 끌려간 사람이라는 기록과 잘 맞지 않는 부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