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0번째 줄: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의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하면서 조선의 대외정책이 급선회하였다. 서인은 실리보다는 명분을 중시했고 신료들은 광해군의 중립 대외정책을 기존 친명배금 정책으로 바꾸어 조선에 예로부터 내려오는 대로 명을 잘 모시어 받들려고 했으며, [[후금]]에서는 조선에 대한 강경책을 주장해 왔던 홍타이지가 즉위하여 후금의 대조선(對朝鮮) 정책과 태도도 변하였다.
 
후금은 명나라와의 전쟁 탓에 교역로가 끊겨 물자 부족에 심히 허덕여 이를 조선과 하는 통교를 이용하여 타개해야 할 처지에 있었고 후방을 안정시키려고 조선 [[가도 (철산군)|가도]]에 주둔한 모문룡과 적대 정책을 펼치는 조선을 정벌할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였다. 때마침 반란을 일으켰다가 후금으로 달아난 [[이괄]]의 잔당이 광해군은 부당하게 폐위되었다고 호소하고 조선의 군세가 약하니 속히 조선을 정벌해달라고 종용하였다. 홍타이지는 더욱 결전할 뜻을 굳히어 [[이괄의 난]] 때 후금에 투항한 한명윤의 아들, 한윤과 한택과 [[1619년]] [[부차 전투]]에서 좃같은항복한 [[강홍립]]을 데리고 조선 정벌에 나섰다.
 
[[1627년]](인조 5년) 홍타이지는 광해군을 보복한다는 명분으로 군사 3만을 일으켜 조선을 공격해 왔는데 이것이 [[정묘호란]]이다. 이괄의 난으로 말미암아 북변의 군사 체계가 붕괴된 상태였던 조선은 수세에 몰렸고 조선 조정 내에서도 화의론이 대세를 이루고 후금도 오랜 기간에 걸치는 출병이 곤란했으므로 전쟁은 지속되지 않았고 청군은 약 두 달 만에 [[강화조약]]을 하고 철수했다. 이로 말미암아 조선은 후금과 “형제지맹”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