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444
번
편집 요약 없음 |
Eternal and life (토론 | 기여) (→가계) 태그: 2017 원본 편집 |
||
[[1196년]] 음력 4월, [[최충헌]]이 이의민을 참살하고 정권을 장악하여 최씨 정권 시대가 열리게 된다. 이때 최충헌은 거사의 명분을 얻기 위하여 앞으로의 국정개혁안의 내용을 담은 [[봉사십조]](封事十條)를 올리고 명종은 이를 기꺼이 받아들인다.
그러나 [[최충헌]]의 난 초기의 혼란기를 기회로 무신 정권을 타도하려 하였으나 [[1197년]]에 최충헌 형제가 정변을 일으켜 [[고려 신종|평량공]]을 옹립함으로써 폐위를 당하고 [[창락궁]](昌樂宮)에 감금되었다. 유폐된 지 6년 후에 병을 얻어 승하하였으며 능은 [[장단군]] [[장도면]]에 위치한 [[지릉 (고려)|지릉]](智陵)이다.
<br />
== 가계 ==
{| class="wikitable"
! rowspan="2" | 고려 제19대 국왕
| rowspan="2" |''' 명종 광효대왕 '''<br> 明宗 光孝大王
!출생
!사망
|-
|'''[[1131년]]''' '''[[11월 8일]] (<small>[[음력 10월 17일]]</small>)'''<br>{{국기|고려}} 개경 정궁
|'''[[1202년]]''' '''[[12월 3일]] (<small>[[음력 11월 17일]]</small>)''' (71세)<br>{{국기|고려}} 개경 창락궁
|}
<br />
=== 부모 ===
{| class="wikitable"
! colspan="2" |
!생몰년
!부모
!비고
|-
!부
| [[고려 인종|인종]] 仁宗
|1109년 - 1146년
| style="text-align:center|[[고려 예종|예종]] 睿宗<br>[[문경태후]] 이씨 文敬太后 李氏
|''' 제17대 국왕 '''
|-
!모
| style="text-align:center|[[공예왕후]] 임씨 恭睿王后 任氏<br><small>공예태후 恭睿太后</small>
|1109년 - 1183년
| style="text-align:center|[[임원후]] 任元厚<br>진한국대부인 이씨 辰韓國大夫人 李氏
|
|}
<br />
===
{| class="wikitable"
!시호
!생몰년
!부모
!비고
|-
| style="text-align:center|[[의정왕후]] 김씨 義靜王后 金氏<br><small>광정태후 光靖太后</small>
|''생몰년 미상''
| style="text-align:center|[[강릉공]] 江陵公 왕온 王溫<br>김씨 金氏
|명종 즉위 이전에 사망
|}
=== 왕자<ref>폐첩(嬖妾)의 소생으로 [[왕선사]](王善思), 왕홍기(王洪機), 왕홍추(王洪樞), 왕홍규(王洪規), 왕홍균(王洪鈞), 왕홍각(王洪覺), 왕홍이(王洪貽) 등이 있었다.</ref>===
{| class="wikitable"
! colspan="2" |
!이름
!생몰년
!생모
!배우자
!비고
|-
|1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AFAD2" |<br> '''[[고려 강종|강종]] 康宗''' <br>
|영 韺
|1152년 - 1213년
|의정왕후 김씨
|[[사평왕후]] 이씨 思平王后 李氏<br>[[원덕왕후]] 유씨 元德王后 柳氏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FAFAD2" | '''제22대 국왕'''
|}
=== 왕녀 ===
{| class="wikitable"
! colspan="2" |
!생몰년
!생모
!배우자
!비고
|-
|1
|[[연희궁주]] 延禧宮主
| rowspan="2" |'' 생몰년 미상 ''
| rowspan="2" |의정왕후 김씨
|[[영인후]] 寧仁候 왕진 王稹
|[[고려 희종|희종]]비 [[성평왕후]]의 어머니
|-
|2
|[[수안궁주]] 壽安宮主
|[[창화후]] 昌化侯 왕우 王祐<ref>[[고려 인종|인종]]의 4녀 [[영화궁주]]의 아들</ref>
|
|}
== 관련 작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