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식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공직자 정보
|이름 = 예식진<br/> 禰寔進
|본명 = 예식진(禰寔進)
|그림 =
|그림 크기 =
|별명 = 예식(禰植)
 
|국가 = 백제남부여
|직책 = 장군, 혹은 웅진방령(熊津方領)
|임기 = ? - ?
|군주 = 의자왕
|전임 = ?
|후임 = ?
 
|국가2 = 당나라
|직책2 = 좌위위대장군(左威衛大將軍)
|임기2 = ?-?
21번째 줄:
 
|출생일 = [[615년]]
|출생지 = 웅진성
|출생지 = [[백제(百濟)]] [[웅천]](熊川, 즉 웅진熊津)
|사망일 = [[672년]](함형3년) 음5월음력 5월 25일
|사망지 = [[뤄양시|낙양]]
|매장지 =
34번째 줄:
 
 
'''예식진'''(禰寔進, [[615년]] ~ [[672년]])은 [[남부여]] 시기 백제 [[웅진]](熊津)웅진성 출신 군인이며 [[백제남부여]](百濟) [[의자왕]](義慈王) 때의 대장군이다. 백제가남부여가 멸망한 뒤 [[당나라|당]](唐)으로당나라로 건너가망명하여 '좌위위대장군(左威衞大將軍)'에 올랐다. [[2006년]]에2006년에 그의 묘지명이 [[낙양|낙양(洛陽)]]의 시장에 나타났으며, [[2007년]] [[길림성]]의 격월간 역사잡지인 <동북사지(東北史地)>에 기존의 다른 남부여 유민들의 묘지명과 함께 처음 소개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 더불어 예식진의 존재도 확인되었다.<ref>董延寿、赵振华,《洛阳、鲁山、西安出土的百济人墓志探索》,《东北史地》 2007年第2期,2-12页</ref>
 
== 개요 ==
 
처음 묘지석이 발견되었을 때 그것이 [[시안]](西安, 당나라 시기 수도 장안長安)서 발굴되었다는 것만 알려졌을 뿐 정확한 발굴 시기와 지점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묘지석은 가로 세로가 각각 57cm에 두께가 15cm인 개석(蓋石)과, 가로 세로가 각각 58.5cm에 두께 13cm인 지석(志石)으로 나뉘어 있는데, 겉면에는 '대당고좌위위대장군예식진묘지지명'이라는 제액이 4행으로 새겨져 있고, 지석에는 종횡으로 원고지처럼 줄을 그어 칸을 만들고 그 안에 18행 289자를 해서체로 새겼다. 모서리마다 12간지를 나타내는 동물들이 음각되어 있다.
 
묘지에는 남부여 유민인 예식진이 당의 조정에서 좌위위대장군의 벼슬을 지냈고, 당에 들어간 지 12년만인 [[함형]] 3년([[672년]]) 5월 25일에 내주(來州)의 황현(黃縣)에서 58세로 사망하여 당 조정의 배려로 같은 해 11월 21일에 장안으로 유해가 운구된 뒤, 고관대작들이 묻히던 고양원(高陽原)에 묻혔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 묘지 ==
68번째 줄:
=== 예씨 집안의 출자와 중앙 진출 ===
==== 예씨의 유래 ====
기록상 예씨라는 성을 쓴 사례는 [[후한|후한(後漢)]] 때의 [[예형]](禰衡)이 유일한데, 이를 들어 흔히 예식진의 선대는 중국인으로, 남부여가 [[대방군|대방]]의 옛 땅을 차지하기 위해 [[고구려]]와 대치하는 과정에서 남부여로 편입된 것으로 보는 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예씨의 존재를 후한대 이후로는 찾아볼 수 없다는 점과 『예식진묘지명』에서 그의 선대의 연원을 중국과 관련지어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무작정 중국계 성씨로 단정할 수만은 없다는 주장도 있다. 예씨의 출자와 선대에 대해 묘지는 조부인 예다까지만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흑치상지묘지명』이나 『연남생묘지명』등 한국 관련 중국 묘지명에서 묘지 주인공의 증조부까지 언급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인 것으로, 예씨 집안이 예다 이전까지 남부여 조정에서 별다른 영향력을 갖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존재한다.
 
==== 예씨 집안과 웅진 ====
87번째 줄:
다만 예식(예식진)이 어떤 형태로든 반란 행위를 했다고 추론되는 이유는, 당에서 좌위위라는 지위에 올랐으며, 그 지위에 오를만한 업적또는 공적을 쌓은 기록이 발견되지 않고, 왕을 체포했거나 그에 준한것이 있어서, 당에서는 좌위위에 오를만한 공적이라고 추측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당시 웅진성의 수성책임자인 예식(예식진)으로서는 웅진성 내의 백성의 분위기나 군사들의 사기, 의자왕의 항전의지나 보급상황, 그리고 포위하고 있던 나.당 연합군의 회유(투항 이후 백성들에 대한 약탈 금지등)등 당시 상황에서 어려운항복 결정을 내린 것으로도 생각된다.
 
== 가족 ==
 
* 증조부 = 예복(禰福)
** 조부 = 예예다(禰譽多, 혹은 예예禰譽), 백제남부여 좌평(佐平)
*** 부 = 예사선(禰思善, 혹은 예선禰善), 백제남부여 좌평(佐平)
**** 형 = [[예군]](禰軍, 613-678), 당 우위위(右威衛)
***** 자 = 예소사(禰素士)
113번째 줄:
[[분류:백제의 군인]]
[[분류:당나라의 장군]]
[[분류:백제 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