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 필암서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32번째 줄:
* [[1624년]](인조 2) 추담 김우급(金友伋)등 지방 선비들의 노력으로 기산리(岐山里) 서쪽 증산동(甑山洞)에 이건 복설하였다.
* [[1658년]](효종 9) 복설 이후 서원의 지위 고양을 위한 전라도 유생 오이익(吳以翼. 오희길 종질)을 소두(疏頭)로 사액(賜額) 청원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 [[1659년]](효종 10) 3월 ''''필암''''(筆巖)이라 사액(賜額)이 내려졌다. 이조 판서·양관(兩館) 대제학에 추증하고, '문정(文靖)]의 시호가 내려졌다.
* [[1662년]](현종 3) 2월 [[조선 현종|현종]]의 어필로 ''''필암서원''''(筆巖書院)이라 선액(宣額)하고, 예조정랑 윤형계(尹衡啓)를 예관(禮官)으로 보내 사제(賜祭) 하였다. 이로써 [[필암서원]]은 경제력을 확보하여 서원으로서의 규모와 기능을 갖추고, 사회적 지위와 위상을 높힐 수 있었다.<ref>사액(賜額)은 1659년에 내려지고, 실제 선액(宣額)은 1662년에 이루어 졌다. 선액(宣額)이란 임금이 친필로 서원의 이름을 지어 편액(扁額)을 하사하는 것을 말한다.</ref>
* [[1669년]](현종 10) 8월 「문정(文靖)」의 시호(諡號)가 내려졌다.
* [[1672년]](현종 13) 3월 서원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고, 마을 이름도 해타리(海打里)에서 [[필암리]](筆岩里)로 바뀌었다. 이건(移建)에는 원장 [[송준길]](宋浚吉)의 협조와 남계 이실지(李實之. 1624~1702)·기정연(奇挺然. 1627~?, 금강 현손)·박승화(朴升華, 백우당 증손)등의 노력이 있었다. 이건 작업의 완성으로 서원은 사액(賜額) 서원답게 면모를 일신하였다.
* [[1786년]](정조 10) 제자이자 사위인 고암(鼓巖) 양자징(梁子徵)을 종향(從享)하였다.
* [[1796년]](정조 20) 11월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하고, [[영의정]] 추증 및 [[불천위|부조]](不祧)를 명하였다. 시호를 '문정(文正)'으로 개시하였다. [[조선 정조|정조]]가 사제문((賜祭文)을 짓고, 우부승지 이면긍(李勉兢)을 예관(禮官)으로 보내 치제(致祭) 하였다.
*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서원 철폐령]] 때에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된 전국의 47개 서원중 하나이다.
* [[1975년]] 4월 23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42호 '''장성 필암서원'''(長城 筆巖書院)으로 지정되었다.<ref>[[1972년]] 1월 29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호 필암서원(筆巖書院)으로 지정되었으나, [[1975년]] 4월 23일 해지되었다.</ref>
* [[1999년]]부터 [[장성군]]에서 주변 정비 사업을 추진하여 [[2008년]] 유물전시관인 『원진각(元眞閣)』과 『삼연정(三然亭)』 등을 준공하였다.
* [[2010년]] 원진각(元眞閣) 뒤편에 청소년・유림들의 한학교육 및 선비 체험 교육 공간 목적의 평생교육센터인 『집성관(集成舘)』을 준공하였다.
* [[2019년]] 7월 1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세계문화유산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