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Gcd822 (토론 | 기여)
출처 필요
9번째 줄:
[[15세기]] 말부터 지방의 [[사림]] 세력이 정계에 등장하고 기존 대신인 훈구와 대립하면서 정치는 혼란해졌다. 사림과 훈구를 모두 배척하고 독단적으로 정치를 한 [[연산군]]을 [[중종반정]]으로 폐위하고 왕위에 오른 [[조선 중종|중종]]은 [[조광조]]를 중용하는 등 사림 공신에게 휘둘리지 않으려 애를 썼으나, 이렇다 할 치적을 남기지는 못했다. [[조선 인종|인종]]과 [[조선 명종|명종]] 역시 사림과 훈구의 공방 속에서 요절했다. [[조선 선조|선조]] 대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훈구파가 정계에서 물러나고 사림파가 정계를 장악하게 되었다. 이후 사림이 붕당을 형성하여 대립각을 세우면서 [[붕당정치]]가 탄생한다.
 
200년 간 평화로이 지내다가 [[16세기]]에 [[임진왜란]]을 겪은 조선은 국토가 쑥대밭이 되고, 재정이 바닥났으며, 백성이 도탄에 빠졌다. [[명나라]]와 [[청나라]] 사이에서 중립 외교를 펼친 [[광해군]]은 [[서인]]이 [[인조반정]]으로 왕좌에서 끌어내렸는데, 그로써 권력을 쥔 [[인조]]는 친명배금을 표방하다가 [[병자호란]]에서 참패를 당했다. 이 양난을 기점으로 {{출처|날짜=2020-01-15|1=[[유교|유학]]의 영향력이 공고해지고}}, 조선의 역사는 후기로 접어든다. [[삼전도의 굴욕]]을 맛본 조정에서는 청나라에게 당한 수치를 씻자는 [[북벌론]]과 청나라를 본받자는 [[북학론]]이 대두되었으나 [[조선 효종|효종]]이 [[의료사고]]로 숨지면서 북벌론이 흐지부지되고, 북학론도 여전히 청나라를 오랑캐로 치부하는 관료들 때문에 국정에 반영되지 못하였다.
 
이후 권좌에 오른 [[조선 현종|현종]]은 [[경신대기근]]에도 불구하고 전쟁으로 고갈된 재정을 수습하고 황폐화된 조선을 복구하며 서인을 견제하는 데 힘을 썼다. 이즈음 붕당이 하루아침에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환국'을 [[조선 숙종|숙종]]이 빈번하게 일으키면서, 붕당정치는 견제와 균형을 통한 상호 공존 및 부패 방지라는 원칙은 퇴색되고 정권을 잡을 때마다 다른 붕당을 모조리 축출하는 일당 전제화의 경향을 띠게 되었다. 숙종이 총애하던 [[장희빈]]의 소생 [[조선 경종|경종]]은 [[소론]]과 [[노론]]의 알력다툼에 지쳐 재위 4년 만에 승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