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작성되다가 멈춘 문장 삭제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그림 =
|그림 크기 =
|대관식 = 고이왕
|별명 =
|출생일 = ?
줄 33 ⟶ 32: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그는 [[구수왕]]이 죽은 뒤 구수왕의 장자인 [[사반왕]]이 왕위를 계승하였으나 어려서 정사를 감당하지 못하자, 사반왕을 강제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다.
 
그는 재위 기간 중 괴곡(槐谷: [[충청북도]] 괴산군)·[[봉산]](烽山: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을 중심으로 자주영토를 확장 중이던 [[신라]]와 충돌했다자주 충돌했고 [[낙랑]], [[말갈]]과도 충돌하며 나라가 불안정하였다. 또한 고이왕이남옥저의 일부를 점령하고, 중국 대륙의 서진과 외교관계를 맺었다. 강원도 북부에 자리잡은 말갈이 자주 침범했고, 한사군의 제정한후신인 정치낙랑, 제도와대방과는 복식혼인을 제도는통해 이후휴전 400년시간을 동안확보하려고 이어졌다노력했다.
 
재위 13년([[246년]]) [[위 (삼국)|위나라]]가 낙랑군(樂浪軍)과 삭방(朔方)과 합공해 [[고구려]]와 전쟁을 벌이는 틈을 타서 낙랑군의 변방을 공격하기도 했다침입하였다. 그리고또한, [[한나라]]와 낙랑군, 대방군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을 때 대방군을 기습하여 대방태수 궁준을 전사하게 한 사건의 배후에 백제가 있었음이 추측된다.
재위 27년([[260년]]) 봄 정월, 기존의 좌우보 체제를 개혁하여 여섯 개의 좌평(佐平)을 두고, 그들에게 왕명 출납과 창고 관리, 의례 제정, [[형벌]] 제도, [[군사]] 업무를 각각 분담시켜 맡아보게 했다. (자세한 것은 [[좌평]](佐平) 참조.)
또한 16품의 관등 체계를 정비했으며, 관직의 위계에 따라 자주색[紫色], 다홍색[緋色], 푸른색[靑色] 옷을 입게 하는 등 품계에 따른 왕과 귀족의 공복에 관한 제도도 정했다.
 
관리로서 재물을 받은 자와 남의 것을 도둑질한 자에게는 3배를 징출(徵出)케 하는 동시에 종신 금고(禁錮)에 처한다는 법령을 내렸다.
고이왕 시대는 [[낙랑]]과 [[신라]] 그리고 [[말갈]]과 군사적으로 충돌하며 나라가 불안정하였다. 또한 남옥저의 일부를 점령하고, 중국 대륙의 서진과 외교관계를 맺었다. 강원도 북부에 자리잡은 말갈족이 자주 침범했고, 한사군의 후신인 낙랑, 대방과는 혼인을 통해 군사 충돌의 빈도를 줄이려고 노력하였다.
 
재위 27년([[260년]]) 봄 정월, 기존의 좌우보 체제를 개혁하여 여섯 개의 좌평(佐平)을 두고, 그들에게 왕명 출납과 창고 관리, 의례 제정, [[형벌]] 제도, [[군사]] 업무를 각각 분담시켜 맡아보게 했다. (자세한또한, 것은16품의 관등 체계를 정비했으며, 관직의 위계에 따라 자주색[紫色], 다홍색[좌평緋色], 푸른색[靑色](佐平) 참조옷을 입게 하는 등 품계에 따른 왕과 귀족의 공복에 관한 제도도 정했다.)
재위 13년([[246년]]) [[위 (삼국)|위나라]]가 낙랑군(樂浪軍)과 삭방(朔方)과 합공해 [[고구려]]와 전쟁을 벌이는 틈을 타서 낙랑군의 변방을 공격하기도 했다. 그리고 [[한나라]]와 낙랑군, 대방군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을 때 대방군을 기습하여 대방태수 궁준을 전사하게 한 사건의 배후에 백제가 있었음이 추측된다.
 
관리로서 재물을 받은 자와 남의 것을 도둑질한 자에게는 3배를 징출(徵出)케 하는 동시에 종신 금고(禁錮)에 처한다는 법령을 내렸다.
 
== 평가 ==
줄 53 ⟶ 50:
 
== 가계 ==
* 조부 또는 선조 : [[기루왕|기루]](己婁, ? ~128, 재위:77~128)
* 조모 : 미상
* 조모 : 미상
** 부왕 또는 선조 : [[개루왕|개루]](蓋婁, ? ~166, 재위:128~166)
** 모후 : 미상
*** 형 : [[초고왕|초고]](肖古), 이설 있음<ref>고이왕과의 나이 차이 때문에 동생인지에 대해 논란이 있다.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증보판증오판)》웅진닷컴, 2004, p.95</ref>
*** 국왕 : [[고이왕|고이]](古尒, ? ~286, 재위:234~286), 이설 있음<ref> 고이왕은 형으로 알려진 초고왕과의 나이 차이 때문에 개루왕의 둘째 아들인지에 대해 논란이 있다.</ref>
*** 왕비 : 공손씨, 요동군 태수 또는 대방군 태수 공손도(公孫度)의 딸
**** 아들 : [[책계왕|책계]]
 
== 참고 ==
* [[고구려 동천왕|동천왕]] ([[227년]] - [[248년]])
* [[고구려 중천왕|중천왕]] ([[248년]] - [[270년]])
* [[고구려 서천왕|서천왕]] ([[270년]] - [[292년]])
* [[조분 이사금]] ([[230년]] - [[247년]])
* [[첨해 이사금]] ([[247년]] - [[261년]])
* [[미추 이사금]] ([[261년]] - [[284년]])
* [[유례 이사금]] ([[284년]] - [[298년]])
* [[고구려 동천왕|동천왕]] ([[227년]] - [[248년]])
* [[고구려 중천왕|중천왕]] ([[248년]] - [[270년]])
* [[고구려 서천왕|서천왕]] ([[270년]] - [[292년]])
 
 
== 연관항목 ==
* [[초고왕]]
* [[구수왕]]
* [[목지국]]
* [[위구태]]
 
== 각주 ==
줄 85 ⟶ 79:
|후임자 = [[책계왕]]
|대수 = 8
|직책 = [[백제]] [[백제의 역대 국왕|국왕어라하]]
|임기 = [[234년]] - [[286년]]
|앞이름 = 전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