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유럽어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27번째 줄: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오늘날 445개의 인도유럽어족 언어가 쓰이며 그 가운데 2/3이 넘는 313개가 [[인도이란어파]]라는 갈래에 속한다.<ref>{{웹 인용|url=http://www.ethnologue.com/show_family.asp?subid=2-16|title=Ethnologue report for Indo-European|publisher=Ethnologue.com}}</ref> [[모어]] 화자 수가 가장 많은 인도유럽 언어는 [[스페인어]], [[영어]], [[힌두스탄어]]([[힌디어]]·[[우르두어]]), [[포르투갈어]], [[벵골어]], [[펀자브어]], [[러시아어]]로, 각각 1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용한다. [[독일어]], [[프랑스어]], [[마라티어]], [[이탈리아어]], [[페르시아어]]도 각각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오늘날 세계 인구의 46%에 달하는 32억 명이 인도유럽어족 언어를 모어로 사용하며 이는 모든 어족 중 가장 큰 숫자이다.
 
인도유럽어족에는 오늘날 [[유럽]]에서 쓰이는 거의 대부분의 언어가 속하며,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제외한 [[아시아]]에도 인도유럽 언어들이 분포한다. 중세에 [[튀르크족의 이주|튀르크인]]과 [[몽골의 정복전쟁|몽골인]]의 확장에 밀려나기 전까지는 고대의 [[아나톨리아]](오늘날의 [[터키]])와 [[타림 분지]]에서도 인도유럽어가 쓰였다. [[유라시아]] 바깥을 보면, [[대항해시대]]부터 시작된 식민화의 결과로 인도유럽어는 [[아메리카]]의 대부분 지역과 [[오세아니아]] 및 [[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우세하게 쓰인다. 다른 어족이 우세한 지역에서도 인도유럽어족은 [[소수언어]]나 [[제2언어]]로 가장 흔하게 쓰이는 어족이다.
 
인도유럽어족은 [[역사언어학]] 분야에서 특별한 위치에 있는데, [[청동기 시대]]부터 [[미케네 그리스어]] 및 [[아나톨리아어파]]의 [[히타이트어]]와 [[루위어]]로 된 문자 기록이 나타나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역사 시대|기록의 역사]]를 지닌 어족이기 때문이다. 가장 긴 역사를 지닌 어족은 [[이집트어]]와 [[근동]]의 [[셈어파]] 언어들이 속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이다. 그 밖에도 [[수메르어]], [[엘람어]], [[후르리어]], [[하티어]], [[구티어]], [[카시어]] 등등 근동과 아나톨리아의 몇몇 사어들도 인도유럽어족보다 일찍 기록되었다.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가장 오래된 흔적은 아나톨리아 동부의 [[아시리아]] 유적지인 [[퀼테페]]에서 발견된 기록에 남은 [[히타이트어]] 단어와 고유명사들이다. 비록 메소포타미아 [[쐐기 문자]]를 통해 [[셈어파]] 언어인 [[아카드어|고대 아시리아어]]로 기록되기는 했지만 말이다.<ref>{{서적 인용|last=Bryce |first=Trevor |date= 2005|title=Kingdom of the Hittites: New Edition |url= |location=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page=37 |isbn=978-0-19-928132-9 |access-date= }}</ref>
71번째 줄:
* [[그리스어파]]: [[그리스조어]]에서 나왔으며, [[그리스어]]가 여기 속한다. ([[그리스어의 역사]] 참조.) 기원전 1450 ~ 1350년경의 [[미케네 그리스어]]로 된 단편적인 기록이 발견된 바 있다.<ref>{{웹 인용|url= http://www.science20.com/news_articles/tablet_discovery_pushes_earliest_european_writing_back_150_years-77650|title= Tablet Discovery Pushes Earliest European Writing Back 150 Years|website= Science 2.0|date= 30 March 2011}}</ref> 기원전 8세기부터 [[호메로스]]의 서사시가 전해진다.
* [[발트슬라브어파]]: 대부분의 인도유럽어학자는<ref>예컨대 Schleicher 1861, Szemerényi 1957, Collinge 1985, Beekes 1995.</ref> 발트어파와 슬라브어파가 하나의 계통군을 이룬다고 본다. 그러나 둘은 별개의 계통군이며 오랜 접촉으로 유사해진 것이라는 소수 의견도 있다.
** [[발트어파]]: 14세기부터 기록되었다. 매우 늦게 기록된 것치고는 [[인도유럽조어]]가 지녔던 오래된 특징을 놀라울 정도로 많이 유지하고 있다. 현대 언어로는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 등이 속한다.
** [[슬라브어파]]: [[슬라브조어]]에서 나왔다. 9세기부터 기록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텍스트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되어 있다. 슬라브어파에는 [[불가리아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실레지아어]], [[카슈브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마케도니아어]], [[소르브어]], [[슬로베니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루신어]] 등이 속한다.
* [[아나톨리아어파]]: [[소아시아]] 지역에 분포했으며, [[고대 후기]]까지 모두 사어가 되었다. 기원전 20세기와 19세기부터 [[셈어파]] 언어인 [[아카드어|고대 아시리아어]] 텍스트에 [[루위어]]/[[히타이트어]] 단어들이 흩어져 기록되어 있다. 기원전 1650년경부터 히타이트어 텍스트가 나타난다.<ref>{{웹 인용|url= http://www.leidenuniv.nl/en/researcharchive/index.php3-c=178.htm|title= The peaks and troughs of Hittite|date= 2 May 2006|website= www.leidenuniv.nl}}</ref><ref>{{웹 인용|url=http://oi.uchicago.edu/pdf/ar/61-70/65-66/65-66_CHD.pdf |title=The Hittite Computer Analysis Project |first=Hans G. |last=Güterbock}}</ref>
* [[아르메니아어]]: 5세기 초반부터 기록되었다.
* [[알바니아어]]: 15세기부터 기록되었다.<ref name="dictalit">{{백과사전 인용| last=Elsie | first=Robert | title=Theodor of Shkodra (1210) and Other Early Texts| encyclopedia=Albanian Literature: A Short History | pages=5 | publisher=I.B.Tauris. | location=New York/Westport/London | year=2005}}</ref> [[알바니아조어]]는 오래된 [[고발칸 제어]] 중 하나의 후손인데, 이는 전통적으로 [[일리리아어]]로 여겨져 왔으나,<ref>에릭 햄프는 최신 저서에서 일리리아어가 고발칸 제어의 북서부 하위 집단에 속하며, 알바니아어가 일리리아어의 후손이고, 알바니아어는 오래된 일리리아어 방언인 메사피아어와 같은 계통이라는 주장을 지지한다(''Comparative Studies on Albanian'', 2007).</ref> 이를 뒷받침할 근거는 충분치 않다.<ref>{{서적 인용|last1= Curtis|first1= Matthew Cowan|title= Slavic–Albanian Language Contact, Convergence, and Coexistence|url= https://eric.ed.gov/?id=ED546136|publisher= ProQuest LLC|accessdate= 31 March 2017|page= 18|language= en|quote= 비록 언어학자들이 알바니아어와 발칸의 옛 언어들 사이의 관계에 관해 논쟁하고, 또 비록 대부분의 알바니아인들이 일리리아어와의 관계를 부정할 수 없는 사실로 여긴다고 하더라도, 일리리아어, [[트라키아어]], [[다키아어]]를 [[알바니아어]] 또는 다른 어떤 언어와도 연결지을 충분한 증거가 없다는 사실은 그대로이다변함없다.|isbn= 978-1-267-58033-7|date= 2011-11-30}}</ref>
* [[이탈리아어파]]: [[이탈리아조어]]에서 나왔다. 기원전 7세기부터 기록되었다. 고대의 [[오스크움브리아어군]], [[팔리스크어]]를 비롯해 [[라틴어]]와 그 후손인 [[로망스어군]]을 포함한다. 로망스어군에는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카탈루냐어]], [[갈리시아어]], [[로만슈어]] 등이 속한다.
* [[인도이란어파]]: (기원전 3000년경에 존재했다고 추정되는) [[인도이란조어]]에서 나왔다. 기원전 1400년경에 처음 기록되었다.
** [[인도아리아어군]]: 기원전 1400년경 [[소아시아]]의 [[히타이트어]] 텍스트에 인도아리아어군 단어들의 흔적이 나타난다.<ref>{{서적 인용|title= Indian History|url= https://books.google.com/books?id=MazdaWXQFuQC&pg=SL1-PA114|publisher= Allied Publishers|isbn=978-81-8424-568-4|p= 114|year= 1988}}</ref><ref>{{웹 인용|url= http://www.ancient.eu.com/Mitanni/ |title= Mitanni |first= Joshua J. |last= Mark |date= 28 April 2011 |website= Ancient History Encyclopedia}}</ref> 새김글로서는 기원전 3세기부터 [[프라크리트어]]([[아소카의 칙령]]) 기록이 전해진다. [[리그베다]]는 [[기원전 제2천년기]] 중반부터 내려오는 [[베다어|베다 산스크리트어]] 내용을 구전으로 보존해 왔다고 여겨진다. 인도아리아어군에는 [[인도]] 북부, [[파키스탄]] 남부, [[방글라데시]]의 다양한 현대 언어가 속한다. 예컨대 [[힌두스탄어]], [[벵골어]], [[아삼어]], [[펀자브어]], [[카슈미르어]], [[구자라트어]], [[마라티어]], [[오리야어]], [[네팔어]], 또한 [[스리랑카]]의 [[싱할라어]]와 [[몰디브]]의 [[디베히어]] 등이 있다.
** [[이란어군]]: 기원전 1000년경부터 [[아베스타어]] 기록이 전한다. 새김글로서는 기원전 520년부터 [[고대 페르시아어]]([[베히스툰 비문]]) 기록이 남아 있다. 현대 언어로는 [[페르시아어]], [[오세트어]], [[파슈토어]], [[쿠르드어]] 등이 속한다.
** [[누리스탄어군]]: 19세기에 처음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아프가니스탄]]의 [[누리스탄주]]와 인근 지역에 분포한다. [[카티어]], [[아슈쿤어]] 등이 속한다.
** [[누리스탄어군]]
* [[켈트어파]]: [[켈트조어]]에서 나왔다. [[레폰트어]] 새김글은 기원전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켈티베리아어]] 기록은 기원전 2세기, [[원시 아일랜드어]]의 [[오검 문자]] 기록은 기원후 4세기 또는 5세기, [[고대 웨일스어]] 기록은 기원후 7세기부터 전해진다. 현대 켈트어파 언어로는 [[웨일스어]], [[콘월어]], [[브르타뉴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아일랜드어]], [[맨어]] 등이 있다.
* [[토하라어]]: 기원후 6세기 ~ 9세기경부터 기록되었다. 토하라어 A(또는 투르판 방언)와 토하라어 B(또는 쿠처 방언)라 불리는 두 개의 방언이 있다. [[돌궐어]]를 말했던 [[위구르 카간국]]의 영향으로 설 자리를 잃었고 아마도 10세기경에 사멸했을 것이다. 시베리아 남부의 [[아파나세보 문화]]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ref>David W. Anthony, "Two IE phylogenies, three PIE migrations, and four kinds of steppe pastoralism", ''Journal of Language Relationship'', vol. 9 (2013), pp. 1–22</ref>
 
위의 열 갈래 밖에도 오늘날 사라졌으며 거의 잘 알려지지 않은 언어 및 언어군이 여럿 있었다.
* [[킴메르|킴메르어]]: 이란어군, 켈트어파, 또는 트라키아어파일 가능성 있음
* [[다키아어]]: 트라키아어와 매우 가까운 관계일 가능성 있음
804번째 줄:
오늘날 인도유럽어족 언어는 사람이 사는 모든 대륙에 걸쳐 32억 명이 [[모어]]로 사용한다.<ref>{{웹 인용|url=http://www.ethnologue.com/ethno_docs/distribution.asp?by=family |title=Ethnologue list of language families |publisher=Ethnologue.com |edition=22th |date= |accessdate=2019-07-02}}</ref> 이는 모든 어족 가운데 가장 큰 숫자이다. [[모어 화자 수순 언어 목록|모어 화자 수가 가장 많은 20개 언어]] 중 10개가 인도유럽어족에 속한다. 수가 많은 순서대로 [[스페인어]], [[영어]], [[힌두스탄어]], [[포르투갈어]], [[벵골어]], [[러시아어]], [[펀자브어]], [[독일어]], [[프랑스어]], [[마라티어]]인데, 이들의 모어 화자 수만 합쳐도 17억 명에 이른다.<ref>{{웹 인용|url=http://www.ethnologue.com/ethno_docs/distribution.asp?by=size |title=Ethnologue list of languages by number of speakers |publisher=Ethnologue.com |date= |accessdate=2010-08-07}}</ref> 또한 세계적으로 수억 명의 사람들이 제2언어나 제3언어로 인도유럽어를 배우며, 영어를 제2언어로 배우는 사람들의 수만 해도 대략 6억<ref name="etheng">{{웹 인용|url=https://www.ethnologue.com/language/eng |title=English |publisher=[[에스놀로그|Ethnologue]] |accessdate=January 17, 2017}}</ref>에서 10억<ref name="bcouncil">{{웹 인용|url=http://blog.oxforddictionaries.com/2015/08/ten-things-you-might-not-have-known-about-the-english-language/ |title=Ten Things You Might Not Have Known About the English Language| publisher=[[옥스포드 영어사전|Oxford Dictionary]]|date=2015-08-12}}</ref>에 달한다.
 
인도유럽어족이 이토록 화자 수가 많고 광대한 영역에서 쓰이게 된 까닭은 여러 가지가 있다. 선사 시대 인도유럽인의 이주와 [[인도아리아족]], [[이란족]], [[켈트족]], [[헬레니즘 문명|그리스인]], [[로마 제국|로마인]], [[게르만족]], [[슬라브족]] 등 [[유라시아]] 전역에 걸친 인도유럽 문화의 확산 때문에, 이들 민족의 언어는 [[근동]] 일부, [[북아시아]], [[동아시아]]를 제외한 유라시아 전 지역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였고 기존에 존재하던 [[인도유럽어족 이전 언어]]들을 대부분 몰아냈다. 다만 [[중동]]과 [[북아프리카]]의 거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셈어파]] 언어가, [[캅카스]]에서는 [[캅카스 제어]]가 지배적으로 쓰인다. 마찬가지로 유럽과 [[우랄산맥]] 지역에서는 [[헝가리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 [[우랄어족]] 언어가 남아 있으며 인도유럽어족 이전의 [[고립어 (비교언어학)|고립어]]인 [[바스크어]]도 살아남았다.
 
자신들의 언어가 같은 뿌리에서 비롯했다는 사실을 알지는 못했지만 여러 인도유럽어족 화자 집단은 유라시아의 서쪽 2/3 지역을 문화적으로 지배하고 종종 [[토착어]]를 몰아냈다. 서기원년쯤에 인도유럽계 민족들은 이 지역의 거의 전부를 지배했다. 켈트족은 서유럽과 중부 유럽을, 로마인은 남유럽을, 게르만족은 북유럽을, 슬라브족은 동유럽을, 이란족은 서아시아·중앙아시아의 대부분과 동유럽의 일부를, 인도아리아족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으며 중국 서부에도 [[토하라족]]이 살고 있었다. 중세에 이르면 유럽과 아시아의 서쪽 절반 지역에 남은 비(非)인도유럽어족 언어는 [[셈어파]], [[드라비다어족]], [[캅카스 제어]], [[우랄어족]], [[바스크어]]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