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시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에스티냐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84번째 줄: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파시즘은 해방 이후 [[이범석 (1900년)|이범석]]과 [[안호상]]이 창설한 [[조선민족청년단]]과 [[일민주의]]에 의해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이들은 [[국민당]] 스타일의 파시즘 강령을 모방하여
'민족지상, 국가지상'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청년교육운동에 주력했다. 이들은 결국 미군정의 압력에 의해 해산되었으나, 족청의 주요 인사들은 이승만 정부와 협력하여 재헌헌법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일조하기도 했다. [[강준만]]은 박정희 시대의 파시즘적 성격에 주목한다.<ref name="kho622">담론의 발견(한길사, 2006) 622</ref> 그에 의하면 박정희의 유사 파시즘적 체제는 [[1972년]] 민주제도를 파괴하고, 영구집권 기반을 확립한 '10월 유신'으로 성립했다. 박정희식 유사 파시즘은 '민족성 개조'라는 이름의 국민의식 개조운동과, 공포와 폭력이라는 물리적 탄압의 두 가지 수단을 통해 공고해졌다.<ref name="kho622" /> 박정희는 그해 [[10월 17일]] "민족의 지상 과제인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뒷받침하기 위해 한국적 민주주의를 만들어야 한다"는 구실로 비상 계엄을 선포하고, 이른바 [[10월 유신]]을 통해서 파시즘 체제의 시동을 걸었다.<ref name="kho380">고종석, 히스토리아 (도서출판 마음산책, 2003) 380페이지</ref> 유신헌법은 그 파시즘 체제의 법적 표현이었다.<ref name="kho380" /> 의식개조운동은 [[새마을운동]]과 '[[이순신]] 성웅화' 작업이 표본이다. 농촌 새마을 운동에서 시작해 도시-공장-학교 새마을 운동으로 번진 이 운동은 "10월 유신과 영구 집권에 필요한 대중동원 수단"이자 "유신이념과 연결된 정치적 국민운동"이었다. [[현충사]] 성역화 사업도 마찬가지였다. [[박정희]]에게 [[이순신]]은 "'나'는 없고 '국가'와 '민족'만 있는, 한마디로 표현하면 멸사봉공의 정신"이었다.<ref name="kho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