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몽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번째 줄:
확인되는 가장 이른 시기 이몽유의 행적은 [[봉암사]](鳳巖寺)의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정진대사탑비]](靜眞大師塔碑)의 비문을 작성한 것이다. 정진대사비는 [[북송]] [[건덕]](乾德) 3년인 [[고려 광종|광종]](光宗) 16년([[965년]])에 세워졌으며, 비문을 작성할 당시 이몽유의 관직은 봉의랑(奉議郞) 정위(正衛) 한림학사(翰林學士) 전수병부경(前守兵部卿) 사단금어대(賜丹金魚袋)였다.
 
[[고려 성종|성종]](成宗) 2년(983년) 12월 정광(正匡) [[최승로]](崔承老), 병관어사 [[유언유]](劉彦儒), 좌승 [[노혁]](盧奕)과 함께 과거를 주관하여 진사를 뽑았는데, 이때 성종이 복시(覆試)를 보아 갑과(甲科)로 급제한 인물이 [[강감찬|강은천]](姜殷川)이었다. 이밖에 을과(乙科) 2명과 명경업(明經業) 1명이 급제를 받았다.<ref name="고려사 선거지">《고려사》권제73 지제27, 선거1 과목1 과거장</ref>
 
성종 5년([[985년]])과 6년([[987년]]) 3월 이몽유는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주관하였다.<ref name="고려사 선거지"></ref> 성종 6년 과거의 경우 이몽유가 선발한 갑과 정우현과 명경1명, 복업 1명, 의업 2명, 명경업 2명에게 성종이 직접 교서를 내려를 급제를 주었는데, 이는 한국의 왕조에서 과거 급제자에게 국왕(황제)가 교서(조서)를 내린 최초의 사례였으며<ref>《고려사절요》권2 성종문의대왕 성종 6년 8월</ref> 이 달 25일에 성종이 중앙이나 지방에서 올리는 주장 및 관청에서 주고 받는 공문서의 양식을 상정할 것을 명한 것과도 관련이 있다. 이때 공문서 양식의 상정을 맡은 인물 역시 이몽유였다.<ref>《고려사》권제3 세가제3 성종 6년(987년) 8월 25일 을묘</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