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anny (토론 | 기여)
203.229.51.24(토론)의 2575002판 편집을 되돌림
문서의 모든 내용을 삭제
1번째 줄:
'''고은'''(高銀, 본명: 고은태(高銀泰), [[1933년]] [[8월 1일]] ~ [[전라북도]] [[군산]] 출생)은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소설가]]이다.
 
[[군산중학교]] 4학년에 다닐 무렵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학교를 그만두었다. 이후 그 어떤 교육기관에도 적을 두지 않았다. [[1952년]] 입산하여 '''일초(一超)'''라는 법명을 받고 [[불교]]의 승려가 되었다. 이후 10년간 [[참선]]과 방랑을 거듭하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1958년]] [[조지훈]]의 추천으로 [[현대시]]에 〈[[폐결핵 (시)|폐결핵]]〉을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1960년]] 첫 시집 〈[[피안감성]]〉(彼岸感性)을 내고 [[1962년]] 환속하여 본격적인 시작활동에 몰두하게 되었다.
 
고은의 문학적 성향은 <[[문의 마을에 가서]]>를 낸 [[1974년]]을 기준으로 크게 둘로 나뉘는데, 그의 전기 시들은 허무의 정서, 생에 대한 절망, 죽음에 대한 심미적인 탐닉이 주를 이루는 반면 후기 시들은 시대상황에 대한 비판과 현실에 대한 투쟁의지를 담고 있다.
 
[[노벨 문학상]] 후보로 자주 거론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그가 잘 알려진 것은 노벨문학상 후보라는 것 이전에 그의 시가 20여개국에 번역되어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매년 여러 나라에서 그를 초청하는 등 그의 시는 국경을 초월하고 있다는 점을 증명하고 있다.
 
특히 북유럽에서 그의 시는 높은 대접을 받는다. [[노르웨이]]에서는 자국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을 기린 비외른손 훈장을 수여했고, [[스웨덴]]에서도 자국 [[노벨 문학상]] 수상자 [[하뤼 마르틴손]]을 기리는 상인 동시에 동아시아권 문학에 주는 상인 시카다(Cikada)상을 수여하였다. 스웨덴의 한 언론매체 기사에서는 그를 [[군산]]의 제왕(Kungen av Kunsan)이라 칭할 정도였다.
 
 
==수상 경력==
* [[1974년]] - [[한국문학작가상]]
* [[1988년]] - [[만해문학상]] (시집 [[만인보]])
* [[1991년]] - [[중앙문화대상]]
* [[2002년]] - [[금관문화훈장]]
* [[2005년]] - [[노르웨이]] 국제문학제 비외른손 훈장
* [[2006년]] - [[스웨덴]] 시카다상
== 작품목록 ==
 
=== 시집 ===
 
*<[[피안감성]]>(彼岸感性) (1960)
*<[[해변의 운문집]]> (1964)
*<[[신 언어의 마을]]> (1967)
*<[[새노야]]> (1970)
*<[[문의 마을에 가서|문의(文義) 마을에 가서]]> (1974)
*<[[부활 (시집)|부활]]> (1975)
*<[[제주도 (시집)|제주도]]> (1976)
*<[[입산]]> (1977)
*<[[새벽 길]]> (1978)
*<[[고은 시선집]]> (1983)
*<[[조국의 별]]> (1984)
*<[[지상의 너와 나]]> (1985)
*<[[시여 날아가라]]> (1987)
*<[[가야 할 사람]]> (1987)
*<[[전원시편]]> (1987)
*<[[너와 나의 황토]]> (1987)
*<[[백두산 (시집)|백두산]]> (1987)
*<[[네 눈동자]]> (1988)
*<[[대륙 (시집)|대륙]]> (1988)
*<[[잎은 피어 청산이 되네]]> (1988)
*<[[그 날의 대행진]]> (1988)
*<[[만인보|만인보(萬人譜)]]> (연작: 1986~1990)
*<[[독도 (시집)|독도]]> (1995)
*<[[허공 (시집)|허공]]> (2008)
 
=== 소설집 ===
 
*<[[피안앵|피안앵(彼岸櫻)]]> (1962)
*<[[어린 나그네]]> (1974)
*<[[일식 (소설)|일식(日食)]]> (1974)
*<[[밤 주막]]> (1977)
*<[[산산히 부서진 이름]]> (1977)
*<[[떠도는 사람]]> (1978)
*<[[산 넘어 산 넘어 벅찬 아픔이거라]]> (1980)
*<[[어떤 소년]]> (1984)
*<[[화엄경 (소설)|화엄경]]> (1991) [[화엄경]] 입법계품을 소설화 하였다.
 
{{민주회복국민선언 서명자}}
 
[[분류:1933년 태어남]]
[[분류:대한민국의 시인]]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
[[분류:전라북도 출신자]]
 
[[de:Ko Un]]
[[el:Κο Ουν]]
[[en:Ko Un]]
[[fi:Ko Un]]
[[fr:Ko Un]]
[[it:Ko Un]]
[[pl:Ko Un]]
[[sv:Ko 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