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해장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33번째 줄:
 
== 축조의 주체에 대하여 ==
고려의 대몽항쟁 시기에 제주도에 대한 관심은 원종 1년([[1260년]]) 고려가 원에 대한 항복 의사를 밝히고 난 이후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때 세간에서는 고려가 당시 임시 수도로 삼고 있던 강도(강화도)를 떠나서 제주도로 천도할지 모른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것은 부득이하게 강화도에서의 항쟁을 포기하게 될 경우에 대비해 제주도의 전략적 효용성이 원에 항복하는 시기부터 검토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원종 9년([[1268년]]) 삼별초 봉기 직전에 개경 환도에 대한 원측의 독촉이 거세지던 때에 강화도에서 제주도로 천도하는 등의 문제가 재차 부상하였다.

원종 11년([[1270년]]) 6월 삼별초가 배중손을 중심으로 봉기하여 진도로 들어가, 8월부터 본격적으로 진도를 거점으로 육지부 공략을 개시하며 대몽항쟁을 전개하기 시작한 뒤 제주도의 전략적 가치를 놓고 누가 이곳을 선점할 것인가의 문제는 개경의 고려 조정과 진도의 삼별초 정권 모두에게 최대의 현안일 수 밖에 없었는데, 고려 조정으로써는 진도의 삼별초 정권이 남해의 섬과 그 일대의 주군을 아우르고 남해 바다 한가운데 멀리 떨어져 있어서 육지에서 공략하기 쉽지 않은 제주도까지 장악해 남해 일대의 대세력으로 성장하는 것을 방관할 수 없었고, 따라서 개경 정부가 먼저 시랑 고여림을[[고여림]]을 제주로 보내 1천 군사로 제주 바닷가를 지키도록 하면서 둘레 3백여 리에 장성을 쌓도록 하였다.<ref group="출처">《신증동국여지승람》 권제38 전라도 제주목 고적조 및 이원진 《탐라지》 고적조, 김석익 《탐라기년》권제1 탐라조.</ref> 그러나 원종 11년(1270년) 11월 [[이문경]]이 이끄는 삼별초 부대가 제주로 진입해 고려의 관군을 격파하고 제주도를 장악하는데 성공하였다. 이후 고려 조정이 쌓고 있던 제주 해안가의 장성 이른바 환해장성 역시 삼별초의 수중에 넘어갔으며 삼별초에 의해 중수되어 제주 방어를 위한 기지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ref>《신증동국여지승람》이나 《탐라지》, 《탐라기년》 등의 문헌에는 제주 연안에 남아 있던 고장성(古長城)이라 불리는 둘레 3백여리 규모의 성곽을 언급하면서도 모두 축조 연도는 누락하고 있는데, 고장성의 축조와 관련해서는 고여림의 이름이 공통적으로 등장하며, 고여림은 원종 11년 11월 중순에 영암부사 김수와[[김수 (고려)|김수]]와 함께 삼별초의 제주 상륙을 저지하다가 전사하였다(《고려사절요》 권제18 원종 11년(1270년) 11월조;《동사강목》권제11하 원종 11년)는 기록을 참고할 때 삼별초가 봉기하고 본격적인 활동을 전개하고 제주까지 점령하는 3개월 동안에 장성이 완성되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고여림의 고려 관군을 격파한 뒤 항파두리를 거점으로 삼은 삼별초가 여몽연합군의 공격에 대비하여 원종 14년(1273년) 4월 여몽연합군에 의해 제주 삼별초가 진압될 때까지 삼별초가 환해장성의 증·개축 공사를 이어 진행했을 것으로 짐작해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김보한 「몽골의 고려 · 일본 침공과 해안성곽의 성격에 대한 고찰」《한일관계사연구》제58집, 2017년, 161쪽).</ref>
 
== 삼별초 이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