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위키백과:봇_편집_요청/2017년_10월
영문명칭 추가 (출처: 2014년 문화재명칭 영문 표기 용례집)
1번째 줄:
{{문화재 정보
| 이름 = 봉은사 청동 은입사 향완<br />(奉恩寺 靑銅 銀入絲 香垸)<br />(Bronze Incense Burner with Silver-inlaid Design of Bongeunsa Temple)
| 그림 = Silver Inlaid bronze brazier at Bongeunsa temple, Korea 04.JPG
| 그림설명 =
8번째 줄:
| 지정 = [[1963년]] [[1월 21일]]
| 해지 =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5, <br />[[불교중앙박물관]] (견지동,광교빌딩)
| 시대 = [[고려 충혜왕]] 5년([[1344년]])
| 소유 = 봉은사
28번째 줄:
}}
 
'''봉은사 청동은입사향완'''(奉恩寺 靑銅銀入絲香垸)은 입사(入絲)기법을 써서 청동으로 만든 고려시대의 [[향로|향완]]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321호로 지정되었다.
 
대한민국 보물 제321호이다. 고려시대에 중흥사(重興寺)에 봉안되었던 향로로, 현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봉은사(奉恩寺) 소장이며 동국대학교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중흥사는 북한산 노적봉 아래에 있던 절로 [[조선 숙종]] 때 북한산성을 쌓은 뒤 그곳을 관할하던 도총섭(都摠攝)이 있던 큰절이었는데, 1915년 무렵에 폐사된 듯하다. 봉은사가 중창되던 [[조선 명종]] 이후에 봉은사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향로란 절에서 마음의 때를 말끔하게 씻어주는 의미를 지닌 향을 피우는 데 사용하는 기구를 총칭하는 말로, 향완(香垸)이라고도 한다. 향로는 모양에 관계없이 향을 피우는 도구를 총칭하는 말이고, 향완은 밥 그릇 모양의 몸체에 나팔 모양의 높은 받침대를 갖춘 형태를 가리킨다.
36번째 줄:
== 형태 ==
이 향로는 높이 37cm, 지름 51cm로 크기로 본다면 43.4cm 높이의 금강산 표훈사(表訓寺) 향완 다음으로 꼽히는 대형이다. 완형(垸形)의 노신(爐身)과 나팔형의 받침을 노신 안 바닥에서 고정시킨 전형적인 고려시대 향로인데, 노신에 비하여 받침이 약간 작은 느낌을 준다.
 
=== 몸체 ===
노신의 표면 전체에 가는 은사(銀絲)로 여러 가지 무늬가 상감(象嵌)되어 있다. 주둥이에 있는 넓은 테인 전의 표면에는 연화당초문(蓮華唐草紋)이 가득히 장식되었고, 옆면에는 뇌문(雷紋)이 각각 입사(入絲)되어 있다. 특히 노신 중앙에는 서로 마주보는 네 곳에 굵고 가는 두 줄의 선으로 원을 돌려 그 안에는 범자(梵字) 한 자씩을 새겼으며, 원 둘레에는 여의두문(如意頭紋)을 새겨서 장식하였다. 그리고 그 사이의 공간에는 당초문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노신 하단에는 두 줄기 윤곽선으로 된 앙련(仰蓮)이 기다랗게 돌려져 있다.
 
=== 받침 ===
받침은 아래ㆍ위 2단으로 되어 있다. 상단에는 굵은 선이 들어간 테두리가 있는 폭이 좁은 앙련을 돌렸고, 하단에는 당초문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맨 아래의 굽에는 가는 선으로 여의두문이 장식되었다.
줄 59 ⟶ 61:
{{위키공용분류|Silver Inlaid bronze brazier at Bongeunsa temple, Korea}}
* {{문화재청 문화재|12,03210000,11}}
* {{서울시공개자료}}
 
{{서울시공개자료}}
 
[[분류:서울특별시의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