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공주 (고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출생지 = 황해북도 개성
|사망일 =
|사망지 = [[황해북도]] 개성
|재위 =
|후임자 = 부인 왕씨(夫人 王氏)
65번째 줄:
 
=== 《김은열 묘지명》 ===
[[1784년]](정조 8)에 개성 어느 산 기슭에서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석」을 바탕으로 김노규(金魯奎)가 기사한 《김은열 묘지명》에 [[경순왕]]은 고려에 항복 후 8자들을 두었는데 『'''일(鎰)·굉(鍠)·명(鳴)·은열(殷說)·중석(重錫)·건(鍵)·선(鐥)·종(鐘)'''』이라 한다.
 
=== 《보국대안군 김은열 묘지명》 ===
이후 [[1785년]] [[김사목]](金思穆)은 [[경주 김씨]] 족보를 수보(修普) 하면서 추기한 《보국대안군 김은열 묘지명》에 2자 '굉'(鍠)을 '황'(湟)으로, 3자 '명'(鳴)을 '명종'(鳴鍾)으로 개명하고, 4자 은열(殷說)의 시호를 '보국대안군'(輔國大安君)이라 작호(作號) 하는 등 가필(加筆)을 심하게 하였다.<ref>월간조선 2015년 2월호 504페이지</ref><ref>인제문화원 '마의태자 유적지비'[[http://www.injeculture.org/bbs/board.php?bo_table=sub2_5&wr_id=43&page=]]</ref> 그리하여 8자들을 『'''일(鎰)·황(湟)·명종(鳴鍾)·은열(殷說)·중석(重錫)·건(鍵)·선(鐥)·종(鐘)'''』이라 한다.
 
=== 《묘지명》 진위 여부 ===
87번째 줄:
* 이후 [[경주 김씨]] 일문에서는 《신라경순왕전비문》을 재차 왜곡하여 전비 [[죽방부인]] 소생의 [[마의태자|태자]]의 이름이 '일'(鎰)이라 하고, 둘째 왕자는 '황'(湟)이라 하며, 셋째 왕자는 명종(鳴鍾)이며 영분공(永芬公) 시호를 받았다고 하는 등 가필(加筆)을 심하게 하였다. 그러나 정작 《김은열 묘지명》 원본에는 2자 황(湟)과 4자 은열(殷說)은 [[고려 태조]]의 외손인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소생으로 [[고려]] 평장사를 지내고, 공(功)이 있는 신하여서 특별히 장지(葬地)까지 하사해 주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김은열 묘지명》등은 정사(正史)에 뒷받침 되지 않은 내용으로 조선 후기 족보 편찬 과정에 위조(僞造)된 지석(誌石)을 바탕으로 가탁(假託) 내지 조작(造作)되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 추정 자녀 (추정) ===
* 1자 : 김일(金鎰) - [[부안 김씨]]· [[통천 김씨]]· [[경주 김씨]] 태자파 시조로 소원시킴<ref>작금에 와서 [[부안 김씨]]· [[통천 김씨]]· [[경주 김씨]] 태자파에서 시조로 소원시키고, 1자 '김일'과 [[마의태자]]가 동일인이라 주장하며 서로 자신들의 시조라 한다. 그러나 사서(史書)에는 [[마의태자]]의 이름은 전하지 않는다 하였으며, 《증보문헌비고》와 《조선씨족통보》도 별도 인물이라 기록하고 있다.</ref>
* 2자 : 김굉(金錫, 김황(金湟)으로 개명, 고려 외손·공신·평장사) - [[나주 김씨]] 비조로 소원시킴.<ref>역사에 시조 김운발은 [[경순왕]]의 손자라 전하는데, 작금에 와서 일부 [[나주 김씨]]에서 시조 김운발의 아버지가 '김황'이라 한다. 또 경순왕 계자(季子. 막내아들)인 [[범공]] 스님과 동일인이라 주장한다. 그러나 정작 《김은열 묘지명》 원문에는 [[경순왕]] 2자 김굉(또는 김황)과 4자 김은열은 [[고려 태조]]의 외손으로, 고려 평장사를 지내고 나라에 공이 있는 신하여서 특별히 장지(葬地)도 하사(下賜)해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사서(史書) 및 《증보문헌비고》와 《조선씨족통보》에도 별도 인물로 기록하고 있다.</ref> <ref>계자(季子)란 막내아들을 의미하는데, [[죽방부인]] 소생이라는 제2자 김굉(또는 김황)과 제3자 김명(金鳴)[또는 김명종(金鳴鍾)의 서차 관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ref>